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용자 도구

사이트 도구


doc:gelao:gelao

**문서의 이전 판입니다!**

거라오어


01_basic : 기초 정보 (basic information)

거라오족과 거라오어 개황

  • 거라오족은 중국 남방의 오래된 소수민족이다.
  • 귀주성 북부,중부,서남부, 광서성 룽린각족자치현, 운남성 푸닝, 광남, 마관, 마리포 ,문산 등에 분포되어 있다.
  • 거라오족의 인구는 약 43만명이다.(1990년 기준).
  • 거라오’ 라는 단어가 전체 민족을 부르는 칭호이며, 지리적 차이가 있고, 분포 범위가 넓으므로, 민족 내부 간에 정상적인 교류관계가 부족하여, 각 지역의 거라오족은 복식, 풍속, 언어 등의 방면에서 각자의 특색을 형성하게 되었다.
  • 복장에 따라 청거라오, 홍거라오, 백거라오, 화거라오 등으로 나뉘며, 언어에 따라 多罗,哈给,稿,阿欧등으로 나눈다.
    - 箐口乡은 많은 민족이 거주하는 지역을 말한다, 귀주성 箐口乡남부에 居都村이 있다. 이 곳은 거라오족의 마을이라고 할 수 있으며, 총 인구 1703명 중 거라오족이 1583명으로 전체 인구의 92퍼센트를 차지한다.

거도 거라오어 개황

  • 거도 거라오어는 다라(多罗) 방언에 해있으며,이 방언은 귀주성의 사용인구가 가장 많다.
  • 거도 거라오어는 탁음 성모를 보존하고 있고, 청음 비음성모와 자음 성모가 존재한다.
  • 명사, 동사와 형용사의 대다수가 두사를 수반하며, 중첩현상이 비교적 보편적이다.
  • 형용사 변화가 발달하였으며, 부정 형식이 비교적 많아, 기타 방언들과 다른 특징을 가지고 있다.
    - 거도촌은 지치가 좋지 않고 경제, 문화가仡佬낙후되어 있다.
  • 거도촌 주민들은 문화 수준이 높지 않고, 대부분 학력이 낮다. 학교에서는 보통화나 귀주어를 가르치지만, 거라오어는 대체로 보존이 잘 되어 있고, 마을 전체에서 거라오어가 통하며, 아이들도 출생 후 바로 배우는 것이 거라오어이다. 거도거라오어의 모어는 거한 거라오어 이며 거도 거라오어가 현재 거라오 족의 언어이다.
  • ISO 639-3 코드
  • WALS 코드
2016/06/16 19:46

02_dialect : 방언 (dialect)

  • 거라오어에는 다라多罗,하게이哈给,가오稿,아오우阿欧의 4 가지 방언이 있는데, 거도 거라오어居都仡佬语는 다라多罗방언에 속해있다.
  • 다라多罗방언은 꾸이조우贵州,광시广西,윈난云南,베트남 남부 등에 분포해 있다.
  • 거도居都는 현재 거라오어를 가장 잘 보존 하고 있는 유일한 지역으로, 대표성을 지닌다. 그러므로 거도 거라오어를 연구대상으로 삼는 것은 아주 중요한 의미를 지닌다.
2016/06/16 19:46

03_contact : 접촉 언어 (contact language)

거라오족은 오랜 시간 한족과 더불어 살아왔으므로, 남녀노소 할 것 없이 모두 중국어를 말할 수 있으며, 각 지역마다 다르나 본래 언어를 할 수 있는 인구가 많지 않다.

2016/06/16 19:46

04_genetic : 계통 (genetic affiliation, genealogy)

거라오어는 한장어계에 속하며 발음이 묘어와 가깝다.

2016/06/16 19:46

05_writing : 문자 (writing)

대상 언어에 고유 문자가 있다면 설명. 참고문헌에 사용되고 있는 전사법도 설명. 문헌이나 학자마다 전사법이 다르다면 대응표 형태로 제시. 가능하다면 IPA 대응 정보도 제시.

러시아지역의 언어의 경우에는 각 언어마다 문자/전사법 대응표를 만들 필요 있음.

2016/06/16 19:46

11_cons : 자음 (consonant)

자음 개요

거라오어의 성모는 비교적 많다. 파열음, 파찰음, 마찰음에서 유성/무성음의 대립이 있다. 복자음성모, 무성음 비음 성모와 앞에 후색음을 수반하는 성모도 있다. 총 48개이다.

bilibial plosive p, p_h, b, pl, p_h_l, bl, pz
bilibial nasal m, m_0, ml
labiodental fricative f v
alveolar plosive t, t_h, d
alveolar nasal n, n_0, nz\
alveolar fricative s, z, s\z\, ?z\
alveolar lateral fricative ɬ
alveolar lateral approximant l, ?l
palatal approximant j, ?j
palatal nasal J_+, J_+_0
velar plosive k, k_h, g
velar nasal N, N_0
velar approximant w
velar fricative x, G
alveolo palatal fricative ʨ ʨ ͪ ɕ s\z\, ?z\
alveolar plosive fricative ts, ts_h, dz, dz\
glottal fricativeh
glottal plosive ?
uvlarplosiveq, q_h

자음 설명

  • 파열음, 파찰음, 마찰음 모두 유성/무성음이 대립하고 있다. p/b, /t/d, k/g, pl/bl, ts/dz, ʨ/ʥ, f/v, s/z, x/ɣ 등이 있다.
  • 무성음화 비음 m̥,n̥,ŋ̥,ȵ̥ 이 있다.
  • 복자음 성모 pl, phl, bl, ml, pz, nʑ 가 있다. 그 중 복성모 pz는 3개의 단어만 발견되었고, 고모음운모 ɿ와 함께 나타난다. p의 변이라 여겨지며, p 음위에 병합할 수 있다.
  • 후색음류에는 ˀl, ˀȵ,ˀʑ,ˀj 가 있다
  • 유성 마찰음 v와 반모음 w의 구분이 명확하다. 음위상 대립을 형성한다. 두 개의 독립적인 음위이다.
  • 소설음 q는 어두에 올 때 자주 생략된다. 생략되든, 생략되지 않든, 단어의 이해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
  • 노년층은 ɣ를 l로 읽는다.그러나 ɣ과 l은 두 개의 음위이다.
2016/06/16 19:46

12_vowel : 모음 (vowel)

거라오어의 모음은 단모음9개, 이중모음13개, 3중모음2개, 비음을 수반하는 모음이 11개 이다.

단모음

고저 전후 원순 음소
high near front unrounded I
high back unrounded ɯ
high back unrounded u
high mid front unrounded e
central mid rounded ə
high mid back rounded o
low mid front unrounded ɛ
low mid back unrounded ʌ
low front unrounded a
  • I ʨi33 이미
  • e pe35 작다
  • ɛ xɛ31 여덟
  • a la35 작다
  • ə ə35 접두사
  • ʌ qʌ31 접두사
  • o tso35
  • u ?u55 고기
  • ɯ M55

2중모음

3중모음

비음화모음

2016/06/16 19:46

13_supra : 초분절요소 (suprasegmental)

성조

거도 거라오어에는 총 4개의 성조가 있다.

성조값 예시

  • 55 ta55 원숭이
  • 33 vu33 가다
  • 35 vu35
  • 31 ta31 셋(3)

성조특징

  • 거라오어에는 두 개의 평조(1성,2성)이 있다. 하나는 오름조, 하나는 내림조이다.
  • 성조체계에 서성조, 촉성조와 입성의 구분이 없다.
  • 변조 현상이 비교적 명확하고, 구나 문장에서 균등하게 나타난다.
  • 33조와 55조를 구분하기 어렵다. 발화자가 발화 시 바꿔 발음하는 경우도 있다. 그러나 두 개의 다른 성조이다.
2016/06/16 19:46

supra_length : 장단 (length)

2016/06/16 19:46

supra_pitch : 음조 (pitch)

  • 성조
  • pitch accent
  • 억양
2016/12/10 20:18

supra_stress : 강세 (stress)

2016/06/16 19:46

14_sylstr : 음절구조 (syllable structure)

거라오어에는 총 11개의 음절구조 형태가 존재한다. 음절에는 자음이 없을 수 있고, 모음은 없어서는 안된다.

V
  • M55 : 물
  • i55 : 나
VV
  • au31 : ~하다
  • aM35 : 눈,싹
VC
  • aN31 : 부
  • ?@N31 : 돌
CV
  • la35 : 작다
  • xM55 : 강
CVV
  • lui31 : 하늘
  • mau33 : 식사
CVC
  • man31 : 비
  • ?lan31 : 길
CVV
  • nz\u35 : 풀
  • nz\i31 : 소
CCVC
  • mlan31 : 죽음
  • mlaN31 : 기름
CCVV
  • ml@M35 : 5
  • ml@M55 : 공업
CVVC
  • liaW35 : 충분한
CVVC
  • liaN31 : 시원한
  • kuan55 : 습관이 되다
2016/06/16 19:46

15_phonproc : 음운과정 (phonological process)

음변

거라오어에 존재하는 음변 현상은 대부분 연속해서 읽을 때 일어나는 변조 현상이다.

연속해서 읽을 때 나타나는 변조는 단어, 문장에서 균등하게 일어나지만, 새로운 성조를 발생시키지는 않는다. 변조범위는 본래 성조 체계의 범위로 한정하여 일어난다.

거라오어의 접두사는 동사성 접두사와 명사성 접두사로 나뉜다.

  • 동사성 접두사- qʌ³¹, vu³¹, lʌ³¹
  • 명사성 접두사- ma³³,la³⁵,qʌ³¹,vu³¹, lʌ³¹

명사성, 동사성 접두사 모두 변조 현상이 존재하며 명사 앞의 접두사로 쓰일때에만 변조가 일어나지 않는다.

단어 음변
qʌ³¹
본조+오름조

명사

  • qV31ts_hu35 사람 qV31de35

동사/형용사

  • qV31ts_hu35 낮다 qV31plW35뛰다
본조+내림조

명사

  • qV31laN31음식 qV31?lan31

동사/형용사

  • qV31s@W31 웃음 qV31z\u31 낚다
변조+수평조

명사

  • qV33pin33 형제 qV33luan33 규칙

동사/형용사

  • qV33de33 기름지다 qV33dzoN33위쪽
vu³¹

동사성이든 명사성이든 접두사 vu³¹ 는 뒤에 오는 음절이 내림조혹은 오름조일 때, 접두사가 본래 조인 31조로 읽힌다.

만약 접두사 뒤에 수평조가 온다면 접두사 역시 동화되어 중수평조 vu³³이 된다.

예외는 대사 “vu ʨi” 이다. 접두사 뒤에 수평조가 오는데 접두사가 본래 성조로 읽힌다.

본조+오름조
명사
  • vu31tau35vu31liu35 얼굴
동사
  • vu31ja35vu31ne35처리하다
본조+내림조
명사
  • vu31juN31 기력 vu31dz\i31
동사
  • vu31ha31 열다 vu31l@M31 무섭다
개사
  • vu31ze35 때리다
대사
  • vu31ts\i33 무엇
변조+수평조
명사
  • vu33tai33vu33J_+_055
동사
  • vu33daN33 죽이다
형용사
  • vu33tsา33 많다
lʌ³¹

접두사 lʌ³¹는 동사성이든 명사성 이든지 간에, 뒤 음절이 내림조 혹은 오름조이면 본래 성조 31로 읽힌다.

만약 접두사 뒤에 수평조가 오면 접두사는 동화되어 중수평조 33으로 바뀐다.

본조+오름조
명사
  • lV31dz\u35 막대기 lV31hau35 삿갓
동사
  • lV31hei31 떨어지다 lv31plM35달리다
본조+내림조
명사
  • lV31dzaN31의자 pau33lV31ba31한자
동사
  • lV31b@N31 움직이다 lV31k_hen31 탐내다
변조+수평조
명사
  • lV33wu55 태양 lV33q@M33 화분,대야
동사
  • lV33hau33 부르다 lV33qaN33엎드리다
문장 음변

문장에서의 변조는 단어가 문장안의 앞뒤 단어의 영향을 받거나 특정한 문법 기제의 제약에 따라 발생한다. 아래와 같은 복잡한 상황이 존재한다.

판단동사 “au³¹是” 의 변조

1.“au³¹是”는 문장에서 뒤에 내림조가 올 때 오름조로 바뀐다.

  • ne35 i55 au35~31 na31 ?o33 qau33 나는 다른 사람에게 일하게 했다.

2.au³¹이 뒤에 오는 상황에 대해 확신이나 강조를 나타내면, 오름조로 변한다.

  • au35~31 ka31 dM35gu33 a35qV31dzo31 di33 a35dzo33 di33 산위의 야생의 음식을 먹는 것

3.au³¹이 뒤에 오는 상황에 대한 부정을 나타내면, 수평조로 변한다.

  • a35 bM35 au33 nz\i31 wo33 저것은 소가 아니다
동사 변조

동사 바로 뒤에 오름조인 단어가 올 때, 내림조가 오름조로 변한다.

  • di33to31 ɬa35~31 da35pu33 ne35 vu35?@N31 ts\_hia35ts\_hia35ko33ko33 우리는 그 돌을 깃털처럼 가볍게 등에 멨다.

강조동작일 때 내림조가 오름조로 변한다.

  • p_ha35 J_+i35 ne35 mi~35 s\in35~31 이번엔 그가 말한다.

문장에 강조 조사가 있을 때, 앞의 동사는 변조가 필요하다.

  • V31mMN31 s\in35~31 t_hei35 vu31ts\i33? 뭐라고 말했니?
대사

대사가 개사 뒤에 위치할 때, 수평조가 오름조로 바뀐다.

  • m@M31 a31 nan35~31 ka31 ne35 i55 a31 nan35~33 ka31 네가 먹는 곳에서 나도 먹을게
명사

몇몇 명사는 앞에 오는 단어의 영향으로 성조가 변한다. 일반적으로 내림조가 오름조로 변한다.

형용사

정도 비교 형용사 do³¹ 앞 단어의 변조 상황은 아래와 같다.

do³¹ 앞 단어가 내림조이면 오름조로 바뀐다.

