거라오족은 오랜 시간 한족과 더불어 살아왔으므로, 남녀노소 할 것 없이 모두 중국어를 말할 수 있으며, 각 지역마다 다르나 본래 언어를 할 수 있는 인구가 많지 않다.
거라오어는 한장어계에 속하며 발음이 묘어와 가깝다.
대상 언어에 고유 문자가 있다면 설명. 참고문헌에 사용되고 있는 전사법도 설명. 문헌이나 학자마다 전사법이 다르다면 대응표 형태로 제시. 가능하다면 IPA 대응 정보도 제시.
러시아지역의 언어의 경우에는 각 언어마다 문자/전사법 대응표를 만들 필요 있음.
거라오어의 성모는 비교적 많다. 파열음, 파찰음, 마찰음에서 유성/무성음의 대립이 있다. 복자음성모, 무성음 비음 성모와 앞에 후색음을 수반하는 성모도 있다. 총 48개이다.
bilibial | plosive | p, p_h, b, pl, p_h_l, bl, pz |
bilibial | nasal | m, m_0, ml |
labiodental | fricative | f v |
alveolar | plosive | t, t_h, d |
alveolar | nasal | n, n_0, nz\ |
alveolar | fricative | s, z, s\z\, ?z\ |
alveolar | lateral fricative | ɬ |
alveolar | lateral approximant | l, ?l |
palatal | approximant | j, ?j |
palatal | nasal | J_+, J_+_0 |
velar | plosive | k, k_h, g |
velar | nasal | N, N_0 |
velar | approximant | w |
velar | fricative | x, G |
alveolo palatal | fricative | ʨ ʨ ͪ ɕ s\z\, ?z\ |
alveolar | plosive fricative | ts, ts_h, dz, dz\ |
glottal | fricative | h |
glottal | plosive | ? |
uvlar | plosive | q, q_h |
거라오어의 모음은 단모음9개, 이중모음13개, 3중모음2개, 비음을 수반하는 모음이 11개 이다.
고저 | 전후 | 원순 | 음소 |
high | near front | unrounded | I |
high | back | unrounded | ɯ |
high | back | unrounded | u |
high mid | front | unrounded | e |
central | mid | rounded | ə |
high mid | back | rounded | o |
low mid | front | unrounded | ɛ |
low mid | back | unrounded | ʌ |
low | front | unrounded | a |
거도 거라오어에는 총 4개의 성조가 있다.
성조값 예시
거라오어에는 총 11개의 음절구조 형태가 존재한다. 음절에는 자음이 없을 수 있고, 모음은 없어서는 안된다.
거라오어에 존재하는 음변 현상은 대부분 연속해서 읽을 때 일어나는 변조 현상이다.
연속해서 읽을 때 나타나는 변조는 단어, 문장에서 균등하게 일어나지만, 새로운 성조를 발생시키지는 않는다. 변조범위는 본래 성조 체계의 범위로 한정하여 일어난다.
거라오어의 접두사는 동사성 접두사와 명사성 접두사로 나뉜다.
명사성, 동사성 접두사 모두 변조 현상이 존재하며 명사 앞의 접두사로 쓰일때에만 변조가 일어나지 않는다.
명사
동사/형용사
명사
동사/형용사
명사
동사/형용사
동사성이든 명사성이든 접두사 vu³¹ 는 뒤에 오는 음절이 내림조혹은 오름조일 때, 접두사가 본래 조인 31조로 읽힌다.
만약 접두사 뒤에 수평조가 온다면 접두사 역시 동화되어 중수평조 vu³³이 된다.
예외는 대사 “vu ʨi” 이다. 접두사 뒤에 수평조가 오는데 접두사가 본래 성조로 읽힌다.
접두사 lʌ³¹는 동사성이든 명사성 이든지 간에, 뒤 음절이 내림조 혹은 오름조이면 본래 성조 31로 읽힌다.
만약 접두사 뒤에 수평조가 오면 접두사는 동화되어 중수평조 33으로 바뀐다.
문장에서의 변조는 단어가 문장안의 앞뒤 단어의 영향을 받거나 특정한 문법 기제의 제약에 따라 발생한다. 아래와 같은 복잡한 상황이 존재한다.
1.“au³¹是”는 문장에서 뒤에 내림조가 올 때 오름조로 바뀐다.
2.au³¹이 뒤에 오는 상황에 대해 확신이나 강조를 나타내면, 오름조로 변한다.
3.au³¹이 뒤에 오는 상황에 대한 부정을 나타내면, 수평조로 변한다.
동사 바로 뒤에 오름조인 단어가 올 때, 내림조가 오름조로 변한다.
강조동작일 때 내림조가 오름조로 변한다.
문장에 강조 조사가 있을 때, 앞의 동사는 변조가 필요하다.
대사가 개사 뒤에 위치할 때, 수평조가 오름조로 바뀐다.
몇몇 명사는 앞에 오는 단어의 영향으로 성조가 변한다. 일반적으로 내림조가 오름조로 변한다.
정도 비교 형용사 do³¹ 앞 단어의 변조 상황은 아래와 같다.
do³¹ 앞 단어가 내림조이면 오름조로 바뀐다.
do³¹ 앞 단어가 수평조이면 성조가 변하지 않는다.
do³¹앞의 단어가 오름조이면 그대로 오름조를 유지한다.
do³¹앞의 dza³⁵는 변하지 않는다.
만약 do³¹ 앞의 단어가 이음절 형용사라면, 이음절 뒤의 운모가 중복되거나, 음이 연장되는 음절 ʌ³³이 추가된다.
내림조 형용사는 문장에서 형용사를 강조해야 할 때, 오름조로 변한다.
예⓵은 qʌ³³nan³³을 강조하기 위해 leŋ³⁵⁻³¹과 같은 결과가 나타났다.
예⓶는 khai³⁵를 강조하기 위해 qəɯ³⁵⁻³¹과 같은 결과가 나타났다.
개사 목적어를 강조해야할 때, 개사에 변조가 일어난다.
na35~31 i55 zan33 qau35 V31ɬ@M35 ts\_ha31 내가 한번 물어보겠다.
1.부정문에서 술어동사가 수평조로 변화하여 부정을 표시한다.
m@M31 aN31 wai55 jaM33 aN33~31 당신은 형제가 있습니까?
m@M31 ?luN33~31 da31 z\31 당신은 노래를 못합니까?
2.조동사가 있는 문장에서는, 능원동사가 내림조에서 수평조로 바뀌며 부정을 표시한다.
m@M31 han33~31 z\i31 k_hen31 wo33 너는 쉴 수 없다.
m@M31 han31 vu33mi55zen31 han33 너는 집에 돌아갈 수 있니?
3.문장 끝에서의 부정부사 변조는 문장의 긍정부정 형식의 연속된 사용을 표시한다.
m@M31 vu33 ma35~31 너 가니?
거라오어에는 음 생략 현상이 존재한다.
접두사 qʌ³¹은 대체로 성모를 생략하고 운모만 읽는다
문장 끝의 부정부사 wo³³과 어기사 o³⁵혹은 ʌ³⁵가 서로 연속에서 나타날 때, 두개의 음절은 대체로 하나의 음절로 합병된다.
wo³⁵는 wo³³과 문장 끝의 어기사 o³⁵가 합병된 결과이다.
wʌ³⁵는 부정부사 wo³³과 문장 끝의 어기사 ʌ³⁵가 합병된 결과이다.
거라오어에 존재하는 음변 현상은 대부분 연속해서 읽을 때 일어나는 변조 현상이다.
연속해서 읽을 때 나타나는 변조는 단어, 문장에서 균등하게 일어나지만, 새로운 성조를 발생시키지는 않는다.
변조범위는 본래 성조 체계의 범위로 한정하여 일어난다.
거라오어의 접두사는 동사성 접두사와 명사성 접두사로 나뉜다.
(1)명사
(2) 동사/형용사
(1)명사
(2)동사/형용사
(1)명사
(2)동사/형용사
동사성이든 명사성이든 접두사 vu³¹ 는 뒤에 오는 음절이 내림조혹은 오름조일 때, 접두사가 본래 조인 31조로 읽힌다. 만약 접두사 뒤에 수평조가 온다면 접두사 역시 동화되어 중수평조 vu³³이 된다. 예외는 대사 “vu ʨi” 이다. 접두사 뒤에 수평조가 오는데 접두사가 본래 성조로 읽힌다.
(1)명사
(2)동사
(1)명사
(2)동사
(3)개사
(1) 명사
(2)동사
(3)형용사
- 이것으로 부족하고 특정 품사에 대해 자세히 기술하고 싶다면 하위 문서에 기술.
동물, 사람의 성의 구별을 모두 접두사를 붙여서 표시한다. 남성이나 수컷은 pau33, 여성이나 암컷은 ma33를 붙인다.
나이 많은 연배의 친족 명칭에는 남성은 be³¹, 여성은 ja³¹를 붙인다.
직업 명칭에서 남성을 표시할 때는 lʌ31ke35(匠人, 사부)를, 여성을 표시할 때는 ma33을 붙인다.
무생물은 거라오어에서 여성성으로 표시된다.
추상적인 명칭은 거라오어에서 일반적으로 남성으로 표시된다.
너무 작아서 성별을 구분하기 힘든 동물의 경우 거라오어에서는 여성성으로 표시된다.
거라오어 명사는 수는 형태변화가 없다.
거라오어의 수사 양사와 관련된 수 표현은 수사와 양사 부분 참고.
명사 뒤에 접미사 “ʌ33tsɿ33”(-들)을 붙여 복수 표현을 하기도 한다.
형태소 부가로 사물의 크고 작음을 표시한다. 그러나 큼과 작음을 표시하는 방법은 서로 다른 수식구조를 가진다.
큰 사물을 표시할 때 명사 앞에 “ma³³”를 붙이거나 명사 뒤에 “a³⁵dzuŋ”를 붙여 표현한다.
연배가 위인 친족 명칭을 표시할 때 명사 뒤에 ʌ³³sɯn³³(大)나 a³⁵jəu⁵⁵(老)를 붙인다.
거라오어에서 작은 사물을 표시할 때 “la35, la35ə31pe35, la35pe35, pe35, pe31pe35”로 나타낸다. 이 중에서 “la35, la35ə31pe35, la35pe35”는 명사 앞에 출현하고, “pe35, pe31pe35”는 명사 뒤에 출현한다.
연배가 적은 친족명칭을 표시할 때 일반적으로 명사 앞에 “la35, da35”를 부가하거나 혹은 명사 뒤에 “a35dai35dai33“을 부가하여 나타낸다.
거라오어의 명사 중 일부분은 중첩이 가능하다.