  • t_hai35? luN31 s\in31 duN35~31 do31 말을 너무 잘했다.

do³¹ 앞 단어가 수평조이면 성조가 변하지 않는다.

  • pau33no33 t_hai35 dzuN33 do31 남자들은 너무 어리석다

do³¹앞의 단어가 오름조이면 그대로 오름조를 유지한다.

  • tuN33 a31 pa35?len31 mu35dza35 do31 집안 쓰레기가 너무 냄새가 난다.

do³¹앞의 dza³⁵는 변하지 않는다.

만약 do³¹ 앞의 단어가 이음절 형용사라면, 이음절 뒤의 운모가 중복되거나, 음이 연장되는 음절 ʌ³³이 추가된다.

  • mu35dza35V33 do31 wo35 너무 냄새난다.
  • quN31quN35 uN33 do31 너무 힘들다

내림조 형용사는 문장에서 형용사를 강조해야 할 때, 오름조로 변한다.

  • vu31tau35 qV33nan33 leN35~31 V35 구덩이가 깊다
  • khai35 q@M35~31 m@u31 na31~55 du33 전 회에는 네가 나에게 계산하게 했다

예⓵은 qʌ³³nan³³을 강조하기 위해 leŋ³⁵⁻³¹과 같은 결과가 나타났다.

예⓶는 khai³⁵를 강조하기 위해 qəɯ³⁵⁻³¹과 같은 결과가 나타났다.

개사

개사 목적어를 강조해야할 때, 개사에 변조가 일어난다.

na35~31 i55 zan33 qau35 V31ɬ@M35 ts\_ha31 내가 한번 물어보겠다.

부정변조

1.부정문에서 술어동사가 수평조로 변화하여 부정을 표시한다.

m@M31 aN31 wai55 jaM33 aN33~31 당신은 형제가 있습니까?

m@M31 ?luN33~31 da31 z\31 당신은 노래를 못합니까?

2.조동사가 있는 문장에서는, 능원동사가 내림조에서 수평조로 바뀌며 부정을 표시한다.

m@M31 han33~31 z\i31 k_hen31 wo33 너는 쉴 수 없다.

m@M31 han31 vu33mi55zen31 han33 너는 집에 돌아갈 수 있니?

3.문장 끝에서의 부정부사 변조는 문장의 긍정부정 형식의 연속된 사용을 표시한다.

m@M31 vu33 ma35~31 너 가니?

음 생략

거라오어에는 음 생략 현상이 존재한다.

접두사 qʌ³¹은 대체로 성모를 생략하고 운모만 읽는다

  • a33mi33 vu33 tsen31 laM33bM33 V33J_+_0aN33 ts\_hi33nz\i35 fei31 i55
  • qV33J_+_0aN33V33J_+_0aN33 로 바뀜
  • 접두사 qʌ³³ʌ³³으로 읽어도 의미에 영향을 주지 않는다.

동화(assimilation)

문장 끝의 부정부사 wo³³과 어기사 o³⁵혹은 ʌ³⁵가 서로 연속에서 나타날 때, 두개의 음절은 대체로 하나의 음절로 합병된다.

wo35

wo³⁵는 wo³³과 문장 끝의 어기사 o³⁵가 합병된 결과이다.

  • V31 mi~35 aN31 hE31 ɬia35 ma33 do31 wo35 그는 십중팔구 오지 않을 것이다.
wʌ³⁵

wʌ³⁵는 부정부사 wo³³과 문장 끝의 어기사 ʌ³⁵가 합병된 결과이다.

  • vu33 tai33 pau31 au35 tM33 aN33 wV35 두부는 이제 없다.
2016/06/16 19:46

phonproc_assimil : 동화(assimilation)

  • 동화는 어떤 소리가 인접한 소리와 비슷해지거나 같아지는 현상을 말하는데, 이를 통해 발화시에 필요한 노력이 경감됨.
  • 조음 위치 동화: 해당 언어에 나타나는 주요 조음 위치 동화를 기술. 예) 구개음화
  • 조음 방법 동화: 해당 언어에 나타나는 주요 조음 방법 동화를 기술. 예) 파찰음화
  • 위치 동화의 양상
    • 초성이 동화되는지 또는 종성이 동화되는지 검토할 것.
    • 조음 위치별로 적용 여부에 차이가 있는지 검토할 것.
2016/06/16 19:46

phonproc_hiatus : 모음충돌회피

  • 모음 충돌을 회피하는 방법이 있다면 해당 언어에 다음 중 어느 것이 존재하는지 기술할 것.
    • 대치(주로 반모음화)
    • 탈락(모음 탈락)
    • 첨가(반모음 또는 자음의 첨가)
    • 축약
2016/06/16 19:46

phonproc_supra : 초분절요소와 관련된 음운과정 (suprasegmental process)

음변

거라오어에 존재하는 음변 현상은 대부분 연속해서 읽을 때 일어나는 변조 현상이다.

연속해서 읽을 때 나타나는 변조는 단어, 문장에서 균등하게 일어나지만, 새로운 성조를 발생시키지는 않는다.

변조범위는 본래 성조 체계의 범위로 한정하여 일어난다.

거라오어의 접두사는 동사성 접두사와 명사성 접두사로 나뉜다.

  • 동사성 접두사: qʌ³¹, vu³¹, lʌ³¹
  • 명사성 접두사: ma³³,la³⁵,qʌ³¹,vu³¹, lʌ³¹
    명사성, 동사성 접두사 모두 변조 현상이 존재하며 명사 앞의 접두사로 쓰일때에만 변조가 일어나지 않는다.
단어 음변
qʌ³¹
본조+오름조

(1)명사

  • qV31ts_hu35 사람 qV31de35

(2) 동사/형용사

  • qV31ts_hu35 낮다 qV31plW35뛰다
본조+내림조

(1)명사

  • qV31laN31음식 qV31?lan31

(2)동사/형용사

  • qV31s@W31 웃음 qV31z\u31 낚다
변조+수평조

(1)명사

  • qV33pin33 형제 qV33luan33 규칙

(2)동사/형용사

  • qV33de33 기름지다 qV33dzoN33위쪽
vu³¹

동사성이든 명사성이든 접두사 vu³¹ 는 뒤에 오는 음절이 내림조혹은 오름조일 때, 접두사가 본래 조인 31조로 읽힌다. 만약 접두사 뒤에 수평조가 온다면 접두사 역시 동화되어 중수평조 vu³³이 된다. 예외는 대사 “vu ʨi” 이다. 접두사 뒤에 수평조가 오는데 접두사가 본래 성조로 읽힌다.

본조+오름조

(1)명사

  • vu31tau35vu31liu35 얼굴

(2)동사

  • vu31ja35vu31ne35처리하다
본조+내림조

(1)명사

  • vu31juN31 기력 vu31dz\i31

(2)동사

  • vu31ha31 열다 vu31l@M31 무섭다.

(3)개사

  • vu31ze35 때리다
    (4)대사
  • vu31ts\i33 무엇
변조+수평조

(1) 명사

  • vu33tai33vu33J_+_055

(2)동사

  • vu33daN33 죽이다

(3)형용사

  • vu33tsา33 많다
2016/06/16 19:46

phonproc_vharmony: 모음조화(vowel harmony)

  • 해당 언어에 모음조화 현상이 존재하는지의 여부를 검토하고, 존재한다면 다음의 특성(자질) 중 어느 것과 관련된 것인지 기술.
    • 혀의 전후 위치
    • 혀의 높낮이
    • 혀뿌리(설근)의 전진(ATR) 또는 후축(RTR)
2016/06/16 19:46

21_wordclass : 단어부류 체계 (word class system)

  • 대상 언어의 전반적인 단어부류의 특징을 기술.
  • 두드러진 특징을 기술.
    1. 단어 부류 체계의 유연성. 특히 명사 동사 구분의 유연성이 중요한 포인트. 예) 명사와 동사 사이의 구분이 애매
    2. 형용사의 단어 부류 상의 지위.
      1. 폐쇄 부류 대 개방 부류. 예) 형용사가 50개밖에 없음.
      2. 형용사가 명사성 대 동사성.

    - 이것으로 부족하고 특정 품사에 대해 자세히 기술하고 싶다면 하위 문서에 기술.

  • 명사와 동사의 동형 현상. 영어, 중국어 등은 동일한 형태가 명사, 동사로 모두 쓰이는 언어이고 한국어는 매우 제한된 언어이다. 이러한 내용을 기술한다.
2016/06/16 19:46

22_noun : 명사 (noun)

명사의 성

  • 거라오어 명사에는 성의 구별이 있다.
  • 성을 구별하는 방법은 두 가지가 있다.
  • 하나는 접두사를 사용하여 구별하는 방법이고 하나는 단어 자체를 바꿔서 나타내는 방법이다.
  • 접두사로는 ma33/ja31 (여성) 혹은 pau33/dɯ35/be31(남성)을 사용한다.

접두사 부가

동물, 사람의 성의 구별을 모두 접두사를 붙여서 표시한다. 남성이나 수컷은 pau33, 여성이나 암컷은 ma33를 붙인다.

  • 남자 pau33no55
  • 여자 ma33no55
  • 수탉 pau33qE31
  • 암탉 ma33qE31

나이 많은 연배의 친족 명칭에는 남성은 be³¹, 여성은 ja³¹를 붙인다.

  • 외조부 be31?aM35
  • 외조모 ja31?aM35
  • 고모부 be31vei33 - 고모 ja31nai33

직업 명칭에서 남성을 표시할 때는 lʌ31ke35(匠人, 사부)를, 여성을 표시할 때는 ma33을 붙인다.

  • lV31ke35phlM35 銀匠
  • ma33ja31a35dzen33mlM31 여자 무당
    몇몇 사람과 사물은 양사성질을 가진 접두사 dɯ35, pau33으로 남성성, ma33으로 여성성을 나타낸다.
  • 홀아비 dM35blaN33
  • 과부 ma33blaN33
  • 한 마리 수캐 tsɿ33dM35/pau33m_0MN31 한 마리 암캐 tsɿ33ma33m_0MN31

    무생물은 거라오어에서 여성성으로 표시된다.

  • ma33xM33
  • 고구마 ma33ji31mi33

    추상적인 명칭은 거라오어에서 일반적으로 남성으로 표시된다.

  • 하늘 pau33lui31lui31
  • 하늘 be31lui31lui31
  • 부뚜막 신 be31Ne31tsuN55

    너무 작아서 성별을 구분하기 힘든 동물의 경우 거라오어에서는 여성성으로 표시된다.

  • 파리 ma33pei31zo31
  • 나비 ma33bu33bu33

명사의 수

거라오어 명사는 수는 형태변화가 없다.

거라오어의 수사 양사와 관련된 수 표현은 수사와 양사 부분 참고.

명사 뒤에 접미사 “ʌ33tsɿ33”(-들)을 붙여 복수 표현을 하기도 한다.

judu1234 kangzhongde2011:48
ke35su31ʌ33tsɿ33
teacherPL
선생님들
명사의 크고 작음 표시

형태소 부가로 사물의 크고 작음을 표시한다. 그러나 큼과 작음을 표시하는 방법은 서로 다른 수식구조를 가진다.

큼을 표시하는 방법

큰 사물을 표시할 때 명사 앞에 “ma³³”를 붙이거나 명사 뒤에 “a³⁵dzuŋ”를 붙여 표현한다.

  • 큰 비 ma33man31
  • 대문 pi33adzuN31

연배가 위인 친족 명칭을 표시할 때 명사 뒤에 ʌ³³sɯn³³(大)나 a³⁵jəu⁵⁵(老)를 붙인다.

  • 오빠(형) wai33a35V33sMn33
judu1234 kangzhongde2011:48
pau33ma33?jaM33-a35?j@u55
old.Wang-old
왕씨 성의 어르신
작음을 표시하는 방법

거라오어에서 작은 사물을 표시할 때 “la35, la35ə31pe35, la35pe35, pe35, pe31pe35”로 나타낸다. 이 중에서 “la35, la35ə31pe35, la35pe35”는 명사 앞에 출현하고, “pe35, pe31pe35”는 명사 뒤에 출현한다.

명사 앞
  • 작은 길 la35qV31?lan31
  • 적은 비 pe35man31
명사 뒤
judu1234 kangzhongde2011:49
V31tshu35-pe31pe35
human-small
작은 키

연배가 적은 친족명칭을 표시할 때 일반적으로 명사 앞에 “la35, da35”를 부가하거나 혹은 명사 뒤에 “a35dai35dai33“을 부가하여 나타낸다.

명사 앞
  • 손자 la35?li31
  • 이씨(小李) da35ma35ts\iu31
명사 뒤
  • 작은 아들 da35a35dai35dai33

명사의 중첩

거라오어의 명사 중 일부분은 중첩이 가능하다.

명사 형태소 자체를 중첩하여 하나의 완성된 단어를 만든다. 조어법 상의 중첩이다.

  • 종이 ml@M31ml@M31
  • 제비 biau31biau31
  • 영화 M55M55

통사 형식상 중첩되는 명사도 일부 있다. 단독 음절과 중첩 형식의 의미가 일치한다.

  • 그릇 san35san33
  • 하늘 lui31lui31
2016/06/16 19:46

23_verb : 동사 (verb)

거라오어에서 동사는 수량 면에서 명사 바로 다음이라고 말할 수 있는 큰 품사이며, 동작행위동사, 심리활동동사, 존재, 변화, 소실을 나타내는 동사, 판단동사, 조동사, 방향동사의 6 가지 큰 종류로 나눌 수 있다.

동사의 분류

동작행위동사
  • ka31 먹다
심리활동동사
  • dɯ31 생각하다
존재, 변화, 소실을 나타내는 동사
  • plan31 죽다
판단동사
  • au31 이다
조동사
의지
  • dʑau31 –고 싶다
  • ɯ35 –고자 하다
  • gen31 감히
이치, 사리에 대한 판단
  • han31 능히, 마땅히
객관 조건에 대한 판단
  • tshuŋ31 능히
  • han31 능히, 마땅히
허락
  • han31 해도 된다.
방향동사:
  • do31 오다,
  • vu33 가다,
  • vu33dʑi33나가다,
  • vu31ha31 열다,
  • lo35do31 일어나다,
  • ʌ31nei31 오르다,
  • lʌ33jaɯ33 내리다,
  • ko35 지나다(过),
  • tɕhi33 일어나다(起),
  • lo35do31 일어나다(起来),
  • do31ʔo55 올라오다,
  • do31qʌ31tsei31 내려오다,
  • vu33ʔo55 올라가다,
  • vu33qʌ31tsei31 내려가다

동사의 중첩

거라오어에는 조어법상의 동사중첩이 있고 통사상의 동사 중첩이 있다.

조어법적인 중첩

거라오어에서 동사 중첩은 동사가 두 개의 같은 음성 성분 중첩으로 형성되었다는 것, 즉, 두 음성 성분이 합쳐져서 하나의 완전한 동사를 이루며 분리되면 의미가 없는 것을 가리킨다.

  • qo31qo31 쓰다(戴)
  • bɯ31bɯ31 찾다(找)

일부동사는 중첩된 앞 구성 요소를 qʌ31로 바꿔 쓸 수 있는데, 이 경우 동사의 전체 의미는 변하지 않는다.

  • bɯ31bɯ31 → qʌ31bɯ31 찾다

일부 동사는 두 개의 형태소가 상승 어조인 경우 중첩시 두 번째 구성 요소가 하강조로 바뀐다.

  • tɕi31tɕi31 (부리로 쪼다).

만약 두 구 구성 요소의 어조가 평조 혹은 하강조이면 어조가 변하지 않는다.

  • bɯ31bɯ31 (찾다)
통사적인 중첩

거라오어에서 통사적인 동사중첩은 독립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동사가 중첩되어 사용되는 것을 가리킨다. 중첩하여 사용되어도 기능이나 의미에는 변화가 없다. “qaŋ31qaŋ31 끌다, au31au31 이다, aŋ31aŋ31 있다, dɯ31dɯ31 생각하다” 등을 들 수 있으며 4음절 형식으로는 “vu33vu33do31do31 가고오다”를 들 수 있다.

2016/06/16 19:46

24_adj : 형용사 (adjective)

형용사의 의미와 종류

거라오어의 형용사는 아래의 세 가지 종류로 세분할 수 있다.

성질형용사
  • gi33 좋다
상태형용사
  • pau31au31 희다
부정량(不定量)형용사
  • ʔle31 많다
  • khe33khe33 적다
  • tɕhin31pu35 전부

형용사-명사 동형어

거라오어에는 형용사와 명사의 형식이 같은 단어들이 일부 존재한다. 이러한 종류의 단어는 수량이 많지 않다.

  • (태우지 않은) 향: mu35khen35
  • (태운적이 있는) 향: qʌ33du35dzi35
  • 향기롭다(형용사): mu35khen35
  • ‘태우지 않은 향’과 형용사 ‘향기롭다’는 모두 ‘mu35khen35’이므로 형용사와 명사의 형식이 같음을 알 수 있다.

생동감 있게 표현되는 형용사 형식

형용사에 음의 부분중첩을 추가해 형용사를 더욱 생동감 있게 표현하는데, 음의 부분중첩은 형용사 그 자체의 한 개 혹은 두 개 음절이거나 혹은 그 형용사의 부가 음절이다. 그러나 기본적으로 어휘 의미나 문법 기능은 없다. 따라서 접사와는 매우 명확한 차이가 있다. 거라오어의 형용사 생동형식은 단어 수량이 많을 뿐 아니라 형식도 풍부하여 거의 모든 형용사가 자신의 생동형식을 가지고 있다. 즉, 모든 단어가 모든 고정적인 부가 음의 부분중첩을 가지고 있다. 형용사의 생동형식은 주로 해성(谐声)이며 중첩은 비교적 적다. 형용사 생동형식은 형용사 원형과 비교하였을 때 어휘 의미의 정도가 심화되고 어법의미와 통사기능은 기본적으로 변하지 않는다.

단음절 형용사의 생동형식
중첩하여 부가함(AAB)
  • tsau35 촉촉하다 → phe31phe35tsau35 축축하다
중첩이나 부가가 아닌 경우
A → BCA/ACB
  • A와 B는 해성(谐声)이고 C는 과도 역할을 하는 어기사이다.
  • dzen35 넓다 → dza31ʌ33dzen35 아주 넓다
A → AB/BA
  • A와 B는 해성(谐声)이다. 단음절 형용사가 상승조일 때, 음이 부가되면 형용사 뒤도 상승조로 동화되고, 부가 음절이 형용사 앞에 있을 때는 하강조가 된다.
  • dzuŋ31 크다 → dzuŋ31dza33 아주 크다
  • khu35 깨끗하다 → khu35kha35/ kha35khu35 아주 깨끗하다
A → ABAC
  • B와 C의 의미는 대부분 같다.
  • dzuŋ33 멍청하다 → dzuŋ33plan31dzuŋ33mau35 매우 멍청하다
A → BABC
  • A와 C는 의미가 비슷하다
  • dzuŋ33 멍청하다 → dze33dzuŋ33dze33ŋaŋ33 매우 어리석다
이음절 형용사의 생동형식

거라오어의 이음절 형용사는 음의 부분중첩을 형용사 뒤에 부가하거나 혹은 형용사 앞에 부가하여 4음절격식 혹은 5음절격식의 단어를 만들어서 생동형식을 나타낸다. 변화방식은 매우 다양한데 주로 다음과 같은 형식이 있다.

첩음(叠音) 형식
AA → AABC
  • B는 과도음이다.
  • kai31kai31 팽팽하다 → kai31kai31ʌka35 아주 팽팽하다
AA → AABB
  • kuŋ31kuŋ31 무겁다 → kuŋ31kuŋ31kɛ31kɛ31 아주 묵직하다
AA → BBAA
  • tan35tan33 달다 → ta31ta31tan35tan33 매우 달다
AA → CBCA
  • ple33ple33 시다 → ʌ31pla31ʌ31ple33 매우 시다
첩음이 아닌 경우
  • AB → AAB
  • pla31de35 빨갛다 → pla31pla31de35 새빨갛다
AB → CDAB
  • vu31a35 말랑하다 → ʌ31tie35vu31a35 말랑말랑하다
AB → CACB
  • ȵuŋ33ȵa35 어지럽다 → vu31ȵuŋ33vu31ȵa35 엉망진창이다
AB → CCAB
  • mu35dza35 냄새 나다 → phi31phi31mu35dza35 (냄새가)지독하다
AB → ACAB
  • qʌ33de33 통통하다 → qʌ31da31qʌ33de33 뚱뚱하다
AB → ABAC
  • ʌ31li35 미끄럽다 → ʌ31li35ʌ31lia35 미끌미끌하다
AB → ABAB
  • qʌ31den31 뜨겁다 → qʌ31den31qʌ31den31 뜨끈뜨끈하다
중국어 차용 형식

거라오어에서 중국어를 차용한 형용사 생동형식은 사음절 형식을 취하고 있다. 대부분이 중국어의 의미를 번역하여 이루어진 것이다.

judu1234 kangzhongde2011:79
e35min31e35ko35
움츠리다움츠리다
몸을 움츠리다
뒤에 'C+do31' 형식을 추가

단음절이나 이음절에서 마지막 음절의 운모(C)에 do31를 추가함. 성조는 일률적으로 중평조 33이다.

  • pau31au35 희다 → pau31au35au33do31 새하얗다
기타 변환 형식

4음절 형식이 대부분이며 5음절 형식도 있음.

  • te33le33tɯ31lɯ31 어리벙벙하다
  • ts\ha35V31ka31V33ko33 가뿐하다


2016/06/16 19:46

25_adv : 부사 (adverb)

거라오어 부사의 분류

거라오어의 부사는 크게 '정도부사, 범위부사, 시간부사, 빈도부사, 양태/방식부사, 긍정/부정부사, 어기부사'로 나누어볼 수 있다.

거라오어 부사의 문법 특징

부사는 모두 부사어 역할을 한다.

부사 do31가 형용사를 수식할 때는 주로 형용사 뒤에 놓이고, 형용사가 하강조이면 상승조로 바꿔야 한다.

  • ʑu31 높다 → ʑu35do31 아주 높다

부사는 일반적으로 홀로 쓰일 수 없으며, 동사나 형용사와 함께 쓰여야 한다.

일부 부사는 접속사 역할을 겸하기도 한다. 어떤 경우에는 단독으로 사용되고 어떤 경우에는 짝을 이루어 사용한다. 부사 “ɯ35”(바로, 중국어의 '就'에 해당함)는 단독으로 사용되는 경우이고 부사 “dʑi31…dʑi31…; je31…je31; jin31…jin31 (–ㄹ 수록, 중국어의 '越'에 해당함)“는 짝을 이루어 사용되는 경우이다. 그 예는 다음과 같다.

judu1234 kangzhongde2011:86
m@M31M35plan31M35mau35
2SGwantdiejustdie
네가 죽기를 원한다면 죽어라. (你要死就死。)
judu1234 kangzhongde2011:86
mi~35dz\i31qV31plM35dz\i31ko33
3sgmorerunmorefast
그는 달릴수록 더 빨라졌다.(他越跑越快。)

상용 부사

정도부사
전치 정도부사
thai35 너무, 아주
judu1234 kangzhongde2011:86
a35wuN31n\i35dz\u31weN31thai35V31z\i35
DMdaythiseveningtoocold
오늘 저녁은 너무 춥다.
tsui35 제일
judu1234 kangzhongde2011:86
mi~35ma33qV33n\aN33tsui35gi33
3sgNEGparticipatemostgood
그가 참가하지 않는 것이 제일 좋다.(他不参加最好。)
aŋ35saŋ33 조금
judu1234 kangzhongde2011:86
aN35saN33liaN31tau33
a.littlecatch.cold
약간 감기기운이 있다.(有一点儿感冒。)
ɕaŋ33aŋ31/haŋ35aŋ31 얼마나, 그다지
judu1234 kangzhongde2011:87
s\N35aN31kuai35di33mi~35da31ts\i33?luN31aN31tsɿ33plei35?
verystrange3sghomehowcanhaveonehalf
정말 이상하다, 그의 집에 어떻게 절반이 있지?(多么奇怪,他家怎么会有一半?)
dʑi31...dʑi31...; je31...je31; jin31...jin31 –ㄹ 수록
judu1234 kangzhongde2011:87
mi~35dz\i31qV31plM35dz\i31ko33
3sgmorerunmorefast
그는 달릴수록 더 빨라졌다.(他越跑越快。)
후치 정도부사
do31 아주

방향동사 “do31(起来)“와 부사 “do31(很)“의 용법은 구별할 필요가 있다. 방향동사 “do31(起来)“는 방향동사 “tɕhi33do31”의 생략형식이다. 만약 앞의 형용사가 상승조 외의 기타 어조이면 형용사는 상승조로 변화한 후에 “do31(很)“를 부가하여 부사 수식 형식을 나타낸다. 그리고 변조하지 않고 직접 “do31(很)“를 뒤에 부가하는 것은 방향동사 형식을 나타낸다. 만약 앞의 형용사가 상승조일 때 형용사 뒤에 형용사 주요 음절에 개음이 아닌 운모 형식을 부가한 후 다시 “do31(很)“를 부가하면 부사 수식 형식이다. 그리고 형식을 변화시키지 않고 직접 “do31(很)“를 부가하면 방향동사 형식이다.

방향동사 용법

judu1234 kangzhongde2011:88
V31den31do31V35
hotcome
더워졌다.

부사용법

judu1234 kangzhongde2011:88
V31den35do31
hotvery
매우 덥다.

방향동사 용법

judu1234 kangzhongde2011:88
kM35do31V35
thirstycome
목말라졌다.

부사 용법

judu1234 kangzhongde2011:88
kM35M35do31
thirstyvery
매우 목마르다.
thai35...do31 아주
judu1234 kangzhongde2011:88
m@Mvu33thai35q@M35do31
2sggotooearlyvery
너는 너무 빨리 떠났다.(你走得太早。)
범위부사
tsɩ33/tɯ33 다(都)
judu1234 kangzhongde2011:89
i55V33n\aN33mi~35tsɿ33vu33ko35
1sgand3sgallgoDIREVID
나와 그는 모두 가본 적이 있다. (我和他全去过。)
wan31tɕhin31/tɕhin31pu35 완전히(完全), 전부(全部)
judu1234 kangzhongde2011:89
ts\hin31pu35ts\i33ts\o31da31
all2PLdo
모두 너희들이 해라. (全部你们自己做。)
je55 도 (也)
judu1234 kangzhongde2011:89
m@M31je55M35vu33V33?
2sgalsowantgoDM
너도 가? (你也去?)
tsɩ33 뿐 (只)
judu1234 kangzhongde2011:89
qV31i55tsɿ33ka31?u55lie35
DM1sgonlyeatmeatPTCL
나는 단지 고기만 먹었다. (我只吃肉。)

시간부사

tshei31 이제야(才,刚刚)
judu1234 kangzhongde2011:90
ta31duN31tshei31wan31do31
threepointonlycome.back
세시가 되어서야 돌아왔다. (三点才回来。)
li31ma55; blei35...blei35; kan33tsɩ33/ko33tsɩ33; tshou55 바로, 즉시(立刻)
judu1234 kangzhongde2011:90
i55li31ma55do31
1sgright.awaycome
나는 금방 올 것이다. (我立刻来。)
ɯ35 바로(就)
judu1234 kangzhongde2011:91
m@M31M35plan31M35mau35
2SGwantdiejustdie
네가 죽기를 원한다면 죽어라. (你要死就死。)
tsɿ33/tsɿ35/tɯ35 ...면(就)
judu1234 kangzhongde2011:91
pM35lan31tsɿ35do31
시간이 있으면 놀러오너라. (有空就来玩。)