명사 형태소 자체를 중첩하여 하나의 완성된 단어를 만든다. 조어법 상의 중첩이다.
통사 형식상 중첩되는 명사도 일부 있다. 단독 음절과 중첩 형식의 의미가 일치한다.
거라오어에서 동사는 수량 면에서 명사 바로 다음이라고 말할 수 있는 큰 품사이며, 동작행위동사, 심리활동동사, 존재, 변화, 소실을 나타내는 동사, 판단동사, 조동사, 방향동사의 6 가지 큰 종류로 나눌 수 있다.
거라오어에는 조어법상의 동사중첩이 있고 통사상의 동사 중첩이 있다.
거라오어에서 동사 중첩은 동사가 두 개의 같은 음성 성분 중첩으로 형성되었다는 것, 즉, 두 음성 성분이 합쳐져서 하나의 완전한 동사를 이루며 분리되면 의미가 없는 것을 가리킨다.
일부동사는 중첩된 앞 구성 요소를 qʌ31로 바꿔 쓸 수 있는데, 이 경우 동사의 전체 의미는 변하지 않는다.
일부 동사는 두 개의 형태소가 상승 어조인 경우 중첩시 두 번째 구성 요소가 하강조로 바뀐다.
만약 두 구 구성 요소의 어조가 평조 혹은 하강조이면 어조가 변하지 않는다.
거라오어에서 통사적인 동사중첩은 독립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동사가 중첩되어 사용되는 것을 가리킨다. 중첩하여 사용되어도 기능이나 의미에는 변화가 없다. “qaŋ31qaŋ31 끌다, au31au31 이다, aŋ31aŋ31 있다, dɯ31dɯ31 생각하다” 등을 들 수 있으며 4음절 형식으로는 “vu33vu33do31do31 가고오다”를 들 수 있다.
거라오어의 형용사는 아래의 세 가지 종류로 세분할 수 있다.
거라오어에는 형용사와 명사의 형식이 같은 단어들이 일부 존재한다. 이러한 종류의 단어는 수량이 많지 않다.
형용사에 음의 부분중첩을 추가해 형용사를 더욱 생동감 있게 표현하는데, 음의 부분중첩은 형용사 그 자체의 한 개 혹은 두 개 음절이거나 혹은 그 형용사의 부가 음절이다. 그러나 기본적으로 어휘 의미나 문법 기능은 없다. 따라서 접사와는 매우 명확한 차이가 있다. 거라오어의 형용사 생동형식은 단어 수량이 많을 뿐 아니라 형식도 풍부하여 거의 모든 형용사가 자신의 생동형식을 가지고 있다. 즉, 모든 단어가 모든 고정적인 부가 음의 부분중첩을 가지고 있다. 형용사의 생동형식은 주로 해성(谐声)이며 중첩은 비교적 적다. 형용사 생동형식은 형용사 원형과 비교하였을 때 어휘 의미의 정도가 심화되고 어법의미와 통사기능은 기본적으로 변하지 않는다.
거라오어의 이음절 형용사는 음의 부분중첩을 형용사 뒤에 부가하거나 혹은 형용사 앞에 부가하여 4음절격식 혹은 5음절격식의 단어를 만들어서 생동형식을 나타낸다. 변화방식은 매우 다양한데 주로 다음과 같은 형식이 있다.
거라오어에서 중국어를 차용한 형용사 생동형식은 사음절 형식을 취하고 있다. 대부분이 중국어의 의미를 번역하여 이루어진 것이다.
단음절이나 이음절에서 마지막 음절의 운모(C)에 do31를 추가함. 성조는 일률적으로 중평조 33이다.
4음절 형식이 대부분이며 5음절 형식도 있음.
거라오어의 부사는 크게 '정도부사, 범위부사, 시간부사, 빈도부사, 양태/방식부사, 긍정/부정부사, 어기부사'로 나누어볼 수 있다.
부사는 모두 부사어 역할을 한다.
부사 do31가 형용사를 수식할 때는 주로 형용사 뒤에 놓이고, 형용사가 하강조이면 상승조로 바꿔야 한다.
부사는 일반적으로 홀로 쓰일 수 없으며, 동사나 형용사와 함께 쓰여야 한다.
일부 부사는 접속사 역할을 겸하기도 한다. 어떤 경우에는 단독으로 사용되고 어떤 경우에는 짝을 이루어 사용한다. 부사 “ɯ35”(바로, 중국어의 '就'에 해당함)는 단독으로 사용되는 경우이고 부사 “dʑi31…dʑi31…; je31…je31; jin31…jin31 (–ㄹ 수록, 중국어의 '越'에 해당함)“는 짝을 이루어 사용되는 경우이다. 그 예는 다음과 같다.
a35 | wuN31 | n\i35 | dz\u31weN31 | thai35 | V31z\i35 |
DM | day | this | evening | too | cold |
mi~35 | ma33 | qV33n\aN33 | tsui35 | gi33 |
3sg | NEG | participate | most | good |
s\N35aN31 | kuai35 | di33 | mi~35 | da31ts\i33? | luN31 | aN31 | tsɿ33 | plei35? |
very | strange | 3sg | home | how | can | have | one | half |
방향동사 “do31(起来)“와 부사 “do31(很)“의 용법은 구별할 필요가 있다. 방향동사 “do31(起来)“는 방향동사 “tɕhi33do31”의 생략형식이다. 만약 앞의 형용사가 상승조 외의 기타 어조이면 형용사는 상승조로 변화한 후에 “do31(很)“를 부가하여 부사 수식 형식을 나타낸다. 그리고 변조하지 않고 직접 “do31(很)“를 뒤에 부가하는 것은 방향동사 형식을 나타낸다. 만약 앞의 형용사가 상승조일 때 형용사 뒤에 형용사 주요 음절에 개음이 아닌 운모 형식을 부가한 후 다시 “do31(很)“를 부가하면 부사 수식 형식이다. 그리고 형식을 변화시키지 않고 직접 “do31(很)“를 부가하면 방향동사 형식이다.
방향동사 용법
부사용법
방향동사 용법
부사 용법
i55 | V33n\aN33 | mi~35 | tsɿ33 | vu33 | ko35 |
1sg | and | 3sg | all | go | DIREVID |
mi35 | da31mlM33 | di33 | sɿ33hou35, | luN35 | da31vuN31 | qV31ɬ@M31 |
3sg | work | PTCL | when | sweat | often | flow |
m@M31 | Ne35lan31 | ha31 | ?luN31 | do31 | ?luN33 | V35? |
2SG | later | again | will | come | NEG | PTCL |
qV31 | mi~35 | jou35 | qV31nz\i35qV31s@M31 |
DM | 3SG | again | smiling |
m@m31 | vu33 | nz\i55q@M31, | di33to31 | lV31hei31 | V33s\e35 | tsai35 | vu33 |
2SG | go | first | 1PL | wait | for.a.moment | again | go |
i55 | qV33n\iaN33 | m@M31 | tsɿqV31?lan31 | vu33 |
1SG | and | 2SG | together | go |
mi~35 | tsɿ35 | ti31ji35 | lV31phau35 | laN31qV33s\oN33 |
3SG | just | deliberately | turn.over | waist.of.trousers |
V31 | mi~35 | qV33n\aN33 | i55 | tsɿ33tsaN33 | z\u31 |
DM | 3SG | and | 1SG | the.same | high |
mi~35 | s\e35n\i35 | ji31tiN35 | a31 | pa35l@M31 |
3SG | now | certainly | stay | home |
aN31 | laM33bM33 | ma33 | qV33tsau33 | wo33, | aN31 | tsɿplei33 | ma33 | ka31 | mau33 | wo33 |
have | clothe | NEG | dress.up | NEG.PTCL | have | rice | NEG | eat | meal | NEG.PTCL |
mi~35 | dze33Ne35 | qa33 | n\aN31 | i55 | s\in31 | wo33 |
3SG | indeed | NEG | give | 1SG | tell | NEG.PTCL |
Ne31lo35 | kho33n@N31 | do31 | qV31neng31 | V35 |
tomorrow | maybe | come | snow | PTCL |
i55 | ho35ho31 | a35 | qa31 | ko35 | mi~35 | di33 |
1SG | seem | PTCL | meet | DIREVID | 3SG | PTCL |
wei55, ai33ja33, ɕi33, e35, hei55, e55 등이 있다.
ne33, e35, hai33, he35, xei55, he31, ə55, əŋ33 등이 있다.
e35를 들 수 있다.
ha33ha33, he33he33 등이 있다.
ai33ja33, hei33/wei35, ma33je33, mo33je33, mo33je33 등이 있다.
jo33, je35, ai33jo33, ai33jo55 등이 있다.
həŋ33/hai33, ai33ja33, ai35jo33ho33, han33, hei33, həŋ33/hai33, je35/e35, xe33, həŋ33 등이 있다.
ai33ja33, ai35jo33, ai33ja33, ai33ja33, ai33jo55 등이 있다.
ai33ja33, ai33jo33 등이 있다.
거라오어에는 '0'을 표시하는 두 가지 방식이 있는데, 하나는 중국어를 차용한 ‘lin31 零’이고, 다른 하나는 ‘ʔle31 多’을 써서 나타낸다.
1~9까지는 다음과 같다.
-ts\_hiu31 6
거라오어의 자릿수 표현은 다음과 같다.
거라오어의 '十'을 표현하는 형식은 두 가지가 있는데, 수량이 '二十' 아래일 때는 '十'은 ts_hei33 으로 나타낸다. 예를 들어, 십일(11)은 ts_hei33 tsɿ33이고, 십이(12)은 ts_hei33 s@M31이다.
수량이 '二十'일 때는 두 가지 방법이 있는데, 하나는 전통적인 조합 방법으로 sEM31 ts_hei55 이십(20)과 같이 나타내는 것이고, 다른 하나의 방법은 하나의 단순 단어를 쓰는 것으로 Ne31tsei35과 같이 나타내는 것이다.
수사가 '二十'이상일 때는 자릿수 '十'은 성조가 중평조에서 고평조로 변한다.
'十'의 변조는 경우에 따라 어림수(约数)와 기수(基数)를 구별하기도 한다.
거라오어의 복합수사에서 만약 자릿수 ts_hei33 뒤에 수사가 없으면 ts_hei33는 자주 생략된다. 예를 들어 다음과 같다.