빈도부사

da31vuŋ31 자주(常常)
judu1234 kangzhongde2011:91
mi35da31mlM33di33sɿ33hou35,luN35da31vuN31qV31ɬ@M31
3sgworkPTCLwhensweatoftenflow
그는 노동할 때 자주 땀에 젖는다. (他劳动时,常常大汗淋漓。)
tsai35 다시(再)
judu1234 kangzhongde2011:92
Ne31lo35tsai35blai35
tomorrowagainchoose
내일 다시 고를 것이다. (明天再挑。)
ha31 또(还)
judu1234 kangzhongde2011:92
m@M31Ne35lan31ha31?luN31do31?luN33V35?
2SGlateragainwillcomeNEGPTCL
너 나중에 다시 올거니? (你以后还会来吗?)
jou35 또(又)
judu1234 kangzhongde2011:92
qV31mi~35jou35qV31nz\i35qV31s@M31
DM3SGagainsmiling
그는 다시 미소지었다. (他再次微微地笑。)

양태/방식부사

nʑi55qəɯ31 먼저(先)
judu1234 kangzhongde2011:93
m@m31vu33nz\i55q@M31,di33to31lV31hei31V33s\e35tsai35vu33
2SGgofirst1PLwaitfor.a.momentagaingo
너 먼저 가라, 우리는 좀 있다가 가겠다.(你先去吧,我们等一会儿再走。)
pan35lan33 나중에(后)
judu1234 kangzhongde2011:93
i55do31pan35lan33
1SGcomelater
나는 나중에 왔다. (我后来。)
tsɩ33qʌ31ʔlan31 함께(一起,一路)
judu1234 kangzhongde2011:93
i55qV33n\iaN33m@M31tsɿqV31?lan31vu33
1SGand2SGtogethergo
나는 너와 함께 간다. (我和你一起去。)
dʑu33tau33/ti31ji35 일부러(故意)
judu1234 kangzhongde2011:93
mi~35tsɿ35ti31ji35lV31phau35laN31qV33s\oN33
3SGjustdeliberatelyturn.overwaist.of.trousers
그는 일부러 허리춤을 뒤적였다. (他就故意翻裤腰。)
tsɿ33tsaŋ33/tsɿ33tsaŋ33ko35 ...같이, ...처럼(一样)
judu1234 kangzhongde2011:94
V31mi~35qV33n\aN33i55tsɿ33tsaN33z\u31
DM3SGand1SGthe.samehigh
그는 나와 키가 같다. (他跟你一样高。)

긍정/부정부사

ji31tiŋ35 반드시, 꼭(一定)
judu1234 kangzhongde2011:94
mi~35s\e35n\i35ji31tiN35a31pa35l@M31
3SGnowcertainlystayhome
그는 지금 반드시 집에 있을 것이다. (他现在一定在家。)
luŋ31 –ㄹ 것이다(会)
judu1234 kangzhongde2011:94
qV31mi~35luN31~35do31
DM3SGwillcome
그는 올 것이다. (他会来。)
qa33 안, 못(没,不)
judu1234 kangzhongde2011:94
i55qa33?lai33ma33hei35wo33
1SGNEGcall3PLNEG.PTCL
나는 그들을 부르지 않았다. (我没叫他们。)
ma33 안 (不)
judu1234 kangzhongde2011:95
aN31laM33bM33ma33qV33tsau33wo33,aN31tsɿplei33ma33ka31mau33wo33
haveclotheNEGdress.upNEG.PTCLhavericeNEGeatmealNEG.PTCL
옷이 있는데 차려입지 않고 쌀이 있는데 밥을 먹지 않는다. (有衣不装扮,有米不吃饭。)
han33 –지 말다(别)
judu1234 kangzhongde2011:95
V31m@M31han33ta31au31i55
DM2SGNEGanswer1SG
너 나에게 대답하지 말아라. (你不要回答我。)

어기부사

dɯ33ŋe35/dze33ŋe35 정말, 진짜(真正)
judu1234 kangzhongde2011:95
mi~35dze33Ne35qa33n\aN31i55s\in31wo33
3SGindeedNEGgive1SGtellNEG.PTCL
그는 정말 나에게 말하지 않았다. (他一定没告诉我。)
kho33nəŋ31 아마도(可能)
judu1234 kangzhongde2011:96
Ne31lo35kho33n@N31do31qV31neng31V35
tomorrowmaybecomesnowPTCL
내일은 아마 눈이 올 것이다. (明天可能下雪。)
kho33ji33 –ㄹ 수 있다(可以)
judu1234 kangzhongde2011:96
mi~35kho33ji33paN33maN31m@M31
3SGcanhelp2SG
그는 너를 도와줄 수 있다. (他可以给你帮忙。)
pi31ɕi33 반드시(必须)
judu1234 kangzhongde2011:96
m@M31pi31s\i33da31au31i55
2SGmustanswer1SG
너는 반드시 나에게 대답해야 한다. (你必须回答我。)
hau33ɕiaŋ35, se35se31; ho35ho31 ...-ㄴ/ㄹ것 같다(好像)
judu1234 kangzhongde2011:96
i55ho35ho31a35qa31ko35mi~35di33
1SGseemPTCLmeetDIREVID3SGPTCL
나는 그를 본 적이 있는 것 같다. (我见他来着。)
2016/06/16 19:46

26_exclam : 감탄사(interjection, exclamation)

인사(招呼)를 나타내는 감탄사

wei55, ai33ja33, ɕi33, e35, hei55, e55 등이 있다.

대답(回应)을 나타내는 감탄사

ne33, e35, hai33, he35, xei55, he31, ə55, əŋ33 등이 있다.

의문을 나타내는 감탄사

e35를 들 수 있다.

기쁨을 나타내는 감탄사

ha33ha33, he33he33 등이 있다.

찬미, 경탄을 나타내는 감탄사

ai33ja33, hei33/wei35, ma33je33, mo33je33, mo33je33 등이 있다.

의외, 놀람을 나타내는 감탄사

jo33, je35, ai33jo33, ai33jo55 등이 있다.

멸시(鄙视)나 책망(责难)을 나타내는 감탄사

həŋ33/hai33, ai33ja33, ai35jo33ho33, han33, hei33, həŋ33/hai33, je35/e35, xe33, həŋ33 등이 있다.

고통을 나타내는 감탄사

ai33ja33, ai35jo33, ai33ja33, ai33ja33, ai33jo55 등이 있다.

감탄을 나타내는 감탄사

ai33ja33, ai33jo33 등이 있다.

2016/06/16 19:46

27_num : 수사 (numeral)

기수사

  • 수의 많고 적음을 나타내는 것으로 계수와 자릿수가 있으며, 이들은 다시 복합 수사를 구성할 수 있다.
  • 만약에 계수가 자릿수의 앞에 오게 되면 이들은 곱셈의 관계이고 반대로 자릿수가 계수의 앞에 오게 되면 이들은 덧셈의 관계이다.
계수 표현

거라오어에는 '0'을 표시하는 두 가지 방식이 있는데, 하나는 중국어를 차용한 ‘lin31 零’이고, 다른 하나는 ‘ʔle31 多’을 써서 나타낸다.

1~9까지는 다음과 같다.

  • lin31 0
  • tsɿ33 1
  • s@M31 2
  • ta31 3
  • pu31 4
  • ml@M315

-ts\_hiu31 6

  • xen31 7
  • xE31 8
  • kM31 9
자릿수 표현

거라오어의 자릿수 표현은 다음과 같다.

  • ts_hei33
  • ɬiu35
  • Nan33
  • qV31?ja35
  • ts_hei33qV31?ja35 십만
  • ?ji35

거라오어의 '十'을 표현하는 형식은 두 가지가 있는데, 수량이 '二十' 아래일 때는 '十'은 ts_hei33 으로 나타낸다. 예를 들어, 십일(11)은 ts_hei33 tsɿ33이고, 십이(12)은 ts_hei33 s@M31이다.

수량이 '二十'일 때는 두 가지 방법이 있는데, 하나는 전통적인 조합 방법으로 sEM31 ts_hei55 이십(20)과 같이 나타내는 것이고, 다른 하나의 방법은 하나의 단순 단어를 쓰는 것으로 Ne31tsei35과 같이 나타내는 것이다.

수사가 '二十'이상일 때는 자릿수 '十'은 성조가 중평조에서 고평조로 변한다.

  • s@M31ts_hei55 20
  • ta31ts_hei55 30
  • pu31ts_hei55 40

'十'의 변조는 경우에 따라 어림수(约数)와 기수(基数)를 구별하기도 한다.

  • kM31 ts_hei33 duN31 아홉 개나 열 개
  • kM31ts_hei55duN31 구십 개
복합수사
덧셈관계
  • ts_hei33tsɿ33 11
  • ts_hei33s@M3112
  • ts_hei33 ml@M31 15
곱셈관계
  • s@M31ts_hei55 20, ta31ts_hei5530, ml@M31ts_hei5550

거라오어의 복합수사에서 만약 자릿수 ts_hei33 뒤에 수사가 없으면 ts_hei33는 자주 생략된다. 예를 들어 다음과 같다.

judu1234 kangzhongde2011:111
tsɿ33ɬiu35hE31
onehundredeight
백팔십(180)

거라오어에서 ‘0’은 종종 앞에 ?le31 0 또는 lin31 0을 추가하여 나타내는데 만약에 tsɿ33 ɬiu35 tsɬ33110에서 tsɬ33 1의 앞에 ?le31 0를 추가하면, tsɿ33 ɬiu35 ?le31 tsɬ33101이 된다. 비교적 큰 숫자의 마지막 자릿수 앞의 tsɿ331은 종종 말하지 않으며, 일반적으로 ?le31 0을 추가하여 표현한다. 단, tsɬ33 1보다 큰 수는 반드시 그 수를 말해야 한다. 예문은 다음과 같다.

judu1234 kangzhongde2011:111
tsɿ33ɬiu35?le31ta31
onehundredzerothree
백삼 (103)
judu1234 kangzhongde2011:111
tsɿ33ɬiu35ta31
onehundredthree
백삼십(130)
judu1234 kangzhongde2011:111
tsɿ33qV31ja35tsɿ33Nan33tsɿ33ɬiu35?le31tshei33tsɿ33
oneten.thousandonethousandonehundredzerotenone
만천백십일(11111)
judu1234 kangzhongde2011:111
tsɿ33qV31ja35tsɿ33Nan33tsɿ33ɬiu35ta31ts_hei33tsɿ33
oneten.thousandonethousandonehundredthreetenone
만천백삼십일(11131)

예 (a)에서 ?le31이 있고 없고가 1의 단위와 10단위를 구별해준다. 예 (b)에서 십단위수는 tsɿ331일 경우는 일반적으로 생략하나, 예 (c)에서처럼 십단위수는 ta313일 경우에는 생략할 수 없다. 단, 수사 뒤에 양사를 대동하였을 때는 '十'을 생략할 수 없다. 예를 들어, tsɿ33 ɬiu35 s@M31 ts_hei33 p_hi33 백오십원(150원) 이다.

문법 특성

기수사는 배수, 분수, 어림수의 구를 나타낼 수 있다. 하나씩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배수는 기수사에 'pu33' ‘배’를 더해서 구성한다. 예문은 다음과 같다.

  • ts31pu33 3배
  • mlM31pu33 5배

분수는 '几成(몇 할)’을 써서 나타내기도 하고 '몇 분의 몇'을 써서 나타내기도 한다. 예문은 다음과 같다.

  • ts_hei33 fan31 ta31 십분의 삼

거라오어에서 어림수를 표현하는 방식은 4가지가 있다.

수사와 다음의 단어를 결합하여 구를 형성한다. 다음과 같다.

  • ts35k_hai35 대략
  • vu33ai33vu33J_+_0i35 좌우
  • vu33qV31tsei31vu33qV33dzoN55 상하

어림수를 나타내는 단어인 sa31 몇, tsa35pai33 조금, V33tsi33 약간, tsɿ33 약간, ma33hei31 약간을 사용해서 나타낸다.

인접한 수사를 연용하여 어림수를 나타낸다. 예문은 다음과 같다.

judu1234 kangzhongde2011:113
tsɿ33kan33s@M31kan31qV31ts_hu35
oneCLtwoCLpeople
한두 사람

자릿수 앞에 ‘da31’을 부가해서 어림수를 나타낸다. 예문은 다음과 같다.

judu1234 kangzhongde2011:113
da31-ɬil35duN31
PREF-hundredCL
백여 개 (百把个)

서수사

일반선후순서

거라오어에서 일반선후순서는 구체적인 사물에 대하여 말하는 것이며, 수사와 양사를 같이 사용한다.

일반적으로 양사가 수사 앞에 놓이며, 가리키는 사물이 달라지면 쓰는 양사도 달라진다.

거라오어에서 인물의 선후 순서는 경우에 따라 나타내기에 불편하여 인물의 참조점을 이용하여 선후 순서를 나타내기도 한다.

judu1234 kangzhongde2011:114
i55n\i35q@M31,m@M31a31pan35lan33i55,mi~35a35pan35lan33m@M31
1SGfirst2SGPREPbehind1SG3SGPREPbehind2SG
내가 첫 번째이고, 너는 두 번째이고, 그는 세 번째이다.

중국어를 직접 차용하여 선후 순서를 나타내기도 한다.

-ti35z\31 첫 번째

  • ti35@~35 두 번째
  • ti35san33 세 번째
장유 순서

장유 순서는 일반적으로 명사 뒤에 수사 혹은 형용사를 연결해서 나타낸다. 예문은 다음과 같다.

judu1234 kangzhongde2011:114
la35sai33a35dzuN31
sonbig
큰 아들
judu1234 kangzhongde2011:114
la35sai33s@M31
sontwo
둘째 아들
judu1234 kangzhongde2011:114
la35sai33ta31
sonthree
셋째 아들
judu1234 kangzhongde2011:114
pau33la34jaN33
manyoungest.son
막내 아들
시간선후

일주일 중 요일의 순서는 ‘星期’ 뒤에 숫자를 부가해서 표시한다. 단, 일요일은 순서가 반대이다.

  • s\in33ts\_hi33 z\i33 월요일, wuN31 s\in33ts\_hi33 일요일

한달 내 각 날짜의 순서의 경우, 거라오어 자체에 며칠이라고 나타내는 용법이 없다. 다만, 시장에 가는 시간으로 표시한다. 6일에 한번 장이 서고 6번 시장이 선다. 牛坡에서 시작하여(牛、羊), 두 번째 날은 六枝(虎、猴), 세 번째 날은 箐口(鸡、兔),네 번째 날은 红岩(龙、狗),다섯 번째 날은 新场(猪,蛇),여섯 번째 날은 堕却鼠、马)이다. 예문은 다음과 같다.

judu1234 kangzhongde2011:115
wuN31k_hai35kai35waN31leN31
daymarketcow.hill
첫번째 장날

지금은 거라오어에도 중국어를 차용하여 날짜를 나타내는 용법이 있다. 예를 들어 z\31 hau35 1일, @~35hau35 2일이다.

하루 내 각 시간의 순서는 다음과 같다.

tsɿ33dz\au33 1시, s@M31duN31 2시

거라오어의 시간에서 기수와 순서는 구분해낼 수 없으며, 다만 문맥에 의지한다. 예를 들어, 다음과 같다.

judu1234 kangzhongde2011:115
mi~35s@M31duN31do33di33
3SGtwoo'clockcomeFP
그는 두시에 왔다.
judu1234 kangzhongde2011:115
mi~35do31lV35s@M31duN31di33sɿ31hei35
3SGcomePTCLtwoo'clockCONNtime
그는 온지 두 시간이 되었다.

1년 중 각 달의 순서는 vu31dz\i31 월의 '뒤'에 숫자를 부가해서 나타낸다. 월 앞에는 양사 duN31을 부가할 수 있다.

[vu31dz\i31]+숫자 : 월(月)을 표현
judu1234 kangzhongde2011:116
vu31dz\i31vu31?le35
monthhead
1월
judu1234 kangzhongde2011:116
vu31dz\i31s@M31
monthtwo
2월

월 앞에는 양사 duN31을 부가하여 나타낼 수 있는데, 개월 수의 의미를 나타낼 때는 오히려 duN31을 쓰지 않고, 직접 vu31dz\i31 월 '앞'에 수사를 더해서 개월 수를 나타낸다.

숫자+[vu31dz\i31] : 개월 수를 표현
judu1234 kangzhongde2011:116
tsɿ33vu31dz\i31
onemonth
1개월

1년 중 4계절의 순서는 본토어로 나타내는 방법과 중국어 차용어로 나타내는 방법이 있다.

본토어는 다음과 같이 표현한다.
judu1234 kangzhongde2011:116
wuN31a35fei35
weatherblow
judu1234 kangzhongde2011:116
wuN31a35do35man31
weathercomerain
여름

중국어 차용어는 ts\_hun33 t_hian 봄, s\a t_hian33 여름이다.

문법 역할

거라오어의 수사는 일반적으로 양사와 조합되어 수량구를 이루어야만 통사 성분을 담당할 수 있으며, 수량구는 문장에서 주어, 서술어, 관형어, 부사어, 보어, 목적어로 쓰일 수 있다.

2016/06/16 19:46

28_clf : 분류사 (classifier)

  • 거라오어의 양사는 명량사와 동량사로 분류된다.

(1) 명량사

  • 거라오어의 명량사로는 도량형양사, 개체양사, 집단양사, 차용양사 등이 있다.
  • 명량사의 대부분은 전용양사이며, 소수는 명사에서 왔고 극소수는 동사에서 온 것이다.
1) 도량형양사

도량형양사는 국가 표준에 맞는 통용성 도량형양사가 있고, 그 지역 사람들만 이해할 수 있는 지역성 도량형양사가 있다.

통용 도량형으로 주로 다음과 같다.

kai35 근(斤), ?luN35 냥(两), ts_han31 돈(钱), fan31 푼(分) dz\au35 장(丈), ?jiu55 척, 자(尺), qV31t@M31 촌, 치(寸)

지역 도량형은 주로 다음과 같다.
  • m_0e35 把 : 주로 대나무를 살 때 크기를 잴 때 사용한다.
  • qa35 拃 : 뼘, 식지와 중지를 편 거리
  • plM35 庹 : 두 팔을 벌린 거리. 직선거리, blai35 庹: 곡선거리
화폐양사는 다음과 같다.

p_hi33원(元), la35ta33각(角), fan31분(分)

2) 개체양사

개체양사에는 유형분류양사, 성질형상양사, 통용양사 등으로 분류된다.

① 유형분류양사

거라오어의 유형분류양사는 수사 자체의 원래 양의 크기 및 마지막 수의 크기와 밀접하게 연관되어 있다. 수사가 ‘二’보다 크고 마지막 수가 ‘二’가 아닐 때에는, ‘一’ 또는 마지막 수가 ‘一’인 수사가 공기하는 양사가 다르거나 혹은 변조된다. 그렇지 않으면 다른 양사의 형식으로 선택할 수 있다.

  • 사람을 나타내는 경우: kan33은 성인을 나타내는 양사이고, kan33의 수사가 2이상이고 마지막 수가 1이 아닐 때는 반드시 kan33로 변조한다.
judu1234 kangzhongde2011:120
ts_hei33tsɿ33kan33s@M31kan31
tenoneCLtwoCL
열 한 사람 두 사람

saN33은 아이를 나타내는 양사이며, 양사 앞의 수사가 ‘2’일 때는 qE35을 쓰고 앞의 수사가 ‘2’이상이고 마지막 수가 ‘1’이 아닐 때는 saN31으로 변환하여야 한다.

judu1234 kangzhongde2011:120
tsɿ33saN33la35ta31suN31la35
oneCLchildthreeCLchild
한 명의 아이 세 명의 아이
  • 사람이나 동물을 나타내는 경우 : dM35 개(个, 只, 头, 条) 는 성년 남성이나 수컷인 동물을 나타내는 데 쓰이고, ma33는 성년 여성이나 암컷을 나타내는 데 쓰인다.
  • 식물을 나타내는 경우 : p_hM31은 주로 식물에 쓰이는 양사이며, 나무가 베어진 상태일 때는 이 양사를 부가할 수 없다.
② 성질형상양사

거라오어의 성질형상양사에는 다음과 같은 것들이 있다.

  • da35, sa35/saN33 (个) : 작은 사물을 나타낼 때 쓰인다.
  • bja35 (片) : 덩어리나 조각의 형상을 가진 사물에 쓰이며, 면적은 일반적으로 크다.
  • dM35 (根, 支, 条) : 가느다랗거나 선처럼 생긴 사물에 쓰인다.
  • dz\au33/duN31(个, 粒) : 원형 혹은 알갱이 형의 사물에 쓰인다.
③ 통용양사

통용양사는 추상정도가 높고 개괄성이 강하며, 사용빈도가 높고 사용 범위가 넓은 양사이다. 해당되는 양사는 다음과 같다.

  • dz\au33/ duN31 个, 粒, 顶, 座 : 단일 물건을 나타낼 때 쓰인다.
  • ma33 个, 张, 只, 把, 条 : 사람, 동물, 무생물에도 쓰일 수 있어서 사용 빈도가 매우 높다.
  • dM35 个, 根, 只, 头, 条 : 사람, 동물, 무생물에 쓰일 수 있어서 사용 빈도가 매우 높다.
3) 집단양사

집단양사는 정량집단양사와 비정량집단양사로 분류된다.

① 정량집단양사

정량집단양사는 qE35 하나이며, 쌍을 이루는 사람이나 사물을 나타낸다. 어떤 경우에는 수량이 2인 사람이나 사물을 나타낼 때도 쓴다. 단, 이때는 꼭 같은 종류의 성질을 가진 사물이어야 한다.

② 비정량집단양사

비정량집단양사는 그 수가 비교적 많은데, 하나씩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 plo33蓬, qaN31兜 : 식물에 쓴다.
  • bjau31伙 : 사람 혹은 사물의 양을 나타내는데 쓰인다.
  • m_0e35 把 : 한 손으로 잡을 수 있는 양을 나타낸다. J_+uN35, tsuo35 : 엄지, 검지, 중지 세 손가락으로 잡을 수 있는 양을 나타낸다. lV31 q_haN31 撮 : 5개의 손가락으로 잡을 수 있는 양을 나타낸다.

    - zai33串 : 줄 모양의 사물의 수량을 묘사하는데 쓰인다.

  • eN33 堆 : 더미, 무더기를 나타낸다.
  • hei31些, V33tsi33些, V33saN33/V33sa35点 : 약간의, 조금의 의미를 나타낸다.
4) 차용 명량사
  • 여기서 말하는 차용 명량사는 다른 언어에서 빌린 것을 말하는 것이 아니라, 동일 언어 안에서 다른 품사에서 빌린 명량사를 말한다.
  • 거라오어의 차용 명량사는 명사에서 빌린 것만 있고 동사에서 빌린 것은 없다.

lV33qV33盆, qV31dzuN35柴刀, tso35口, b@N35井, san33碗, vu31saN31海碗, lV31dzaN31桌, ?len31门, 家

(2) 동량사

  • 거라오어의 동량사는 전용 동량사와 차용 동량사로 나눌 수 있다.
1) 전용 동량사
① [Na35] 次, 回, 趟, 顿, 阵, 番, 遍

Na35는 어떤 동작이 어떤 시간 안에 출현하거나 발생한 횟수를 가리킨다.

judu1234 kangzhongde2011:125
s\in31tsɿ33Na35
speakoneCL
한 번 말하다.
② [s\e35]下

동작 내부의 지속 시간이 상대적으로 짧은 것을 가리킨다. 비교적 빠른 속도로 끝난 한 번의 동작의 양을 나타낸다. 그리고 s\e35는 동작의 양 뿐 아니라, ‘상(体貌)’의 의미도 나타내는데, ‘시간의 짧음’, ‘양의 적음’, ‘시도’, ‘내키는 대로 함’을 나타낸다.

judu1234 kangzhongde2011:126
dM31ji33s\e35
thinkoneCL
한 번 생각하다.
③ [bl@M31]眼
judu1234 kangzhongde2011:126
V31ɬ@M35tsɿ33bl@M31
seeoneCL.eye
한 번 보다(흘낏 보다).
2) 차용 동량사

차용 동량사는 명사에서 차용한 것과 동사에서 차용한 것 두 종류가 있다.

① 명사에서 차용한 것 : [vu31t@M31]眼, [ko35]脚, [tso35]口 등
judu1234 kangzhongde2011:126
V31ɬ@M35tsɿ33vu31t@M31
seeoneCL.eye
한 번 보다.
judu1234 kangzhongde2011:126
tsaN33s@M31tso35
bitetwoCL.mouth
두 번 물다.
② 동사에서 차용한 것 : [j_+uN35]撮, [p_h@N33]捧

동사에서 차용한 양사는 매우 제한되어 있다. 지금까지 조사된 것으로는 j_+uN35撮와 p_h@N33捧의 두 개가 있으며, 이들은 동사와 양사의 기능을 겸해서 가지고 있다.

judu1234 kangzhongde2011:126
J_+uN35tsɿ33J_+uN35
pinchoneCL
한 움큼을 집었다.
judu1234 kangzhongde2011:126
p_h@N33tsɿ33p_h@N33
hold.or.carry.in.both.handsoneCL
한 움큼을 움켜 떴다.

앞의 j_+uN35撮와 p_h@N33捧는 동사이고 뒤의 것은 양사로 쓰인 것이다.

(3) 양사의 문법 특징

1) 양사는 수사의 뒤에 출현하여 수량구를 구성한다.
2) 양사는 단독으로 중첩할 수 없다.

거라오어에서 양사는 단독으로 중첩할 수 없다. 만약 ‘모든, ~마다’를 가리키려면 dz\i31每에 양사를 더해서 나타낼 수 있다. dz\i31에 양사를 부가하는 또 하나의 형식으로 ‘생동식’이 있는데 dz\i31를 중첩하여 ‘모든’의 의미를 나타내는 것이다. 이 때 앞의 dz\i31는 내림조가 오름조로 변조된다. 또한 ‘一A一A'의 4음격식을 사용해서 ‘모든’의 의미를 나타낼 수도 있다. 예문은 다음과 같다.

Languages
dz\i31plei31dz\i35dz\i31plei31
everyCLeveryeveryCL
해마다 해마다
'一 A 一 A'의 4음격식
judu1234 kangzhongde2011:127
tsɿ33p_hai35tsɿ33p_hai35
oneCL.bookoneCL.book
매 권마다
3) 수량명사구와 대사의 결합 : 수사+양사+명사+대사

수량명사구와 대사구가 결합할 때 일반적으로는 ‘수사+양사+명사+대사’의 격식이고, 수사가 tsɿ33 1 일 때 수사를 생략할 수 있다.

4) 단어의 의미를 구별하는 작용을 가진다.

첫째, 명사가 양사를 대동하지 않았을 경우와 대동하였을 경우 의미가 달라진다.

dazN31 보리 → 양사 대동한 경우: dM35 dazN31

둘째, 서로 다른 양사가 동일한 명사의 의미상의 세밀한 차이를 생겨난다. 예문은 다음과 같다.

judu1234 kangzhongde2011:128
tsɿ33bja35tin31tsɿ33tsa31tin31
oneblockboardonesectionwood
목판 한 장 나무 막대기 한 개

명사는 tin31으로 동일하나, 양사 bja35는 조각이나 덩어리 모양의 물품을 가리키는 양사이고 tsa31는 긴 기둥 모양의 물품을 가리키는 양사이기 때문에 tin31 의 의미가 ‘목판’ 과 ‘나무 막대기’로 각각 달라진다.

(4) 양사의 문법역할

  • 양사는 수사의 뒤에서 수사와 함께 수량구를 형성하여 주어, 술어, 목적어, 관형어, 부사어 혹은 보어가 될 수 있다.
  • 동량사와 수사는 함께 공기하여 ‘수사+양사’의 격식을 만드는데, 이 격식과 동사의 위치에 따라 문법 기능이 달라진다. 즉, 부사어를 담당하거나 보어를 담당할 수 있다.
2016/06/16 19:46

31_pro : 대명사 (pronoun, pronominal)

2016/06/16 19:46

pro_anaphor : 문맥지시사 (anaphor, anaphoric pronoun)

  • 거라오어의 문맥지시사는 근칭을 나타내는 대명사는 J_+i35이고, 원칭을 나타내는 대명사는 bM35이다. 예문은 다음과 같다.
judu1234 kangzhongde2011:108
a33J_+i35qV31dzoN55a35bM35gi33
interjthisCOMPAR.thanPTCLthatgood
이것은 저것보다 좋다.
2016/06/16 19:46

pro_dem : 현장지시사 (demonstrative, demonstrative pronoun)

(1) 거리중심의 이원체계

  • 거라오어의 현장지시사는 거리중심의 이원체계인데, 근칭과 원칭으로 나뉜다.
  • 일반적으로 근칭은 J_+i35으로 나타내고, 원칭은 bM35으로 나타낸다. 예문은 다음과 같다.
judu1234 kangzhongde2011:107
qau33bM35,qa33qau33J_+i35wo33
inthatNEGPREP.inthisNEG.PTCL
저기이다. 여기가 아니다.