거라오어에서 ‘0’은 종종 앞에 ?le31 0 또는 lin31 0을 추가하여 나타내는데 만약에 tsɿ33 ɬiu35 tsɬ33110에서 tsɬ33 1의 앞에 ?le31 0를 추가하면, tsɿ33 ɬiu35 ?le31 tsɬ33101이 된다. 비교적 큰 숫자의 마지막 자릿수 앞의 tsɿ331은 종종 말하지 않으며, 일반적으로 ?le31 0을 추가하여 표현한다. 단, tsɬ33 1보다 큰 수는 반드시 그 수를 말해야 한다. 예문은 다음과 같다.
tsɿ33 | qV31ja35 | tsɿ33 | Nan33 | tsɿ33 | ɬiu35 | ?le31 | tshei33 | tsɿ33 |
one | ten.thousand | one | thousand | one | hundred | zero | ten | one |
tsɿ33 | qV31ja35 | tsɿ33 | Nan33 | tsɿ33 | ɬiu35 | ta31 | ts_hei33 | tsɿ33 |
one | ten.thousand | one | thousand | one | hundred | three | ten | one |
예 (a)에서 ?le31이 있고 없고가 1의 단위와 10단위를 구별해준다. 예 (b)에서 십단위수는 tsɿ331일 경우는 일반적으로 생략하나, 예 (c)에서처럼 십단위수는 ta313일 경우에는 생략할 수 없다. 단, 수사 뒤에 양사를 대동하였을 때는 '十'을 생략할 수 없다. 예를 들어, tsɿ33 ɬiu35 s@M31 ts_hei33 p_hi33 백오십원(150원) 이다.
기수사는 배수, 분수, 어림수의 구를 나타낼 수 있다. 하나씩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배수는 기수사에 'pu33' ‘배’를 더해서 구성한다. 예문은 다음과 같다.
분수는 '几成(몇 할)’을 써서 나타내기도 하고 '몇 분의 몇'을 써서 나타내기도 한다. 예문은 다음과 같다.
거라오어에서 어림수를 표현하는 방식은 4가지가 있다.
수사와 다음의 단어를 결합하여 구를 형성한다. 다음과 같다.
어림수를 나타내는 단어인 sa31 몇, tsa35pai33 조금, V33tsi33 약간, tsɿ33 약간, ma33hei31 약간을 사용해서 나타낸다.
인접한 수사를 연용하여 어림수를 나타낸다. 예문은 다음과 같다.
자릿수 앞에 ‘da31’을 부가해서 어림수를 나타낸다. 예문은 다음과 같다.
거라오어에서 일반선후순서는 구체적인 사물에 대하여 말하는 것이며, 수사와 양사를 같이 사용한다.
일반적으로 양사가 수사 앞에 놓이며, 가리키는 사물이 달라지면 쓰는 양사도 달라진다.
거라오어에서 인물의 선후 순서는 경우에 따라 나타내기에 불편하여 인물의 참조점을 이용하여 선후 순서를 나타내기도 한다.
i55 | n\i35q@M31, | m@M31 | a31 | pan35lan33 | i55, | mi~35 | a35 | pan35lan33 | m@M31 |
1SG | first | 2SG | PREP | behind | 1SG | 3SG | PREP | behind | 2SG |
중국어를 직접 차용하여 선후 순서를 나타내기도 한다.
-ti35z\31 첫 번째
장유 순서는 일반적으로 명사 뒤에 수사 혹은 형용사를 연결해서 나타낸다. 예문은 다음과 같다.
일주일 중 요일의 순서는 ‘星期’ 뒤에 숫자를 부가해서 표시한다. 단, 일요일은 순서가 반대이다.
한달 내 각 날짜의 순서의 경우, 거라오어 자체에 며칠이라고 나타내는 용법이 없다. 다만, 시장에 가는 시간으로 표시한다. 6일에 한번 장이 서고 6번 시장이 선다. 牛坡에서 시작하여(牛、羊), 두 번째 날은 六枝(虎、猴), 세 번째 날은 箐口(鸡、兔),네 번째 날은 红岩(龙、狗),다섯 번째 날은 新场(猪,蛇),여섯 번째 날은 堕却鼠、马)이다. 예문은 다음과 같다.
지금은 거라오어에도 중국어를 차용하여 날짜를 나타내는 용법이 있다. 예를 들어 z\31 hau35 1일, @~35hau35 2일이다.
하루 내 각 시간의 순서는 다음과 같다.
tsɿ33dz\au33 1시, s@M31duN31 2시
거라오어의 시간에서 기수와 순서는 구분해낼 수 없으며, 다만 문맥에 의지한다. 예를 들어, 다음과 같다.
mi~35 | do31 | lV35 | s@M31 | duN31 | di33 | sɿ31hei35 |
3SG | come | PTCL | two | o'clock | CONN | time |
1년 중 각 달의 순서는 vu31dz\i31 월의 '뒤'에 숫자를 부가해서 나타낸다. 월 앞에는 양사 duN31을 부가할 수 있다.
월 앞에는 양사 duN31을 부가하여 나타낼 수 있는데, 개월 수의 의미를 나타낼 때는 오히려 duN31을 쓰지 않고, 직접 vu31dz\i31 월 '앞'에 수사를 더해서 개월 수를 나타낸다.
1년 중 4계절의 순서는 본토어로 나타내는 방법과 중국어 차용어로 나타내는 방법이 있다.
중국어 차용어는 ts\_hun33 t_hian 봄, s\a t_hian33 여름이다.
거라오어의 수사는 일반적으로 양사와 조합되어 수량구를 이루어야만 통사 성분을 담당할 수 있으며, 수량구는 문장에서 주어, 서술어, 관형어, 부사어, 보어, 목적어로 쓰일 수 있다.
도량형양사는 국가 표준에 맞는 통용성 도량형양사가 있고, 그 지역 사람들만 이해할 수 있는 지역성 도량형양사가 있다.
kai35 근(斤), ?luN35 냥(两), ts_han31 돈(钱), fan31 푼(分) dz\au35 장(丈), ?jiu55 척, 자(尺), qV31t@M31 촌, 치(寸)
p_hi33원(元), la35ta33각(角), fan31분(分)
개체양사에는 유형분류양사, 성질형상양사, 통용양사 등으로 분류된다.
거라오어의 유형분류양사는 수사 자체의 원래 양의 크기 및 마지막 수의 크기와 밀접하게 연관되어 있다. 수사가 ‘二’보다 크고 마지막 수가 ‘二’가 아닐 때에는, ‘一’ 또는 마지막 수가 ‘一’인 수사가 공기하는 양사가 다르거나 혹은 변조된다. 그렇지 않으면 다른 양사의 형식으로 선택할 수 있다.
saN33은 아이를 나타내는 양사이며, 양사 앞의 수사가 ‘2’일 때는 qE35을 쓰고 앞의 수사가 ‘2’이상이고 마지막 수가 ‘1’이 아닐 때는 saN31으로 변환하여야 한다.
거라오어의 성질형상양사에는 다음과 같은 것들이 있다.
통용양사는 추상정도가 높고 개괄성이 강하며, 사용빈도가 높고 사용 범위가 넓은 양사이다. 해당되는 양사는 다음과 같다.
집단양사는 정량집단양사와 비정량집단양사로 분류된다.
정량집단양사는 qE35 하나이며, 쌍을 이루는 사람이나 사물을 나타낸다. 어떤 경우에는 수량이 2인 사람이나 사물을 나타낼 때도 쓴다. 단, 이때는 꼭 같은 종류의 성질을 가진 사물이어야 한다.
비정량집단양사는 그 수가 비교적 많은데, 하나씩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 zai33串 : 줄 모양의 사물의 수량을 묘사하는데 쓰인다.
lV33qV33盆, qV31dzuN35柴刀, tso35口, b@N35井, san33碗, vu31saN31海碗, lV31dzaN31桌, ?len31门, 家
Na35는 어떤 동작이 어떤 시간 안에 출현하거나 발생한 횟수를 가리킨다.
동작 내부의 지속 시간이 상대적으로 짧은 것을 가리킨다. 비교적 빠른 속도로 끝난 한 번의 동작의 양을 나타낸다. 그리고 s\e35는 동작의 양 뿐 아니라, ‘상(体貌)’의 의미도 나타내는데, ‘시간의 짧음’, ‘양의 적음’, ‘시도’, ‘내키는 대로 함’을 나타낸다.
차용 동량사는 명사에서 차용한 것과 동사에서 차용한 것 두 종류가 있다.
동사에서 차용한 양사는 매우 제한되어 있다. 지금까지 조사된 것으로는 j_+uN35撮와 p_h@N33捧의 두 개가 있으며, 이들은 동사와 양사의 기능을 겸해서 가지고 있다.
앞의 j_+uN35撮와 p_h@N33捧는 동사이고 뒤의 것은 양사로 쓰인 것이다.
거라오어에서 양사는 단독으로 중첩할 수 없다. 만약 ‘모든, ~마다’를 가리키려면 dz\i31每에 양사를 더해서 나타낼 수 있다. dz\i31에 양사를 부가하는 또 하나의 형식으로 ‘생동식’이 있는데 dz\i31를 중첩하여 ‘모든’의 의미를 나타내는 것이다. 이 때 앞의 dz\i31는 내림조가 오름조로 변조된다. 또한 ‘一A一A'의 4음격식을 사용해서 ‘모든’의 의미를 나타낼 수도 있다. 예문은 다음과 같다.
dz\i31 | plei31 | dz\i35 | dz\i31 | plei31 |
every | CL | every | every | CL |
수량명사구와 대사구가 결합할 때 일반적으로는 ‘수사+양사+명사+대사’의 격식이고, 수사가 tsɿ33 1 일 때 수사를 생략할 수 있다.
첫째, 명사가 양사를 대동하지 않았을 경우와 대동하였을 경우 의미가 달라진다.
dazN31 보리 → 양사 대동한 경우: dM35 dazN31 용
둘째, 서로 다른 양사가 동일한 명사의 의미상의 세밀한 차이를 생겨난다. 예문은 다음과 같다.
tsɿ33 | bja35 | tin31 | tsɿ33 | tsa31 | tin31 |
one | block | board | one | section | wood |
명사는 tin31으로 동일하나, 양사 bja35는 조각이나 덩어리 모양의 물품을 가리키는 양사이고 tsa31는 긴 기둥 모양의 물품을 가리키는 양사이기 때문에 tin31 의 의미가 ‘목판’ 과 ‘나무 막대기’로 각각 달라진다.
a33 | J_+i35 | qV31dzoN55 | a35 | bM35 | gi33 |
interj | this | COMPAR.than | PTCL | that | good |
거리는 ‘가까움’, ‘조금 멀다’, ‘비교적 멀다’, ‘더 멀다’, ‘가장 멀다’의 5단계의 구분이 있으며, ‘더 멀다’은 ‘비교적 멀다’에서 성조가 변한 것이다. 표로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여기 | 조금 멀다 | 비교적 멀다 | 더 멀다 | 가장 멀다 |
a33ȵi35 | a31bɯ35 | a31pai35ai33bɯ35 | a35pai35ai33bɯ35 | a33lu31ai35 |
거라오어의 사람을 나타내는 부정대명사에는 다음과 같은 것들이 있다.
do33?o33 다른 사람 (别人)
te35ts\hi31 여러분
da31hei31tsɩ33bau31di33ʌ31tshu35/ʌ31tshu35a35tsɩ33bau31다른 사람
tsɿ33plei35di33V31tshu35/V31tshu35a35tsɿ33plei35 기타 사람
do33?o33 | tsɿ33 | ma33 | vu31l@M31 | wo33, | m@M31 | vu31l@M31 | vu31ts\133? |
INF.others | one | NEG | fear | NEG.PTCL | 2SG | fear | Q |
do33?o33도 경우에 따라 앞의 do33를 생략할 수 있으며, 의미와 기능에는 변화가 없다.