거리는 ‘가까움’, ‘조금 멀다’, ‘비교적 멀다’, ‘더 멀다’, ‘가장 멀다’의 5단계의 구분이 있으며, ‘더 멀다’은 ‘비교적 멀다’에서 성조가 변한 것이다. 표로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여기 조금 멀다 비교적 멀다 더 멀다 가장 멀다
a33ȵi35 a31bɯ35 a31pai35ai33bɯ35 a35pai35ai33bɯ35 a33lu31ai35

(2) 문법역할

  • 거라오어의 현장지시사는 문장에서 주어, 목적어, 관형어 역할을 한다.
2016/06/16 19:46

pro_indf : 비한정사 (indefinite, indefinite pronoun)

  • 거라오어의 비한정사로는 부정대명사가 있다.
  • 부정대명사는 사람을 나타내는 것과 사물 및 장소를 나타내는 것으로 분류된다. 하나씩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1) 사람을 나타내는 것

거라오어의 사람을 나타내는 부정대명사에는 다음과 같은 것들이 있다.

do33?o33 다른 사람 (别人)

te35ts\hi31 여러분

da31hei31tsɩ33bau31di33ʌ31tshu35/ʌ31tshu35a35tsɩ33bau31다른 사람

tsɿ33plei35di33V31tshu35/V31tshu35a35tsɿ33plei35 기타 사람

judu1234 kangzhongde2011:101
do33?o33tsɿ33ma33vu31l@M31wo33,m@M31vu31l@M31vu31ts\133?
INF.othersoneNEGfearNEG.PTCL2SGfearQ
다른 사람들도 모두 안 무서워하는데, 네가 뭐가 무서워?

do33?o33도 경우에 따라 앞의 do33를 생략할 수 있으며, 의미와 기능에는 변화가 없다.

(2) 사물과 장소를 나타내는 것

거라오어의 사물과 장소를 나타내는 부정대명사에는 다음과 같은 것들이 있다.

dz\i31bau31/dz\i31bau31dz\i31qau35 여기저기, 도처에

dz\i31tsaŋ33dz\i31thei35 모든 것

judu1234 kangzhongde2011:101
pa35?len31di33i55dz\i31tsaN33tsɿ33aN31
houseCONN1SGeverykindonehave
우리집에는 뭐든지 다 있다. (我家里样样都有。)
2016/06/16 19:46

pro_int : intensifier (강조사)

한국어 “자신”, 영어의 “himself” 등이 강조의 의미로 사용되는 경우 강조사의 역할을 한다. 언어에 따라 강조사가 따로 있는 언어도 있고 재귀대명사가 강조사로 사용되는 경우도 있다.

2016/06/16 19:46

pro_pers : 인칭대명사 (personal pronoun)

  • 거라오어의 인칭대명사는 단수, 복수의 구분이 있고 쌍수는 없다. 즉, 1인칭, 2인칭, 3인칭이 모두 단수와 복수가 있다.
  • 1인칭에는 포괄식과 배제식의 구분이 없다.
  • 거라오어의 인칭대명사는 격의 변화가 없어 주격, 목적격, 소유격 모두 같은 형식을 취한다.
  • 성의 구별도 없으며, 3인칭의 ‘그’, ‘그녀’, ‘그것’는 모두 동일하게 mi~35으로 표현한다.
    SG PL
    1 i55 di33to31
    2 m@m31 ts\i33ts\o31
    3 mi~35 ma33hei35
2016/06/16 19:46

pro_q : 의문사 (interrogative)

거라오어의 인칭대명사는 의문의 내용에 따라 달라진다. 하나씩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추후 수정 필요)

(1) 의문인칭대명사 : [qa35na33]

의문인칭대명사는 qa35na33으로 문장에서 주어, 목적어, 관형어(피수식어 뒤에 위치)로 쓰일 수 있다. 예문은 다음과 같다.

judu1234 kangzhongde2011:102
p_hai35su31J_+_0i35di33qa35na33di33?
CL.bookbookthisCONNQCONN
이 책은 누구 것이니?

(2) 의문사물대명사 : [vu31tɕi33]

의문사물대명사는 vu31tɕi33으로 문장에서 주어, 목적어, 관형어(보통은 피수식어 뒤에 위치하지만, 한어의 영향으로 피수식어 앞에 쓰이기도 함)로 쓰일 수 있다. 예문은 다음과 같다.

judu1234 kangzhongde2011:104
vu31ts\i33dM35gu33tsaN33m@M31?
Qthingbite2SG
너 뭐에 물렸니?
judu1234 kangzhongde2011:104
je35,a35J_+_0i35au31duN31vu31ts\i33?
EXCLAMDMthisCOP.bewordQ
야! 이게 무슨 말이니?

(3) 의문시간대명사 : [s\e35na33]

의문시간대명사는 s\e35na33으로 문장에서 부사어, 목적어로 쓰인다. 부사어로 쓰일 경우 주어나 술어 앞에 쓰인다. s\e35는 ‘time’을 의미하고 na33는 ‘which/what’의 의미를 나타낸다. 이들이 합쳐져서 ‘when’의 의미를 나타낸다. 예문은 다음과 같다.

judu1234 kangzhongde2011:105
m@M31s\e35na33vu33?
2SGQgo
너 언제 가니?

(4) 의문장소대명사 : [bau31nan35]/[te35nan33]/[nan35]

의문장소대명사는 bau31nan35/te35nan33/nan35으로 문장에서 관형어(피수식어 뒤에), 목적어로 쓰인다. 예문은 다음과 같다.

judu1234 kangzhongde2011:105
su31ɬa31V31na35do31?
booktakeinQcome
책을 어디에 두었니? (书放在哪儿?)
judu1234 kangzhongde2011:105
meM31a31nan35?
2SGinQ
넌 어디에 있니?

(5) 의문수량대명사 : [k_hei33na33]

의문수량대명사는 k_hei33na33으로 문장에서 관형어(피수식어 앞에 위치), 목적어, 보어로 쓰인다. 예문은 다음과 같다.

judu1234 kangzhongde2011:105
m@M31tsen31k_hei33na33su31?
2SGbuyQbook
몇 권의 책을 살거니?

(6) 의문정도대명사 : [s\aŋ33aŋ31/ khei33na33]

의문정도대명사는 s\aŋ33aŋ31/ khei33na33으로 문장에서 관형어로 쓰인다. 예문은 다음과 같다.

judu1234 kangzhongde2011:106
ma33xM55J_+_0i35aN31k_hei33na33?leN35?
CL.riverriverthishaveQdeep
이 강은 얼마나 깊니?

(7) 의문방식대명사 : [da31tɕi33/ɕaŋ33aŋ31da31]

의문방식대명사는 da31tɕi33/ɕaŋ33aŋ31da31으로 문장에서 관형어로 쓰인다. 예문은 다음과 같다.

judu1234 kangzhongde2011:106
ta31l@u31san35ha33a31da31pin31?
PREP.toPR.judoQgo
거도에 가려면 어떻게 가야 합니까?

(8) 의문원인대명사 : [da31ts\i33]

의문원인대명사는 da31ts\i33으로 da31vu31ts\i33로부터 생략된 것이다. 문장에서 관형어로 쓰인다. 예문은 다음과 같다.

judu1234 kangzhongde2011:107
mi~35da31ts\i33qa33do31lV33?
3SGQNEGcomeFP
그는 어째서 아직 안 오니?
2016/06/16 19:46

pro_recp : 상호사 (reciprocal)

거라오어에서는 상호대명사라고 할 수 있는 것은 없고 상호태로 나타낸다. 상호태를 참조하시기 바랍니다.

2016/06/16 19:46

pro_refl : 재귀사 (reflexive, reflexive pronoun)

  • 거라오어의 재귀대명사는 비교적 간단한 편이며, 한자 차용어 tsɿ35ts\i33, kui31ze31, ko31zen31을 사용한다.
  • 거라오어의 재귀대명사는 인칭대명사와 재귀대명사를 병렬하여 나타낼 수도 있다.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인칭 1.SG 1.PL
재귀대명사 i55tsɿ35ts\i33 di55to31tsɿ35ts\i33
인칭 2.SG 2.PL
재귀대명사 m@m31tsɿ35ts\i33 ts\i33ts\o31tsɿ35ts\i33
인칭 3.SG 3.PL
재귀대명사 mi~35tsɿ35ts\i33 ma33hei35tsɿ35ts\i33

또한 거라오어의 재귀대명사는 종종 대명사로 대체하여 쓰기도 한다. 예문은 다음과 같다.

judu1234 kangzhongde2011:100
mi~35tsɿ35kuan33mi~35,ma33kuan33?o33wo33
3SGonlycare3SGNEGcareother.peopleNEG.PTCL
(그는 자기만 생각하고, 다른 사람은 신경 쓰지 않는다.)
2016/06/16 19:46

32_det : 한정사 (determiner)

거라오어의 지시사는 명사 뒤에서 수식 할 수 있다. 예문은 다음과 같다.

judu1234 kangzhongde2011:108
ma33tsaN33qV31ts_hu35J_+_0i35ts\in33kuan33nei35
CONNCL.kindpeoplethisnot.hesitate.tohit
그런 사람은 때려야만 한다.(这种人该打。)
2016/06/16 19:46

33_adp : 부치사 (adposition)

  • 전치사(preposition), 후치사(postposition), 환치사(circumposition)
2016/06/16 19:46

34_conj : 접속사 (conjunction)

고유접속사

(1) 'ɬiaM35(-와)’. 단어 혹은 구를 연결한다. 다음은 구를 연결한 예이다.

judu1234 kangzhongde2011:131
zan33mM35tM31ɬiaM35(zan33)M55dz\i31tin31tsɿ35ma33gi33wo33
smokecigaretteanddrinkteaallNEGgoodNEG
담배 피우는 것과 차 마시는 것 모두 안된다.

(2) 'V33n\iaN33(-와)'. 단어 혹은 구를 연결한다. 다음은 단어를 연결한 예이다.

judu1234 kangzhongde2011:131
san35san33V33n\aN33dzau33tM35aN35~31
dishandchopstickallexist
그릇과 젓가락이 모두 있다.

중국어에서 차용한 접속사

(1) huai31tsai35(중국어의 '或者', …이든가 아니면 …이다).

judu1234 kangzhongde2011:132
huai31tsai35m2M31vu33,huai31tsai35mi~35vu33
or2SGgoor3sggo
네가 가든지 아니면 그가 가든지

(2) jau35maN35 jau35maN35 (중국어의 '要么…要么…', ‘하든지 아니면 …하든지’)의 뜻을 가지는 접속사이다. 선택 관계를 나타낸다.

judu1234 kangzhongde2011:132
jau35maN35ka31mau33,jau35maN35zan33plM31tsɿ33gi33
oreatmealordrinkalcoholallgood
밥을 먹든지 아니면 술을 마시든지 모두 된다.

(3) ha31/ha31sɿ35 (중국어의 '还是'. ‘아니면’). 선택 관계를 나타낸다.

judu1234 kangzhongde2011:133
m@M31vu33ha31V31mi~35vu55?
2sggoorPTCL3sggo
네가 가 아니면 그가 가?
judu1234 kangzhongde2011:134
au31qE31maN33ha31sɿ35au31blai31?
COPchickenPTCLorCOPduck
닭이야 아니면 오리야?

(4) z\u31kho55 ('如果',‘만약’)

judu1234 kangzhongde2011:134
z\u31kho55Ne31lo35do31man31,i55tsɿ55ma33do31wo35
iftomorrowcomerain1sgjustNEGcomeNEG.PTCL
만약 내일 비가 오면 나는 오지 않겠다.

(5) jau35sɿ35 ('要是',‘만약’)

judu1234 kangzhongde2011:135
jau35sɿ35V31tshu35a35tsɿ33plei35,dM35nuN31n\i35tshuN33da31ts\u35wo33
ifpersonotherCLworkthisNEGdocompleteNEG.PTCL
만약 다른 사람이라면 이 일은 해내지 못한다.

(6) jin33wei35 (중국어의 ‘因为’, '때문에'). 거라오어에서는 '因为'만 쓰고 '所以'는 쓰지 않는다.

judu1234 kangzhongde2011:136
jin33wei35di33to31aN33su31wo33,su31?jam35pin31plan33V35,di33to31s\in31duN31do33?o33ma33dze33wo33
because1PLNEGbookNEG.PTCLbookPASSfireburnPTCL1PLspeakspeechotherNEGbelieveNEG.PTCL
우리는 문자가 없기 때문에 책이 불태워졌는데 우리의 말을 다른 사람들이 믿지 않는다.

(7) tsɿ33jau35 (‘只要’, ‘…하기만 하면'). tsɿ35('就')와 결합하여 tsɿ33jau35...tsɿ35 구조를 만들기도 한다.

judu1234 kangzhongde2011:136
ts33jau35ma33do31man31wo33,i55tsɿ35do31
as.long.asNEGdownrainNEG.PTCL1sgjustcome
비가 내리지만 않으면 나는 온다.

(8) pin33?lu35...pin33?lu35... (중국어의 '一边…一边…', '한편으로는 …하고 한편으로는…하다'. 중국어와 거라오어의 고유어를 결합하여 만든 접속사. 구를 연결한다.

judu1234 kangzhongde2011:137
pau33Ne31?j@u55n\i35pin33?lu35V31ɬ@M35su31,pin33?lu35tsuai33tau31qau35
old.manthisone.sideseebookone.sidesleepy
이 어르신이 한편으로는 책을 보면서 한편으로는 졸고 있다.

(9) niN35khe33...ma3... (‘宁可…不…', '…할지언정…하지 않겠다'). 선택관계를 나타낸다. 절을 연결한다.

judu1234 kangzhongde2011:137
di33to31niN35khe33?le31pin31sa31ko35V31?lan31,ma33dz\au31V31n\a35paN35laN33?lu35di33ts\a31wo33
1PLwould.rathermanywalkseveralfootroadNEGwantstampinsidegroundPTCLcropNEG.PTCL
우리들은 몇 걸음 길을 더 걸을지언정 밭의 농작물을 밟지는 않겠다.

(10) pu33z`u31. 중국어의 '不如’,'-만 못하다. -하는 것이 차라리 낫다'. 선택관계를 나타낸다. 절을 연결한다.

judu1234 kangzhongde2011:138
hua35n\i35se35tau33,pu33z`u31ka33tsɿ33lai33pe33tu35
likethisdelayDURnot.as.good.ashurrydivorce
이처럼 끌고 있느니 차라리 빨리 이혼하는 편이 낫다.

(11) pu31tan35…ha31('不但…还…','-할 뿐만 아니라 -도'. 점층관계를 나타낸다. 절을 연결한다.

judu1234 kangzhongde2011:138
ma33kan33V31tshu35pu31tan35hu33mi~35dz\i31bau31V31bM31ma33mi33mi~35,ha31V33ɬ@M35mi~35ka31mau33!
DEFCLpersonnot.onlybring3SGeverywhereseekmother3SGIn.Additionremain3SGeatmeal
그 노동자는 그를 데리고 그의 어머니를 여기저기 찾아다녔을 뿐 아니라 그에게 밥을 주기까지 하였어.

(12) kuan33...tsɿ33...(不论(不管)…都…', '-에 관계없이 모두'). 조건관계를 나타낸다. 절을 연결한다.

judu1234 kangzhongde2011:138
kuan33m@M31ha33a31s\in31,i55tsɿ33ma33vu33wo33
whatever2SGhowspeak1SGallNEGgoNEG.PTCL
네가 어떻게 말하든 관계없이 나는 가지 않겠다.
2016/06/16 19:46

35_aux : 보조사(auxiliary)

  • 조동사(auxiliary verb)이나 동사적인 성격이 아닌 것도 있음.
  • 보조동사는 어휘적인 동사나 동사구와 동반하여 어휘 동사가 가지지 않는 문법적인 차이를 표현한다. 인칭, 수, 시제, 상, 태 등이 있다.
  • 대상 언어에서 조동사, 즉 동사의 부류에 속한다는 증거가 있다면 예를 보이고 설명한다. 그렇지 않은 경우에도 설명한다.
  • 동사의 성격을 가지지 않는 경우에 auxiliary와 particle을 구별하는 것이 쉽지 않다.

참조

2016/06/16 19:46

36_ptcl : 첨사(particle)

거라오어의 첨사는 크게 구조조사와 어기조사로 나뉜다.

구조조사

di33 的

(1) di33는 중국어에서 차용한 것이다. 문중에서 li33로 읽히는 경우가 많은데, 거라오어족이 li33로 읽는 것을 더 편하다고 느끼기 때문이다. 보통은 ‘수식어+di33+피수식어’ 어순이지만, ‘피수식어+di33+수식어’의 순서로 나타나는 경우도 있다.

judu1234 kangzhongde2011:139
wuN31lan31di33ven31vuN31M35kEn35gi55
dayafterGENlifewillmuchbetter
장래의 생활은 더 좋을 것이다.
judu1234 kangzhongde2011:139
mi~35au31qV31tshu35a35lEu31san35li33au33
3SGCOPpeoplePTCLJuDuGENnot.BE
그 사람은 居都 사람이야 아니야?

(2) di33는 명사(구)나 동사(구) 앞에 쓰여 명사화(구)를 형성하기도 한다.

judu1234 kangzhongde2011:140
a33J_+au31di33mEM31a33bM35au31di33mi~35
DMthisCONTGEN2SGPTCLthatCOPGEN3SG
이것은 네 것이고 저것은 그의 것이다.

(3) 중국어 문법의 영향으로 di33가 명사(구)나 동사(구) 앞에 나타나기도 하는데, 이는 거라오어 원래 어순으로 바꾸어도 무방하다.

judu1234 kangzhongde2011:140
plei31J_+i35di33tS\i31fan33tshen31nin31di33gi33
yearthisGENriseCOMPARlast.yearGENgood
올해의 벼는 작년의 벼보다 좋다.

(4) 거라오어에서 소유 구조는 보통 ‘명사+수식어’의 구조로 조사를 쓰지 않는다. 조사를 쓰는 것은 중국어의 영향을 받은 것으로 중국어의 영향을 받은 문장은 거라오어의 고유 표현으로 환원될 수 있다.

judu1234 kangzhongde2011:140
la35mEM31lan33la35i55dz\au31li35wo33
child2SG부정동사child1SGlikecryNEG.FP
너의 아이는 나의 아이만큼 잘 울지는 않는다.

(5) di33과 명사, 대명사 혹은 동사성 단어나 구가 명사화 di33 구조를 이룰 때 보통 명사, 대명사, 동사성 단어나 구의 앞에 놓이지만 어떤 경우에는 명사, 대명사 혹은 동사성 단어나 구의 앞과 뒤에 다 놓이는 경우도 있음. 뒤에 놓이는 것은 li33으로 변독되기도 한다.

judu1234 kangzhongde2011:141
phai35su31nan35au31di33mEM31di33?
CLbookwhichCONTGEN2SGGEN
어떤 책이 너의 것이니?
di33 地

거라오어는 원래 부사어 표지 없이 수식어가 피수식어 앞에 위치하지만, 중국어와의 접촉으로 인하여 부사어 표지 'di33 地'를 차용하게 되었다.

judu1234 kangzhongde2011:142
ma33thiN31di33s\in31
NEGstopADVZsay
멈추지 않고 말하다
[lV33], di33

거라오어는 원래 결과보어나 상태보어 표지 없이 직접 동사 뒤에 위치했지만, 중국어와의 접촉으로 인하여 lV33, di33을 차용하게 되었다. lV33, di33은 보어의 앞에 놓인다.

di33 得
judu1234 kangzhongde2011:143
mi~35di33vu31tM31su31lo31zo31di33gi33
3SGGENscriptwriteADVZgood
그는 글씨를 잘 쓴다.
judu1234 kangzhongde2011:143
dM35nuN31J_+i35V31duN31lV33dz\i31kan31tsɿ33sEM31
CLthingthismake.noiseADVZeveryCLallknow
이 일이 시끄러워져서 모든 사람들이 알게 되었다.

어기조사

ne35

문두에서 화제의 시작을 알리거나 문중에서 휴지와 화제를 겸해서 나타내거나 어떤 경우에는 문미에서 진술과 의문의 어기를 나타낸다. 평소에 말할 때는 대부분 문미에 놓이며 문두에서는 잘 쓰이지 않는다.

(1) 문두에서 어기를 부드럽게 하고 화제를 이끌어내는 작용을 한다.

judu1234 kangzhongde2011:147
ne35aN31qV31tshu35jou35s\in31fei31mi~35J_+uN35huN31han35V35
DMEXISTpersonagainsayto3SGlistenITERPTCL
어떤 사람이 또 그에게 말해서 들려주었다.

(2) 문중에서 대조, 휴지, 화제를 나타내는 등 역할을 한다.

judu1234 kangzhongde2011:147
pa35V33dzoN33ne35tshuN33na31ts\i33ts\o31da31gi33wo33
abovePTCLINFto2PLmakeRESNEG.PTCL
정부는 너희들에게 지어줄 수가 없다.

(3) 진술문 문말에 쓰여 새로운 상황을 서술하거나 상대방을 일깨워주는 역할을 한다. 이 경우 문미어조는 비교적 높다. 명사성 비주술술어문의 문미에 놓이고 의문 어기를 나타내기도 한다. 동사술어문의 문미에 놓이고 의문대명사 s\aN33, aN31, da31ts\i33와 같이 쓰여서 의문 어기를 나타내기도 한다.

judu1234 kangzhongde2011:148
vuN31ha35~31qEM31ne35
timestillearlyPTCL
시간이 아직 이른 걸요.
judu1234 kangzhongde2011:148
dz\au33san35san33mEM31ne35?
CLbowl2SGQ
너의 그릇은?
judu1234 kangzhongde2011:148
mEM31da31ts\i33ma33do31wo33ne35?
2SGhowNEGcomeNEG.PTCLQ
너 왜 안 온거야?
hau31, a33, ha31(了, 吧)

문미에 놓이는 경우가 많고 진술 또는 명령문을 만드는 역할을 한다.

(1) 진술문에 쓰이는 경우 어떤 견해를 제출하거나 어떤 의견, 요구에 동의함을 나타냄. 어조는 비교적 낮음. hau31와 ha35를 연용하는 경우에는 hau31는 반드시 ha35 앞에 놓여야 함.

judu1234 kangzhongde2011:149
i55vu33tsen31hau31,mEM31z\i31khen31hau31
1SGgobuyPTCL2SGrestDEC
내가 가서 살게. 너는 쉬어.
judu1234 kangzhongde2011:149
i55ma33vu33wo33,mEM31vu33hau31ha35
1SGNEGgoNEG.PTCL2SGgoDEC.DEC
나는 안 갈래, 네가 가라.

(2) 명령문에 쓰이는 경우

a31, hau31를 써서 요청, 명령, 재촉, 권고를 나타냄. a31, hau31에는 어기를 부드럽게 하는 작용이 있다.

judu1234 kangzhongde2011:149
mEM31ko33tsɿ33vu33a33/hau31!
2SGquicklygoIMP
너 빨리 가라!

(3) hau31와 ha35는 명령어기를 나타내는 s\E33와 공기하여 명령어기를 나타내기도 한다.

이 때 전체 문장의 어기는 더 강해짐. 이들 간의 위치는 서로 바꿀 수 없다.

judu1234 kangzhongde2011:149
gi33ha31,han33s\in31s\e33ha31!
goodDECINFsayIMP.DEC
됐어, 그만 말해!
o35, [V35](了)

문말에 놓여 동작 상태의 실현을 나타낸다.

judu1234 kangzhongde2011:149
mi~35?jaM35m_0MN31tsaN33V35
3SGPASSdogbitePRF
그는 개에게 물렸다.

어떤 문장에는 부정을 나타내는 조사 wo33과 어기조사 o35를 함께 사용하는 경우가 있는데, 이때는 합음되어 wo33가 된다.

judu1234 kangzhongde2011:150
meM31ma33nai33wo35ɬa31fei31i55
2SGNEGtakeNEG.PTCLtakegive1SG
네가 가질 거 아니면 나에게 줘.
[s\E33]

문미조사 s\E33는 han33 과 같이 사용되어 “han33…s\E33“의 틀을 이루어 명령어기를 나타낸다.

judu1234 kangzhongde2011:151
do31ai33!han22lo35zi31bM35s\e33
comehereINFstandthereIMP
이리 와! 거기 서 있지 말고.
[maN33]

어기조사 maN33은 문중에 놓일 수도 있고 문미에 놓일 수도 있음. 위치의 다름에 따라 그 어법 작용도 다름.

(1) 선택 관계 어기조사 maN33은 보통로 문장에서 두 개의 단어 혹은 구 사이에 놓여서 구 혹은 절을 이으며, 선택 관계를 나타냄.

judu1234 kangzhongde2011:151
mEM31aN31sEM31tsaN33dM31,M35vu33ɬaM35nz\i31maN33M35vu33tai33lo31mo35
2SGhavetwokindideawillgoseecowDMwillgocutfirewood
너는 두 가지 선택을 할 수 있다. 소치는 것 아니면 나무 하는 것.
judu1234 kangzhongde2011:151
i55vu33maN33ha31sɿ35mEM31vu33V33?
1SGgoPTCLor2SGgoPTCL
내가 갈까 아니면 네가 갈래?

(2) 대비 화제 대비적인 성질을 가진 문장에서 명사성 단어 뒤에 놓여 대비성 화제를 이끌어낸다. 어떤 경우에는 두 개의 명사성 단어 뒤에 maN33 이 모두 출현하기도 하고 어떤 경우에는 하나만 출현하기도 한다.

judu1234 kangzhongde2011:151
?len31maN35da31di33gi33,dM35?lan31J_+i35thai35V31nie35e33do31
housePTCLbuild???goodCLroadthistoodirty???very
집은 매우 잘 지어 놓았지만 이 길은 너무 더럽다.

(3) 의문어기

문말에 놓여 의문 어기를 나타낸다.

judu1234 kangzhongde2011:151
mEM31tsai35lo31zo31su31ha35/maN33?
2SGPROGwritewritingQ
너 지금 글 쓰고 있니?

화용조사

한정 지시

조사 ma33는 명사 앞에 놓여 한정 지시를 나타냄.

judu1234 kangzhongde2011:152
mEM31ɬa31ma33dz\au33khe55J_+i35tuN35?u55
2SGtakeDEFCLpotthisboilmeat
너 이 솥으로 고기를 삶아라.
빈도
tshan35

문미조사 tshan35는 어기조사 V35 앞에 쓰여서 앞의 동작 혹은 행위가 다시 발생함을 나타냄. 어떤 경우에는 tshan35과 부사 jou35가 공기함. 공기 여부는 강제성이 없으며 발화자의 습관에 달려 있다.

judu1234 kangzhongde2011:153
jou35do31lan31tshan35V35?
againcomelateITERPTCL
또 늦게 왔어?
han35

문미조사 han35는 어기조사 V35 앞에 쓰여서 앞의 동작 혹은 행위가 다시 발생함을 나타냄. 어떤 경우에는 han35와 부사 jou35가 공기함. 공기 여부는 강제성이 없으며 발화자의 습관에 달려 있다.

judu1234 kangzhongde2011:153
M35do31man31han35V35
willdocomeITERPTCL
또 비가 오려고 한다.
강조
di35

조사 di35 는 문미에 놓이거나 문미어기사 앞에 놓임. 앞의 동작 행위 혹은 앞의 수량 구조에 대하여 강조 작용을 일으킴.

judu1234 kangzhongde2011:153
i55ka31V33lu33Nu35ko35di35V35
1SGnoonsleepPRFINTPTCL
나 점심 때 잤다.