거라오어의 사물과 장소를 나타내는 부정대명사에는 다음과 같은 것들이 있다.
dz\i31bau31/dz\i31bau31dz\i31qau35 여기저기, 도처에
dz\i31tsaŋ33dz\i31thei35 모든 것
pa35?len31 | di33 | i55 | dz\i31 | tsaN33 | tsɿ33 | aN31 |
house | CONN | 1SG | every | kind | one | have |
한국어 “자신”, 영어의 “himself” 등이 강조의 의미로 사용되는 경우 강조사의 역할을 한다. 언어에 따라 강조사가 따로 있는 언어도 있고 재귀대명사가 강조사로 사용되는 경우도 있다.
SG | PL | |
1 | i55 | di33to31 |
2 | m@m31 | ts\i33ts\o31 |
3 | mi~35 | ma33hei35 |
거라오어의 인칭대명사는 의문의 내용에 따라 달라진다. 하나씩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추후 수정 필요)
의문인칭대명사는 qa35na33으로 문장에서 주어, 목적어, 관형어(피수식어 뒤에 위치)로 쓰일 수 있다. 예문은 다음과 같다.
p_hai35 | su31 | J_+_0i35 | di33 | qa35na33 | di33? |
CL.book | book | this | CONN | Q | CONN |
의문사물대명사는 vu31tɕi33으로 문장에서 주어, 목적어, 관형어(보통은 피수식어 뒤에 위치하지만, 한어의 영향으로 피수식어 앞에 쓰이기도 함)로 쓰일 수 있다. 예문은 다음과 같다.
je35, | a35 | J_+_0i35 | au31 | duN31 | vu31ts\i33? |
EXCLAM | DM | this | COP.be | word | Q |
의문시간대명사는 s\e35na33으로 문장에서 부사어, 목적어로 쓰인다. 부사어로 쓰일 경우 주어나 술어 앞에 쓰인다. s\e35는 ‘time’을 의미하고 na33는 ‘which/what’의 의미를 나타낸다. 이들이 합쳐져서 ‘when’의 의미를 나타낸다. 예문은 다음과 같다.
의문장소대명사는 bau31nan35/te35nan33/nan35으로 문장에서 관형어(피수식어 뒤에), 목적어로 쓰인다. 예문은 다음과 같다.
의문수량대명사는 k_hei33na33으로 문장에서 관형어(피수식어 앞에 위치), 목적어, 보어로 쓰인다. 예문은 다음과 같다.
의문정도대명사는 s\aŋ33aŋ31/ khei33na33으로 문장에서 관형어로 쓰인다. 예문은 다음과 같다.
ma33 | xM55 | J_+_0i35 | aN31 | k_hei33na33 | ?leN35? |
CL.river | river | this | have | Q | deep |
의문방식대명사는 da31tɕi33/ɕaŋ33aŋ31da31으로 문장에서 관형어로 쓰인다. 예문은 다음과 같다.
의문원인대명사는 da31ts\i33으로 da31vu31ts\i33로부터 생략된 것이다. 문장에서 관형어로 쓰인다. 예문은 다음과 같다.
거라오어에서는 상호대명사라고 할 수 있는 것은 없고 상호태로 나타낸다. 상호태를 참조하시기 바랍니다.
인칭 | 1.SG | 1.PL |
재귀대명사 | i55tsɿ35ts\i33 | di55to31tsɿ35ts\i33 |
인칭 | 2.SG | 2.PL |
재귀대명사 | m@m31tsɿ35ts\i33 | ts\i33ts\o31tsɿ35ts\i33 |
인칭 | 3.SG | 3.PL |
재귀대명사 | mi~35tsɿ35ts\i33 | ma33hei35tsɿ35ts\i33 |
또한 거라오어의 재귀대명사는 종종 대명사로 대체하여 쓰기도 한다. 예문은 다음과 같다.
mi~35 | tsɿ35 | kuan33 | mi~35, | ma33 | kuan33 | ?o33 | wo33 |
3SG | only | care | 3SG | NEG | care | other.people | NEG.PTCL |
거라오어의 지시사는 명사 뒤에서 수식 할 수 있다. 예문은 다음과 같다.
ma33 | tsaN33 | qV31ts_hu35 | J_+_0i35 | ts\in33kuan33 | nei35 |
CONN | CL.kind | people | this | not.hesitate.to | hit |
(1) 'ɬiaM35(-와)’. 단어 혹은 구를 연결한다. 다음은 구를 연결한 예이다.
zan33 | mM35tM31 | ɬiaM35 | (zan33) | M55dz\i31tin31 | tsɿ35 | ma33 | gi33 | wo33 |
smoke | cigarette | and | drink | tea | all | NEG | good | NEG |
(2) 'V33n\iaN33(-와)'. 단어 혹은 구를 연결한다. 다음은 단어를 연결한 예이다.
san35san33 | V33n\aN33 | dzau33 | tM35 | aN35~31 |
dish | and | chopstick | all | exist |
(1) huai31tsai35(중국어의 '或者', …이든가 아니면 …이다).
huai31tsai35 | m2M31 | vu33, | huai31tsai35 | mi~35 | vu33 |
or | 2SG | go | or | 3sg | go |
(2) jau35maN35 jau35maN35 (중국어의 '要么…要么…', ‘하든지 아니면 …하든지’)의 뜻을 가지는 접속사이다. 선택 관계를 나타낸다.
jau35maN35 | ka31 | mau33, | jau35maN35 | zan33 | plM31 | tsɿ33 | gi33 |
or | eat | meal | or | drink | alcohol | all | good |
(3) ha31/ha31sɿ35 (중국어의 '还是'. ‘아니면’). 선택 관계를 나타낸다.
(4) z\u31kho55 ('如果',‘만약’)
z\u31kho55 | Ne31lo35 | do31 | man31, | i55 | tsɿ55 | ma33 | do31 | wo35 |
if | tomorrow | come | rain | 1sg | just | NEG | come | NEG.PTCL |
(5) jau35sɿ35 ('要是',‘만약’)
jau35sɿ35 | V31tshu35 | a35tsɿ33plei35, | dM35 | nuN31 | n\i35 | tshuN33 | da31 | ts\u35 | wo33 |
if | person | other | CL | work | this | NEG | do | complete | NEG.PTCL |
(6) jin33wei35 (중국어의 ‘因为’, '때문에'). 거라오어에서는 '因为'만 쓰고 '所以'는 쓰지 않는다.
jin33wei35 | di33to31 | aN33 | su31 | wo33, | su31? | jam35 | pin31 | plan33 | V35, | di33to31 | s\in31 | duN31 | do33?o33 | ma33 | dze33 | wo33 |
because | 1PL | NEG | book | NEG.PTCL | book | PASS | fire | burn | PTCL | 1PL | speak | speech | other | NEG | believe | NEG.PTCL |
(7) tsɿ33jau35 (‘只要’, ‘…하기만 하면'). tsɿ35('就')와 결합하여 tsɿ33jau35...tsɿ35 구조를 만들기도 한다.
ts33jau35 | ma33 | do31 | man31 | wo33, | i55 | tsɿ35 | do31 |
as.long.as | NEG | down | rain | NEG.PTCL | 1sg | just | come |
(8) pin33?lu35...pin33?lu35... (중국어의 '一边…一边…', '한편으로는 …하고 한편으로는…하다'. 중국어와 거라오어의 고유어를 결합하여 만든 접속사. 구를 연결한다.
pau33Ne31?j@u55 | n\i35 | pin33?lu35 | V31ɬ@M35 | su31, | pin33?lu35 | tsuai33tau31qau35 |
old.man | this | one.side | see | book | one.side | sleepy |
(9) niN35khe33...ma3... (‘宁可…不…', '…할지언정…하지 않겠다'). 선택관계를 나타낸다. 절을 연결한다.
di33to31 | niN35khe33? | le31 | pin31 | sa31 | ko35 | V31?lan31, | ma33 | dz\au31 | V31n\a35 | paN35laN33? | lu35 | di33 | ts\a31 | wo33 |
1PL | would.rather | many | walk | several | foot | road | NEG | want | stamp | inside | ground | PTCL | crop | NEG.PTCL |
(10) pu33z`u31. 중국어의 '不如’,'-만 못하다. -하는 것이 차라리 낫다'. 선택관계를 나타낸다. 절을 연결한다.
hua35 | n\i35 | se35 | tau33, | pu33z`u31 | ka33tsɿ33 | lai33pe33tu35 |
like | this | delay | DUR | not.as.good.as | hurry | divorce |
(11) pu31tan35…ha31('不但…还…','-할 뿐만 아니라 -도'. 점층관계를 나타낸다. 절을 연결한다.
ma33 | kan33 | V31tshu35 | pu31tan35 | hu33 | mi~35 | dz\i31bau31 | V31bM31 | ma33mi33 | mi~35, | ha31 | V33ɬ@M35 | mi~35 | ka31 | mau33! |
DEF | CL | person | not.only | bring | 3SG | everywhere | seek | mother | 3SG | In.Addition | remain | 3SG | eat | meal |
(12) kuan33...tsɿ33...(不论(不管)…都…', '-에 관계없이 모두'). 조건관계를 나타낸다. 절을 연결한다.
kuan33 | m@M31 | ha33a31 | s\in31, | i55 | tsɿ33 | ma33 | vu33 | wo33 |
whatever | 2SG | how | speak | 1SG | all | NEG | go | NEG.PTCL |
참조
거라오어의 첨사는 크게 구조조사와 어기조사로 나뉜다.
(1) di33는 중국어에서 차용한 것이다. 문중에서 li33로 읽히는 경우가 많은데, 거라오어족이 li33로 읽는 것을 더 편하다고 느끼기 때문이다. 보통은 ‘수식어+di33+피수식어’ 어순이지만, ‘피수식어+di33+수식어’의 순서로 나타나는 경우도 있다.
wuN31 | lan31 | di33 | ven31vuN31 | M35 | kEn35 | gi55 |
day | after | GEN | life | will | much | better |
mi~35 | au31 | qV31tshu35 | a35 | lEu31san35 | li33 | au33 |
3SG | COP | people | PTCL | JuDu | GEN | not.BE |
(2) di33는 명사(구)나 동사(구) 앞에 쓰여 명사화(구)를 형성하기도 한다.
a33 | J_+ | au31 | di33 | mEM31 | a33 | bM35 | au31 | di33 | mi~35 |
DM | this | CONT | GEN | 2SG | PTCL | that | COP | GEN | 3SG |
(3) 중국어 문법의 영향으로 di33가 명사(구)나 동사(구) 앞에 나타나기도 하는데, 이는 거라오어 원래 어순으로 바꾸어도 무방하다.
plei31 | J_+i35 | di33 | tS\i31 | fan33 | tshen31nin31 | di33 | gi33 |
year | this | GEN | rise | COMPAR | last.year | GEN | good |
(4) 거라오어에서 소유 구조는 보통 ‘명사+수식어’의 구조로 조사를 쓰지 않는다. 조사를 쓰는 것은 중국어의 영향을 받은 것으로 중국어의 영향을 받은 문장은 거라오어의 고유 표현으로 환원될 수 있다.
la35 | mEM31 | lan33 | la35 | i55 | dz\au31 | li35 | wo33 |
child | 2SG | 부정동사 | child | 1SG | like | cry | NEG.FP |
(5) di33과 명사, 대명사 혹은 동사성 단어나 구가 명사화 di33 구조를 이룰 때 보통 명사, 대명사, 동사성 단어나 구의 앞에 놓이지만 어떤 경우에는 명사, 대명사 혹은 동사성 단어나 구의 앞과 뒤에 다 놓이는 경우도 있음. 뒤에 놓이는 것은 li33으로 변독되기도 한다.
거라오어는 원래 부사어 표지 없이 수식어가 피수식어 앞에 위치하지만, 중국어와의 접촉으로 인하여 부사어 표지 'di33 地'를 차용하게 되었다.
거라오어는 원래 결과보어나 상태보어 표지 없이 직접 동사 뒤에 위치했지만, 중국어와의 접촉으로 인하여 lV33, di33을 차용하게 되었다. lV33, di33은 보어의 앞에 놓인다.
mi~35 | di33 | vu31tM31su31 | lo31zo31 | di33 | gi33 |
3SG | GEN | script | write | ADVZ | good |
dM35 | nuN31 | J_+i35 | V31duN31 | lV33 | dz\i31 | kan31 | tsɿ33 | sEM31 |
CL | thing | this | make.noise | ADVZ | every | CL | all | know |
문두에서 화제의 시작을 알리거나 문중에서 휴지와 화제를 겸해서 나타내거나 어떤 경우에는 문미에서 진술과 의문의 어기를 나타낸다. 평소에 말할 때는 대부분 문미에 놓이며 문두에서는 잘 쓰이지 않는다.
(1) 문두에서 어기를 부드럽게 하고 화제를 이끌어내는 작용을 한다.
ne35a | N31 | qV31tshu35 | jou35 | s\in31 | fei31 | mi~35 | J_+uN35huN31 | han35 | V35 |
DM | EXIST | person | again | say | to | 3SG | listen | ITER | PTCL |
(2) 문중에서 대조, 휴지, 화제를 나타내는 등 역할을 한다.
pa35V33dzoN33 | ne35 | tshuN33 | na31 | ts\i33ts\o31 | da31 | gi33 | wo33 |
above | PTCL | INF | to | 2PL | make | RES | NEG.PTCL |
(3) 진술문 문말에 쓰여 새로운 상황을 서술하거나 상대방을 일깨워주는 역할을 한다. 이 경우 문미어조는 비교적 높다. 명사성 비주술술어문의 문미에 놓이고 의문 어기를 나타내기도 한다. 동사술어문의 문미에 놓이고 의문대명사 s\aN33, aN31, da31ts\i33와 같이 쓰여서 의문 어기를 나타내기도 한다.
문미에 놓이는 경우가 많고 진술 또는 명령문을 만드는 역할을 한다.
(1) 진술문에 쓰이는 경우 어떤 견해를 제출하거나 어떤 의견, 요구에 동의함을 나타냄. 어조는 비교적 낮음. hau31와 ha35를 연용하는 경우에는 hau31는 반드시 ha35 앞에 놓여야 함.
i55 | vu33 | tsen31 | hau31, | mEM31 | z\i31khen31 | hau31 |
1SG | go | buy | PTCL | 2SG | rest | DEC |
i55 | ma33 | vu33 | wo33, | mEM31 | vu33 | hau31ha35 |
1SG | NEG | go | NEG.PTCL | 2SG | go | DEC.DEC |
(2) 명령문에 쓰이는 경우
a31, hau31를 써서 요청, 명령, 재촉, 권고를 나타냄. a31, hau31에는 어기를 부드럽게 하는 작용이 있다.
(3) hau31와 ha35는 명령어기를 나타내는 s\E33와 공기하여 명령어기를 나타내기도 한다.
이 때 전체 문장의 어기는 더 강해짐. 이들 간의 위치는 서로 바꿀 수 없다.
문말에 놓여 동작 상태의 실현을 나타낸다.
어떤 문장에는 부정을 나타내는 조사 wo33과 어기조사 o35를 함께 사용하는 경우가 있는데, 이때는 합음되어 wo33가 된다.
meM31 | ma33 | nai33 | wo35 | ɬa31 | fei31 | i55 |
2SG | NEG | take | NEG.PTCL | take | give | 1SG |
문미조사 s\E33는 han33 과 같이 사용되어 “han33…s\E33“의 틀을 이루어 명령어기를 나타낸다.
do31 | ai33! | han22 | lo35zi31 | bM35 | s\e33 |
come | here | INF | stand | there | IMP |
어기조사 maN33은 문중에 놓일 수도 있고 문미에 놓일 수도 있음. 위치의 다름에 따라 그 어법 작용도 다름.
(1) 선택 관계 어기조사 maN33은 보통로 문장에서 두 개의 단어 혹은 구 사이에 놓여서 구 혹은 절을 이으며, 선택 관계를 나타냄.
mEM31 | aN31 | sEM31 | tsaN33 | dM31, | M35 | vu33 | ɬaM35 | nz\i31 | maN33 | M35 | vu33 | tai33 | lo31mo35 |
2SG | have | two | kind | idea | will | go | see | cow | DM | will | go | cut | firewood |
(2) 대비 화제 대비적인 성질을 가진 문장에서 명사성 단어 뒤에 놓여 대비성 화제를 이끌어낸다. 어떤 경우에는 두 개의 명사성 단어 뒤에 maN33 이 모두 출현하기도 하고 어떤 경우에는 하나만 출현하기도 한다.
?len31 | maN35 | da31 | di33 | gi33, | dM35 | ?lan31 | J_+i35 | thai35 | V31nie35 | e33 | do31 |
house | PTCL | build | ??? | good | CL | road | this | too | dirty | ??? | very |
(3) 의문어기
문말에 놓여 의문 어기를 나타낸다.
조사 ma33는 명사 앞에 놓여 한정 지시를 나타냄.
mEM31 | ɬa31 | ma33 | dz\au33 | khe55 | J_+i35 | tuN35 | ?u55 |
2SG | take | DEF | CL | pot | this | boil | meat |
문미조사 tshan35는 어기조사 V35 앞에 쓰여서 앞의 동작 혹은 행위가 다시 발생함을 나타냄. 어떤 경우에는 tshan35과 부사 jou35가 공기함. 공기 여부는 강제성이 없으며 발화자의 습관에 달려 있다.
문미조사 han35는 어기조사 V35 앞에 쓰여서 앞의 동작 혹은 행위가 다시 발생함을 나타냄. 어떤 경우에는 han35와 부사 jou35가 공기함. 공기 여부는 강제성이 없으며 발화자의 습관에 달려 있다.
조사 di35 는 문미에 놓이거나 문미어기사 앞에 놓임. 앞의 동작 행위 혹은 앞의 수량 구조에 대하여 강조 작용을 일으킴.
위 문장에서 조사 ‘di35’가 강조하는 것은 확실히 잠을 잤다는 것임. di35는 li35로 변독될 수 있는데 의미나 통사 기능에는 변함이 없음.
조사 thei35는 의문문에서 의문대사 ‘v31ts\i33’ 앞에 쓰임. 뒤의 ‘vu31ts\i33’를 강조하여 비교적 강한 어기를 나타냄. 발화자의 대답에 대한 일종의 기대를 강조함.
거라오어에서는 단순절의 주어는 어순을 통해 구별한다.
목적어의 경우도 어순을 통해 구별한다.
거라오어에서는 일반적으로 행위자가 문두에 위치하여 주어가 된다.
목적어는 서술어 뒤에 놓인다. 다음 예문에서 행위자 주어가 문두에 위치하고, 목적어가 서술어 뒤에 위치함을 볼 수 있다.
거라오어의 지시사는 명사 뒤에서 수식한다. 예문은 다음과 같다.
ma33 | tsaN33 | qV31ts_hu35 | J_+_0i35 | ts\in33kuan33 | nei35 |
CONN | CL.kind | people | this | not.hesitate.to | hit |
거라오어에서 형용사(구)가 관형어가 될 때 일반적으로 피수식어의 뒤에 놓이며 구조조사 di33를 동반할 때도 있다. ‘적다’의 뜻인 ‘la35’, ‘크다’의 뜻인 ‘ma33’는 반드시 피수식어의 앞에 놓인다.
구조조사 di33을 동반한 형용사가 피수식어 명사 뒤에 놓인 예는 다음과 같다.
ko35pi33hM31 | aN31 | tsɿ33 | phM31 | tin31 | a35ja31a35z\31 | di33 |
infront.of.the.door | exist | one | CL | tree | very.tall | POSS |
‘적다’의 뜻인 형용사 ‘la35’가 명사 앞에 출현한 예는 다음과 같다.
la35 | an33 | pa33 | la35pai33 | tin31 | a35 | gi33 | plan33 | V35 |
small | sister | PREP | a.little | tree | PTCL | good | burn | PTCL |
‘크다’의 뜻인 형용사 ‘ma33’가 명사 앞에 출현한 예는 다음과 같다.
거라오어의 고유한 방식은 수식 성분이 피수식 성분의 뒤에 놓이는 것이고, 피수식 성분과 수식 성분 사이에는 대부분 중국어에서 차용하는 구조조사 di33가 출현하는 경우가 많았다. 그러나 지금은 명사구 뒤에 di33가 부가되어 피수식어 앞에 놓이는 경우가 일반적이다.
wuN31 | lan31 | di33 | ven31vuN31 | M35 | k@n35 | gi55 |
day | after | POSS | life | will | more | good |
관계절이 관형어가 될 때 피수식어의 앞에 놓이며 반드시 구조조사 di33을 써서 수식관계를 나타낸다.
vu31suN31 | qa33 | seN31 | di33 | wuN31 | thai35 | lui33 | do31 | V35 |
hair | NEG | comb | POSS | day | too | long | very | PTCL |
양사가 명사 앞에 출현한다. 예를 들면 다음과 같다.
수량사구, 대사, 명사가 같이 출현할 때 일반적으로는 ‘수사+양사+명사+대사’의 격식이고, 수사가 tsɿ33 1 일 때 수사를 생략할 수 있다.
술어의 유형에 따라 절 구조가 달라질 수 있다. 동사 술어, 계사 술어, 형용사 술어, 명사 술어 등.
형용사(구)가 술어가 된 문장의 예는 다음과 같다.
계사절은 계사 ‘au31(是)’이 술어인 절로 주어에 대해 정의, 분류 또는 설명을 한다. 거라오어의 계사절은 기본 형식이 중국어의 계사절과 동일하다. 모두 ‘주어+계사+계사의 목적어(表语)’ 즉, 'S→NP1+V+NP2'의 형식이다.
Ne35laN33 | ts\i33ts\o31 | n\i35 | au31 | l@u31san35 |
place | 2PL | this | COP | Judu |
계사절에서 만약 부정을 나타내려고 하면 내부 굴절 방식을 채택한다. 계사의 변조로 부정을 나타내는데 상세한 것은 “부정” 부분을 참고.
1) 동일한 관계를 나타냄
주어와 목적어가 가리키는 것이 동일한 사물이다. 이들은 위치를 바꿀 수 있는 경우가 많은데 위치가 바뀌어도 의미는 변하지 않는다.
2) 정의관계를 나타냄
목적어가 주어에 대해 한계를 지운다.
3) 성질과 상태의 관계를 나타냄
성질과 상태를 나타내는 계사절의 목적어는 일반적으로 형용사로 충당되며 주어와 관련된 상황을 설명한다.
thuN31tsɿ35 | au31 | ten31ɬei33 | gi33 | di33 |
TongZhi | COP | heart | good | PTCL |
4) 해석 및 설명을 나타냄
목적어는 주어의 어떤 면에 대해 설명을 한다. 주어와 목적어는 대응되지 않는다.
den31ɬei33 | mi~35 | ha31 | sɿ35 | ma33 | plan31 | wo33 |
heart | 3SG | still | COP | NEG | die | NEG.PTCL |
거라오어에서 흔하지는 않다. 계사 ‘au31(是)’가 없이 명사가 서술어를 담당하는 절을 가리킨다.
S→NP1+NP2
동사(구)가 술어가 되는 절을 가리킨다.
pau33ba33 | mi~35 | da31vuN31 | aN31 | qV33ze55 |
father | 3SG | often | have | illness |
평서문 이외의 의문, 명령, 감탄, 청유 등의 특수 문장 유형을 만드는 방법에 대한 기술.
거라오어의 감탄문은 감탄사가 있는 감탄문과 감탄사가 없는 감탄문으로 나뉜다.
문두에 감탄사는 사용하지 않고, 문말에 V35, a33 등의 어기사를 쓴다.
thai35 | lan35 | do31 | V35, | ha35 | qa33 | pM35 | mau33 | ka31 | lV33 |
too | late | very | PTCL | still | NEG | get | meal | eat | PTCL |
문두에 감정을 나타내는 감탄사가 있고, 문미에는 일반적으로 어기사가 있어서 서로 호응한다.
h@N33, | i55 | di33 | pi33 | mi~35 | di33 | gi55 | di33 | ?le35~31 | ne33 |
EXCLAM | 1SG | PTCL | COMPAR | 3SG | PTCL | good | PTCL | many | PTCL |
감탄문의 의미적인 분류는 ‘감탄사’ 부분을 참고하시오.
ɬa31 | laM33bM33 | ts\i31, | pa35dz\i33 | qV31z\i35 | do31 |
take | clothes | wear | outside | cold | very |
부정부사로 부정을 나타낸다. 부정부사는 술어동사의 앞에 위치한다.
일반적으로 문말어기사 'han35' 또는 'hau31'을 사용하여 요구 혹은 상의하는 어기를 나타낸다.
wa31dei33 | m@M31 | dzi31 | i55 | nai33 | tsɿ33s\e35 | han35 |
shoulder.pole | 2SG | lend | 1SG | use | for.a.moment | IMP |
i55 | vu33 | tsen31 | hau31, | m@M31 | z\i31khen31 | hau31 |
1SG | go | buy | IMP | 2SG | rest | IMP |
일반적으로 무주어 구문이다.
금지를 나타내는 명령문으로 일반적으로 부정부사 'han33'과 어기조사 'ɕe33'을 함께 사용하며, 비교적 강한 어기를 나타낸다.
의문대사를 사용하지 않는다. 대화를 받는 사람은 이에 대해 긍정 혹은 부정으로 대답한다. 문말의 어기는 일반적으로 상승조를 사용한다.
의문대사를 사용하여 알고자 하는 부분을 묻는 의문문으로 상용되는 의문대사로는 ‘kan35na33', 'vu31ts\i33' 등이 있다.
두 종류 혹은 여러 종류를 제기하고 대화를 받는 사람이 그 중에 하나를 선택하기를 원하는 의문문이다. 이러한 선택의문문은 일반적으로 두 개 혹은 두 개 이상의 절이 출현하고, 절 중에서는 일반적으로 어기사 'maŋ33'을 사용하여 휴지를 나타낸다. 그리고 그 뒤에 부사 'ha31sɿ35'를 써서 선택문을 이끈다.
s\in33 | ts\i31 | laM33bM33 | maN33 | ha31sɿ35 | s\in33 | ts\i31 | V33s\oN33 |
in.advance | wear | clothes | Q | or | in.advance | wear | pants |
지눠어의 정반의문문은 서술어의 고정형식에 따라 두 가지 형식으로 나뉜다.
동사와 부정부사로 형성된 형식은 ‘V+ma33+V’이다.
동사의 성조 변화로 구성된 긍정+부정 형식으로 의문을 나타낸다.
dz\au33 | n\i35 | lan31 | dz\au33 | bM35 | dzuN31 | lan33? |
CL | this | exist | CL | that | big | NEG |
거라오어의 기본 어순은 SVO이다.
전통적인 수식관계는 ‘피수식어+수식어’이다. 예를 들어, 다음과 같다.
거라오어 문헌에 관련 내용 없음.
거라오어의 사동태는 일반적으로 전치사 'na35'를 사용하여 동작의 원인을 나타낸다.
(1) 형용사 자체가 사동사 역할을 하는 경우.
이 경우, 주어는 행위자이고, 술어동사는 직접 형용사가 충당하며 피행위자가 목적어가 된다.
m@M31 | han33 | qau33 | n\i35 | qV31li31?o33 | s\e33hau31 |
2SG | NEG | at | this | ashamed | man |
거라오어 문헌에 관련 내용 없음
전치사 “?jaɯ35”와 “nei35” 혹은 “?jaɯ35”과 “nei35”로 구성된 전치사구가 동사 앞에 놓여 피동의 의미를 나타낸다. 피동문은 일반적으로 좋지 않은 사건을 나타낸다.
ma33mi33 | qE31 | i55 | n_0ei35 | o33ɬa31 | vu33 | a35 |
mother | chicken | 1SG | PREP | other.man.take | go | PTCL |
목적어는 문두에서 주어로 전환, 기존 주어는 동사 뒤의 목적어로 전환, 전치사는 삭제되어 완전한 주술술어문이 된다.
o33ɬa31 | ma33mi33 | qE31 | i55 | vu33 | a35 |
other.man.take | mother | chicken | 1SG | go | PTCL |
피동문의 주어는 동사 뒤의 목적어로 전환, 전치사 삭제, 비주술문을 구성한다. 즉, 문장에 주어가 없다.
상호조사 ko35를 사용해서 '서로'의 뜻을 나타낸다.
ma33hei35 | s@M31 | kan31 | thai35 | dz\au31 | ko33 | do31 |
3PL | two | CL | too | love | RECP | deep |
'수량구+동사+수량구'의 형식으로 '서로'의 뜻을 나타낸다.
di33to31 | te35ts\hi31 | tsɿ33 | kan33 | paN33maN35~31 | kan33 |
1PL | everyone | one | CL | help | CL |
거라오어에 재귀대명사는 있지만 거라오어 문헌에서 재귀태에 대한 언급은 찾을 수 없음.
ᴧ31는 qᴧ31의 성모 탈락으로 형성된 것이다. 문두 대명사 앞에서 화제표지로 기능하며 문중에서는 화제 표지의 기능을 갖지 않는다. ᴧ31는 단수 인칭대명사 앞에만 출현(복수 인칭대명사는 불가)할 수 있다.
V31 | mEM31 | pa33 | lV31dzaN31 | ge31 | vu33 | dz\i33 |
TOP | 2SG | ?? | table | move | go | out |
문두의 명사(구), 대명사 혹은 명사화구조의 앞에 분포한다.
a35 | vu31suN31 | mEM31 | tau31tau35 | di33 | aN31 | bja35dzen31 | aN33? |
TOP | body | 2SG | take | GEN | have | mony | NEG |
문두의 명사(구), 동사(구), 대명사, 명사화구조 및 절의 앞이나 바로 뒤에 분포하고, 문미의 ne35는 어기를 나타낸다.
ta31 | pan35lan33 | ne35 | lua31 | pin31 | pan33 | qV31dzo31 |
arrive | later | TOP | set | fire | burn | mount |
ne35 | ma33la35tsau33 | na31 | ma33mi33 | ni~35 | s\in31 |
TOP | daughter | give | mom | 2SG | say |
maŋ35의 위치는 3가지가 있다. - 문두의 maŋ35는 명사(구), 동사(구), 대명사, 명사화구조의 앞에 분포한다.
maN35 | di33to31 | M35 | s\aN33aN31da31 | ka31 | mau33? |
TOP | 1PL | will | how | eat | meal |
화제는 허사나 어법적 위치로 표현되는데, 허사여부에 따라 유표화제와 무표화제로 구분될 수 있다.
화제조사 ᴧ31, a35, 휴지 ne24(呢), maŋ35(呢) 등으로 표현된다.
maN35 | laN31qaN31 | V33J_+aN33 | bja35 | vu31?EN31 | maN35 | V31bM31 | pM35 | V35 |
TOP | bridge | and | CL | bridge | PTCL | find | get | PTCL |
한 문장에 화제가 두 개 있는 것을 말한다. 두 개의 화제와 술어는 동일한 통사층위에 있지 않다. T1+C1+T2+C2에서 C1+T2+C2은 T1을 진술하고, C2는 T2를 진술한다. T1과 T2의 의미관계에 따라 아래의 4종류로 재분류될 수 있다.
ma33 | ko35 | pan33 | N_+i35, | tsɿ33bu33 | au31 | la35sai33 |
DEF | CL | class | this | half | BE | boy |
tsɿ33 | qE35 | la35 | mi~35, | da35a35dzuN31 | ka31 | ge31, | da35a35dai35 | a31 | pa35?len31 | du33 | su31 |
one | CL | child | 3SG | big.kid | eat | rice | small.kid | PREP | in.house | read | book |
pau33ma35ts\iu31 | a33, | mEM31 | han33 | qV31duN31 | s\e33hau31! |
LaoLi | PTCL | 2SG | NEG | noisy | PTCL |
화제가 3개 이상인 경우를 말한다. 다수화제는 아주 적게 발견되다.
dan33 | ?lu35 | bM35 | plei31 | nz\i55qEM31 | taN55 | z\i31mi33, | plei31 | pan35?lan33 | taN33 | waN55 |
CL | land | that | year | before | plant | corn | year | after | plant | sweet.potato |
V3J_+aN33 | mEM31 | aN33 | vu31ts\i33 | qV33lEu33 | wo33 |
and | 2SG | NEG | what | relation | NEG.PTCL |
z\u31kho55 | Ne31lo35 | ma33 | do31 | man31 | wo33, | di33to31 | tsɿ35 | vu33 | ga31khai55 |
if | tomorrow | NET | come | rain | NEG.PTCL | 1PL | ??? | go | go.to.market |
화제는 화용론적인 진술의 상대적 개념이다. 주어는 통사론적인 술어의 상대적 개념이다.
화제는 문두에 위치하고, 주어는 주로 문두에 위치하지만 화제에 비해 분포가 자유로운 편이다.
hen31 | he31 | vu31dz\i31 | M35 | dzaN33 | ts\i31 |
seven | eight | month | will | cut | rice |
(sEM31 | kan31 | qV31tshu35 | J_+i35) | (tsɿ33 | kan33) | z\u31, | (tsɿ33 | kan33) | V31tshu35 |
two | CL | people | this | one | CL | tall | one | CL | short |
동사 뒤에 조사 li35ʌ35 혹은 ʌ35를 추가하여 사건의 완료를 나타낸다.
동사 뒤에 조사 ko35를 추가하여 동작의 완료를 나타낼 수 있다. ko35는 경험상으로도 쓰이는데, 거라우어의 완료상과 경험상은 구분이 잘 되지 않는다. 단, 부정문과 의문문에서의 'V+ko35'는 경험상으로 해석되기 쉽다.
mEM31 | vu33 | ko35 | di33mi~35 | qa33 | lV33? |
2SG | go | EXP | his.house | NEG | PTCL |
mi~35 | s\in31 | ts\hi33 | duN31 | do31 | M35 | aN31 | sEM31 | duN31 | V35 |
3SG | say | INCH | speech | INCH | will | EXIST | two | hour | PTCL |
V31ɬEM35 | V33 | M55M55 | tsɿ35 | wan31 | vu33 | V35 |
look | PERF | movie | directly | back | go | ?? |
tshan35와 nəu35로 나타낸다. 문말이나 문말첨사 앞에 쓰인다.
mEM31 | da31ts\i33 | da31 | tshei31tsuN33 | tshan35 | V35 |
2SG | why | do | business | ITER | PTCL |
M35 | V31 | ɬEM35 | di33 | V31tshu35 | V31ɬEM35 | vu33 | V31tsei31 |
will | do | see | GEN | people | see | go | down |
te35ts\hi31 | qau33 | ji33s\e35 | tshei31 | da31 |
everyone | sit | one.time | before | do |
티벳어족의 경우 증거성이 발달했음. 그러나 참고문헌에 이러한 관점에서 설명하고 있지 않을 수 있음.
부정 부사로는 ma33(不), qa33(没,不)가 있다. 동사 앞에 부정 부사를 추가하여 행위나 심리 활동에 대한 부정을 나타낼 수 있다.예문은 다음과 같다.
han33(别,不能,不该)
tshuŋ33(不能)
ɡen33(不敢)
luŋ33(不会)
han33 ~ 하지 마라(부정명령)
mEM31 | han33 | kuaN33 | ka31 | E35tai33 | s\e33 |
2SG | NEG | only | eat | vegetable | DEC |
aN33(没有)
au33(不是)
luN33(不会)
lan33(不及)
동사 au31는 경우에 따라 중첩할 수 있는데, 만약 부정을 나타내고자 할 때는 뒤에 au31을 성조 변화하여 부정 형식 au31로 나타낸다. 앞의 것은 원래 의미를 나타내고 전체 문장은 부정의 의미를 나타낸다. 예문은 다음과 같다.
dM35 | nz\i33 | bM35 | au31 | au33 | di33 | i55 | di33 | wo33 |
CL | bambooshoot | that | COP | NEG | CONN | 1SG | CONN | NEG.PTCL |
한어에서 차용된 sɿ35와 au31가 함께 쓰일 때, sɿ35가 어디에 쓰이는 간에 au31의 변조로 부정을 나타낸다. 예문은 다음과 같다.
부정사를 단독으로 사용할 때에는 반드시 문말부정조사 wo33와 공기하여 쓰인다. 만약에 문장에 두 개의 부정사가 있으면 문말부정조사 wo33는 한번만 쓰이는데, 이것은 일반적으로 앞에 쓰인 부정사와의 공기성분이다. 예문은 다음과 같다.
do33 | ?o33 | ne35 | qa33 | sEM31 | mi~35 | aN31 | bja35dzen31 | aN33 | wo33 |
other | people | FP | NEG | know | 3.SG | have | money | NEG | NEG.PTCL |
부정형식은 일반적으로 하나의 부정사로 만들어진 부정문이 있으며, 이 경우에 일부는 문말부정조사 wo33와 공기하여 쓰인다. 또 다른 형식으로는 ‘긍정+부정’의 방식으로 부정을 나타낸다.
거라오어에서 소유 구조는 조사를 쓰지 않는 것이 일반적인 형태이며, 일반적으로 '명사+수식어'의 구조이다.
조사를 쓰는 것은 중국어의 영향을 받은 것으로, di33는 중국어에서 차용한 단어이다. 문장 중간에서 li33으로 변독하는 경우가 많다.
관형어와 피수식어를 연결하며 앞의 단어가 뒤의 단어를 수식함을 나타낸다. 즉, di33은 피수식어 앞에 놓인다. 예문은 다음과 같다.
wuN31 | lan31 | di33 | ven31vuN31 | M35 | k@n35 | gi55 |
day | after | POSS | life | will | more | good |
거라오어는 소유관계를 나타내는 전형적인 구조로는 aN31가 있으며, 소유자는 주어에 해당하고 피소유자는 aN31의 목적어에 해당한다. 예문은 다음과 같다.
mi!35 | aN35~31 | sa35 | la35lai33 | a31 | l@u31san35 |
3SG | have | CL. | child | in | PR.gedu |
거라오어의 aN31 ‘有’은 존재와 소유구조를 모두 나타내며, 형식상의 구별이 없다. 예문은 다음과 같다.
plei35 | njaM55q@M31 | ?len31 | aN31 | taɿ33 | ma33 | xM33, |
side | front | house | have | one | CL | river |
plei35 | pan35lan33 | ?len31 | aN31 | tsɿ33 | dz\au33 | qV31dzo31 |
side | back | house | have | one | CL | mountain |
거라오어는 비교문 형식이 비교적 풍부하며, 동등비교문과 차등비교문이 있다. 하나씩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거라오어의 동등비교문은 ‘주체+비교표지+비교대상+결과’의 형식으로 쓰인다.
V33J_+_0aN33는 qV33J_+_0aN33의 어두 성모약화의 결과이며, 사용기능상 차이가 없으며 하나로 합병되었다.
ho33tau33, ɬiaM35, qV33naN33 뒤에는 반드시 tsɿ33tsaN33, tsɿ33tsaN33ko35, tsɿ33qV31lan31ko35가 있어야 하며, 없을 경우 비교문이 성립되지 않는다.
ɬiaM35을 이용해 비교대상을 도입하여 동등비교를 나타낸다. 예문은 다음과 같다.
da35ma35ts\iu31 | ɬiaM35 | da35ma33jaM33 | ts_hEN31ts\i31 | tsɿ33 | tsaN33 | gi33 |
PR.xiaoli | COMPAR | PR.xiaowang | grade | one | shape | like |
동사 lan33을 이용한 비교이다. 예문은 다음과 같다.
a35 | dzun31 | tsa31 | lan31 | vu33tai33 | tu33nz\i33 | dzuN31 |
DM | big | Fried | COMPAR | bean | yellow | big |
그 형식은 동사술어를 이용한 비교와 전치사를 사용한 비교가 있다. 다음과 같다.
첫째, 동사 V31dza35를 이용하는 것으로 비교대상이 V31dza35의 양측에 각각 놓이거나, 도입된 전치사 V33naN33에 의해 비교대상이 V33naN33의 앞으로 이동한다. 예문은 다음과 같다.
ɬa31 | a35s\e35bM35 | V31dza35 | ma33s\e35J_+i35, | wuN31 | ma33 | gi33 | wo33 |
take | before | COMPAR | now | days | NEG | like | NEG.PTCL |
둘째, lan33~wo33의 고정형식으로 비교를 나타낸다. 예문은 다음과 같다.
고유한 비교표지로는 qV33dzoN33, V31dza35, lan33있고, 귀주(贵州)어에서 차용된 것으로는 pi33, fan33이 있다. 또한 ‘比’의 의미를 나타내는 것으로 qV33dzoN33, pi33, fan33이 있다. 그리고 v31dza35, an33은 각각 ‘没有’, ‘不及’의 의미를 나타낸다.
거라오어에서 접속은 접속사 'ɬiaM35(-와)’, 'V33n\iaN33(-와)'로 표현된다.
da35ma35ts\iu31 | ɬiaM35 | da35ma33jaM33 | tsh@N31ts\i31 | tsɿ31tsaN33 | gi33 |
XiaoLi(小李) | and | XiaoWang(小王) | grade | equally | good |
san35san33 | V33n\aN33 | dzau33 | tM35 | aN35~31 |
dish | and | chopstick | all | exist |
거라오어에서 동시시간절은 접속사 tsɿ33plei35...tsɿ33plei35...(한편으로는 -하면서…한편으로는 -하다), pin33?lu35...pin33?lu35...(한편으로는 -하면서…한편으로는 -하다)로 나타낼 수 있다.
tsɿ33plei35...tsɿ33plei35...(한편으로는 -하면서…한편으로는 -하다)
mi~35 | tsɿ33plei35 | s\in31, | tsɿ33plei35 | qV31s@M31 |
3SG | one.side | speak | one.side | laugh |
pin33?lu35...pin33?lu35...(한편으로는 -하면서…한편으로는 -하다)
dM35 | be31 | qV33ze33 | pin33?lu35 | pin31 | V31?lan31 | pin33lu35 | da31 | z\i31 |
CL | old.man | Zhang | one.side | go | road | one.side | sing | song |
이유, 원인을 나타내는 접속사를 사용하지 않은 경우이지만, 일반적으로 이 문장에 인과 관계를 나타내는 어휘를 추가할 수 있다.
do31 | man31 | V35, | i55 | do31 | lan31 | V35 |
down | rain | PTCL | 1SG | come | late | PTCL |
상용하는 접속사로는 'jin33wei35'가 있다. 거라오어에는 중국어의 ‘所以’에 해당하는 접속사는 없다.
aN33 | di33to31 | s\in31 | di33 | wo33, | jin33wei35 | di33to31 | aN33 | su31 | wo33 |
NEG | 1PL | speak | PTCL | NEG.PTCL | because | 1PL | NEG | book | NEG.PTCL |
목적복문의 종속절은 목적을 나타내고 주절은 이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취하는 행위를 나타낸다.
i55 | ko31zen31 | ka31, | ma33 | na35 | m@M31 | tiN35 | wo33 |
1SG | oneself | eat | NEG | want | 2SG | feed | NEG.PTCL |
접속사 사용상황에 따라 두 가지의 경우로 나눌 수 있다.
상용하는 접속사로는 tsɿ33jau35...tsɿ35..., z\i31...tsɿ35..., tsɿ33aN31...tshei31... 등이 있다.
tsɿ33jau35 | ma33 | do31 | man31 | wo33, | i55 | tsɿ35 | do31 |
as.long.as | NEG | down | rain | NEG.PTCL | 1SG | just | come |
거라오어의 조건을 나타내는 절에서 조건을 나타내는 접속사 tsɿ33jau35...tsɿ35...는 조건을 나타내는 접속사 dM33Ne35...tsɿ35...로 대체될 수 있으며 그렇게 대체해도 의미적인 차이가 없다. 예를 들면 다음과 같다.
dM33Ne35 | ma33 | do31 | man31 | wo33, | i55 | tsɿ35 | do31 |
really | NEG | down | rain | NEG.PTCL | 1SG | just | come |
lui31 | thiN31 | di33to31 | tsɿ35 | vu33 |
day | bright | 1PL | just | go |
거라오어의 양보절은 접속사를 사용하지 않고 나타내거나, 양보를 나타내는 접속사를 사용하여 나타낸다. 양보를 나타내는 접속사는 주절과 종속절에서 짝을 이루어 사용하지는 않는다. 예를 들어서 sui33zan31을 사용하면 tan35sɿ35를 사용하지 않는다. 반대로 tan35sɿ35를 사용하면 sui33zan31을 사용하지 않는다.
ma33hei31 | ma35 | n\i35 | sui33zan31 | dzuN31, | ma33 | thai35 | tan35tan35 | wo33 |
some | fruit | this | although | big | NEG | too | sweet | NEG.PTCL |
‘V/VP + di33’의 형식으로 명사화시킨다. ‘di33’는 중국어 ‘的’의 차용인 듯하다.
ka31 | di55 | ts\i31 | di55 | tsɿ33 | ma33 | V31lau35 | ɬei33 | wo33 |
eat | NMLZ | see | NMLZ | everything | NEG | anxious | heart | NEG.PTCL |
(1) 형용사가 직접 문장의 주어가 되어 명사의 의미와 문법 기능에 담당하기도 한다. 이 때 거라오어의 형용사의 명사화는 문법표지가 없다.
(2) 중국어의 ‘的’을 차용하여('di33'로 읽음) 형용사를 명사화시키기도 한다.
거라오어에서 동사(구)의 관계화는 동사(구)의 뒤에 di33 을 부가하여 만든다. 즉, ‘V/VP + di33’의 형식을 지닌다.
형용사의 관계화에 대해서는 참조문법에서 언급이 없음.
거라오어의 연동구문은 첫 번째 동사와 두 번째 동사 사이에 문법표지가 없고, 휴지도 없다.
‘동사(구)+형용사(구)’, ‘형용사(구)+동사(구)’로 구성이 가능하면, 첫 번째 동사와 두 번째 동사는 일반적으로 시간적 선후, 인과관계로 구성된다. 예문은 다음과 같다.
mi~35 | dz\u35dz\u31wuN31 | ka31 | lV33 | mau33 | tsɿ35 | vu33 | dz\i33 |
3SG | everyday | eat | PTCL | meal | as.soon.as | go | outside |
mi~35 | aN31 | nuN31 | V31bM31 | ts\i33 | ts\o31 |
3SG | have | affair | look | for | 2PL |
ma33s\e35J_+_0i35 | mi~35 | aN33 | sɿ31ts\in33 | vu33 | da31 | wo33 |
now | 3SG | NEG | time | go | do | NEG.PTCL |
일반 의미의 동사 통제구문으로 V1이 일반 동사이고 V2는 V1의 목적어에 대해 서술한다. 예문은 다음과 같다.
사역의미 동사의 통제구문으로 해당 동사로는 ?lai55 派, lV33hau33 叫, dz\iɳ35 请, na35 让 가 있다. 예문은 다음과 같다.
da31hei31 | lV33hau33 | ma33 | da35 | qV31ts_hu35 | bM35 | do31 |
everybody | CAUS | PTCL | CL | people | that | come |
호칭이나 인정의미를 나타내는 통제구문으로 첫 번째 동사로는 V31ɬ@m35 选, pau31pau35 骂, ?lai 叫이 있고, 두 번째 동사로는 taN33 当, da31 做이 있다. 예문은 다음과 같다.
la35 | s\o31s@N33 | pau31pau35 | mi~35 | da31 | da35m_0o31 |
small | student | curse | 3.SG | do | pig |
애증, 좋고 싫은 의미의 통제구문으로 첫 번째 동사로는 dz\au喜欢, qen 憎恨이 있다. 두 번째 동사는 첫 번째 동사의 원인을 나타낸다. 예문은 다음과 같다.
첫 번째 동사가 aN31인 통제구문으로 첫 번째 동사는 사물(사람)의 존재를 표현하고 두 번째 동사는 서술, 설명, 묘사를 나타낸다. 예문은 다음과 같다.
mi~35 | aN35~31 | sa35 | la35lai33 | a31 | lEu31san35 |
3.SG | have | CL | child | in | PR.judo |
첫 번째 동사가 au31인 통제구문으로 무주어문이며, 첫 번째 동사가 목적어를 강조하고 목적어는 동시에 두 번째 동사의 주어가 된다. 예문은 다음과 같다.
최근에 lexical typology가 각광을 받고 있음. 다음과 같은 주제들이 주목받은 주제. 참고문헌에 있으면 정리한다. 따로 조사할 필요는 없음.
합성어는 형태소의 성질에 따라 형태 조어법과 통사 조어법으로 나뉜다
ma33 dM35 da35
qV31 lV35 vu31
맨 앞 접두사는 생략해도 의미 변화가 없다.
거라오어의 복합 조어법은 어근과 어근 내부의 통사구조관계에 따라 진술, 수식, 병렬, 보충, 중첩, 배치 의 6가지로 나뉜다.
앞 형태소가 진술의 대상이고 뒤 형태소가 앞 형태소의 진술을 진행한다. 주어와 술어의 관계이다.
앞 형태소가 동작, 행위를 나타내고 뒤 형태소가 동작행위를 하는 대상이다. 술어와 목적어 관계이다.
- 뜻은 음절 하나의 의미와 같으며, 중첩된다고 해서 문법 기능이 변하지는 않는다.
ex)au31au31 하다
aN31aN31 있다
dz\31dz\31 잎
거라오어의 차용어 유형은 3가지로 나눌수 있는데, 중국어의 전체차용, 부분차용, 의미차용 이 있다.
전체차용은 그 언어의 음과 의미 전체를 동시에 차용하는 방식이다. 거라오어 차용어의 대부분은 전체차용이다.
부분차용은 단어의 일부분은 민족 고유어를 사용하고, 다른 일부분은 중국어와 합쳐진 단어로 구성된 차용방식이다.
거라오어로 구성된 어휘에 중국어 어소를 더하여 구성된 차용어이다.
- qV31sM31 받다
의미차용은 고유민족 언어 자료를 이용하여 그 조어법에 따라 , 다른 언어가 나타내는 개념을 고유 민족 언어에 흡수하여 차용하는 방식이다.
거라오어는 중국어와 밀접하게 교류하면서도 고유의 특징을 잃지 않고 있다. 의미차용의 예는 다음과 같다.
- ts_hai35lan33 후대
서남부 소수민족 중에는 “동음차역”(같은 음을 차용함) 현상이 나타난다.
白眼借“ 라고 부르기도 한다. 이러한 차용어는 거라오어에서 그 수가 많아, 중요한 조어법중 하나라고 할 수 있다.
거라오어에는 중국어 차용어가 매우 많은 만큼 유입 시기의 문제가 존재한다. 거라오어 차용어의 역사적 층차를 분석함으로써 거라오어의 어휘 문제나 어음 발전 및 중국어와의 관계를 탐색할 수 있다.
ex)t_hu33 침대
s@M31 둘
새로운 차용어는 근대 이래로 현재까지의 거라오어와 중국어의 긴밀한 접촉 이후 대량으로 차용된 거라오어의 중국어 어휘이다.
역사는 비교적 짧으나 그 수가 매우 많으며 서남관화의 어음 특징과 가깝다.
너무 신경쓰지 말것. 주석이 잘 달린 긴 텍스트가 존재한다면 가공하여 정리할 수 있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