위 문장에서 조사 ‘di35’가 강조하는 것은 확실히 잠을 잤다는 것임. di35는 li35로 변독될 수 있는데 의미나 통사 기능에는 변함이 없음.

 thei35

조사 thei35는 의문문에서 의문대사 ‘v31ts\i33’ 앞에 쓰임. 뒤의 ‘vu31ts\i33’를 강조하여 비교적 강한 어기를 나타냄. 발화자의 대답에 대한 일종의 기대를 강조함.

judu1234 kangzhongde2011:154
mEM31aN35thei35vu31ts\i33?
2SGhaveINTwhat
너 무엇이 있니?
2016/06/16 19:46

39_func : 기타 기능어 (function word)

2016/06/16 19:46

41_cl : 절(clause)

2016/06/16 19:46

cl_corearg : 핵심논항 표시방법 (core argument)

핵심 논항 구별 방법

거라오어에서는 단순절의 주어는 어순을 통해 구별한다.

목적어의 경우도 어순을 통해 구별한다.

거라오어에서는 일반적으로 행위자가 문두에 위치하여 주어가 된다.

목적어는 서술어 뒤에 놓인다. 다음 예문에서 행위자 주어가 문두에 위치하고, 목적어가 서술어 뒤에 위치함을 볼 수 있다.

judu1234 kangzhongde2011:173
mi~35tsai35lo31zo31vu31ja35
3SGPROGwriteletter
그는 편지를 쓰고 있다.
2016/06/16 19:46

cl_grole : 문법 역할(grammatical role)

  • 주어의 범위
  • 목적어의 범위.
    • 절의 핵심 논항 중에서 제2논항, patient, undergoer 등을 의미적 타동성의 정도에 따라 점수를 매길 수 있다. 이 점수가 매우 높은 요소만 목적어로 표현될 수 있는 언어도 있고 이 점수가 꽤 낮은 요소까지 목적어로 표현될 수 있는 언어도 있다. 따라서 해당 언어에서 목적어로 표현될 수 있는 것들의 범위가 어디까지 가능한지 보여 줄 필요가 있다. 예) 중국어의 경우에 agent(의미적)가 object(문법역할. 협의의 목적어. accusative 또는 부치사를 동반하지 않는 목적어)로 표현될 수 있다. 장소도 목적어가 된다. “학교를 간다” 한국어의 경우 심리동사, 지각동사의 대상도 목적어로 표현된다. “~을 사랑하다”, “~을 보다”, “~를 돕다”.
2016/06/16 19:46

42_np : 명사구 구조 (noun phrase structure)

명사 핵과 수식어의 어순

명사와 지시사의 어순

거라오어의 지시사는 명사 뒤에서 수식한다. 예문은 다음과 같다.

judu1234 kangzhongde2011:108
ma33tsaN33qV31ts_hu35J_+_0i35ts\in33kuan33nei35
CONNCL.kindpeoplethisnot.hesitate.tohit
그런 사람은 때려야만 한다.(这种人该打。)

명사와 형용사의 어순

거라오어에서 형용사(구)가 관형어가 될 때 일반적으로 피수식어의 뒤에 놓이며 구조조사 di33를 동반할 때도 있다. ‘적다’의 뜻인 ‘la35’, ‘크다’의 뜻인 ‘ma33’는 반드시 피수식어의 앞에 놓인다.

구조조사 di33을 동반한 형용사가 피수식어 명사 뒤에 놓인 예는 다음과 같다.

judu1234 kangzhongde2011:174
ko35pi33hM31aN31tsɿ33phM31tin31a35ja31a35z\31di33
infront.of.the.doorexistoneCLtreevery.tallPOSS
문 앞의 한 그루의 나무는 매우 크다.(门前有一株高高的树。)

‘적다’의 뜻인 형용사 ‘la35’가 명사 앞에 출현한 예는 다음과 같다.

judu1234 kangzhongde2011:174
la35an33pa33la35pai33tin31a35gi33plan33V35
smallsisterPREPa.littletreePTCLgoodburnPTCL
여동생이 조금 밖에 없는 좋은 목재를 태워 버렸다.(小妹妹把这一点儿好木料烧掉了。)

‘크다’의 뜻인 형용사 ‘ma33’가 명사 앞에 출현한 예는 다음과 같다.

judu1234 kangzhongde2011:174
do31tsɿ33bjau31ma33man31
comeoneCLbigrain
큰 비가 한바탕 내렸다. (下了一场大雨。)

명사와 속격어의 어순

거라오어의 고유한 방식은 수식 성분이 피수식 성분의 뒤에 놓이는 것이고, 피수식 성분과 수식 성분 사이에는 대부분 중국어에서 차용하는 구조조사 di33가 출현하는 경우가 많았다. 그러나 지금은 명사구 뒤에 di33가 부가되어 피수식어 앞에 놓이는 경우가 일반적이다.

judu1234 kangzhongde2011:139
wuN31lan31di33ven31vuN31M35k@n35gi55
dayafterPOSSlifewillmoregood
미래의 생활은 더 좋을 것이다.

명사와 관계절의 어순

관계절이 관형어가 될 때 피수식어의 앞에 놓이며 반드시 구조조사 di33을 써서 수식관계를 나타낸다.

judu1234 kangzhongde2011:176
vu31suN31qa33seN31di33wuN31thai35lui33do31V35
hairNEGcombPOSSdaytoolongveryPTCL
머리를 빗지 않은 날이 너무 오래되었다. (머리를 빗지 않은 지 너무 오래 되었다.)

명사와 양사의 어순

양사가 명사 앞에 출현한다. 예를 들면 다음과 같다.

judu1234 kangzhongde2011:120
ta31SuN31la35
ThreeCLchild
세 명의 아이

수량사구, 대사, 명사가 같이 출현할 때 일반적으로는 ‘수사+양사+명사+대사’의 격식이고, 수사가 tsɿ33 1 일 때 수사를 생략할 수 있다.

2016/06/16 19:46

43_ctype : 절 유형 (clause type)

술어의 유형에 따라 절 구조가 달라질 수 있다. 동사 술어, 계사 술어, 형용사 술어, 명사 술어 등.

2016/06/16 19:46

ctype_adj : 형용사절 (adjectival clause)

형용사(구)가 술어가 된 문장의 예는 다음과 같다.

judu1234 kangzhongde2011:88
ma33lV31dzaN31bM35thai35quN31quN31
CLtablethatveryheavy
저 탁자는 매우 무겁다.
2016/06/16 19:46

ctype_cop : 계사절/명사절 (copular clause)

계사절

계사절은 계사 ‘au31(是)’이 술어인 절로 주어에 대해 정의, 분류 또는 설명을 한다. 거라오어의 계사절은 기본 형식이 중국어의 계사절과 동일하다. 모두 ‘주어+계사+계사의 목적어(表语)’ 즉, 'S→NP1+V+NP2'의 형식이다.

judu1234 kangzhongde2011:246
Ne35laN33ts\i33ts\o31n\i35au31l@u31san35
place2PLthisCOPJudu
너희들이 있는 여기는 쥐뚜(居都)이다.

계사절에서 만약 부정을 나타내려고 하면 내부 굴절 방식을 채택한다. 계사의 변조로 부정을 나타내는데 상세한 것은 “부정” 부분을 참고.

(1) 계사절의 의미유형

1) 동일한 관계를 나타냄

주어와 목적어가 가리키는 것이 동일한 사물이다. 이들은 위치를 바꿀 수 있는 경우가 많은데 위치가 바뀌어도 의미는 변하지 않는다.

judu1234 kangzhongde2011:247
V31i55au31tuN33tsuN35su33
DM1SGCOPDongZhongShu
나는 동중서이다.

2) 정의관계를 나타냄

목적어가 주어에 대해 한계를 지운다.

judu1234 kangzhongde2011:248
di33i55au35~31z\i31qha35di33
my.homeCOPrestPTCL
우리 집은 손님이 쉬는 곳이다.

3) 성질과 상태의 관계를 나타냄

성질과 상태를 나타내는 계사절의 목적어는 일반적으로 형용사로 충당되며 주어와 관련된 상황을 설명한다.

judu1234 kangzhongde2011:248
thuN31tsɿ35au31ten31ɬei33gi33di33
TongZhiCOPheartgoodPTCL
Tongzhi는 마음씨가 좋다.

4) 해석 및 설명을 나타냄

목적어는 주어의 어떤 면에 대해 설명을 한다. 주어와 목적어는 대응되지 않는다.

judu1234 kangzhongde2011:248
den31ɬei33mi~35ha31sɿ35ma33plan31wo33
heart3SGstillCOPNEGdieNEG.PTCL
그의 마음은 여전히 죽지 않았다.

명사절

거라오어에서 흔하지는 않다. 계사 ‘au31(是)’가 없이 명사가 서술어를 담당하는 절을 가리킨다.

S→NP1+NP2

judu1234 kangzhongde2011:246
Ne31lo35wuN31s\in33ts\hi33
tomorrowSundayday.of.the.week
내일은 일요일이다.
2016/06/16 19:46

ctype_verb : 동사절 (verbal clause)

동사(구)가 술어가 되는 절을 가리킨다.

judu1234 kangzhongde2011:167
pau33ba33mi~35da31vuN31aN31qV33ze55
father3SGoftenhaveillness
그의 아버지는 자주 병이 난다.
2016/06/16 19:46

44_stype : 문장유형 (sentence type)

평서문 이외의 의문, 명령, 감탄, 청유 등의 특수 문장 유형을 만드는 방법에 대한 기술.

2016/06/16 19:46

stype_exclam : 감탄문 (exclamative sentence)

거라오어의 감탄문은 감탄사가 있는 감탄문과 감탄사가 없는 감탄문으로 나뉜다.

(1) 감탄사가 없는 감탄문

문두에 감탄사는 사용하지 않고, 문말에 V35, a33 등의 어기사를 쓴다.

judu1234 kangzhongde2011:274
thai35lan35do31V35,ha35qa33pM35mau33ka31lV33
toolateveryPTCLstillNEGgetmealeatPTCL
이렇게 늦었는데 아직도 먹을 밥이 없다.

(2) 감탄사가 있는 감탄문

문두에 감정을 나타내는 감탄사가 있고, 문미에는 일반적으로 어기사가 있어서 서로 호응한다.

judu1234 kangzhongde2011:274
h@N33,i55di33pi33mi~35di33gi55di33?le35~31ne33
EXCLAM1SGPTCLCOMPAR3SGPTCLgoodPTCLmanyPTCL
흥, 나의 것이 그의 것보다 훨씬 좋다.

감탄문의 의미적인 분류는 ‘감탄사’ 부분을 참고하시오.

2016/06/16 19:46

stype_imp : 명령문 (imperative sentence)

긍정형식 명령문과 부정형식 명령문

긍정형식 명령문

judu1234 kangzhongde2011:272
ɬa31laM33bM33ts\i31,pa35dz\i33qV31z\i35do31
takeclotheswearoutsidecoldvery
옷을 입어라, 밖이 매우 춥다.

부정형식 명령문

부정부사로 부정을 나타낸다. 부정부사는 술어동사의 앞에 위치한다.

judu1234 kangzhongde2011:272
han33vu33s\e33hau31
NEGgoPTCL(중첩사용(叠用))
가지 마라!

명령문의 의미유형

요구 및 건의를 나타냄.

일반적으로 문말어기사 'han35' 또는 'hau31'을 사용하여 요구 혹은 상의하는 어기를 나타낸다.

judu1234 kangzhongde2011:272
wa31dei33m@M31dzi31i55nai33tsɿ33s\e35han35
shoulder.pole2SGlend1SGusefor.a.momentIMP
너의 멜대를 내게 잠깐 빌려주어라.
judu1234 kangzhongde2011:272
i55vu33tsen31hau31,m@M31z\i31khen31hau31
1SGgobuyIMP2SGrestIMP
나는 가서 살게, 너는 쉬어라. (我去买吧,你休息得了。)

명령 및 독촉을 나타냄.

일반적으로 무주어 구문이다.

judu1234 kangzhongde2011:273
ko33tsɿ33vu33
quickgo
빨리 가라(快去吧!)

금지 및 만류를 나타냄

금지를 나타내는 명령문으로 일반적으로 부정부사 'han33'과 어기조사 'ɕe33'을 함께 사용하며, 비교적 강한 어기를 나타낸다.

judu1234 kangzhongde2011:273
han33qV31duN31s\e33
NEGnoisyPTCL
떠들지 마라(别吵!)
2016/06/16 19:46

stype_q : 의문문 (interrogative sentence)

형식에 따른 분류

의문어기조사 ‘maŋ33’을 사용해서 의문어기를 나타낸다.
judu1234 kangzhongde2011:264
m@M31do35~31maN33?
2SGcomeQ
너 오니?
의문대사를 사용하여 의문어기를 나타낸다.
judu1234 kangzhongde2011:264
mi~35tsai35da31vu31ts\i33?
3SGPROGdowhat
그는 지금 무엇을 하고 있니?
부정사와 어기조사를 함께 사용하여 의문어기를 나타낸다.
judu1234 kangzhongde2011:265
m@M31ka31mau33qa33lV33?
2SGeatmealNEGPTCL
너 밥 먹었니?(你吃了饭没有呢?)
문말에 부정부사 ‘ma33’(중국어로 번역하면 ‘不’에 해당), ‘qa33’(중국어로 번역하면 ‘没有’에 해당)를 부가하여 의문어기를 나타낸다.
judu1234 kangzhongde2011:265
mi~35do31ma35~33?
3SGcomeNEG
그는 오니 안오니?(他来不来?)
문중에 동사, 형용사, 부사를 사용한 긍정부정병렬 형식으로 의문을 나타낸다. 일반적으로 ‘lan31…lan33’, ‘aŋ31…aŋ33’, ‘V+ma33+V’(‘ma33' 앞 뒤의 동사는 형식과 의미가 같아야 함) 등이 있다.
judu1234 kangzhongde2011:266
mi~35do31ma33do31?
3SGcomeNEGcome
그는 오니 안오니?(他来不来?)
의문부사를 사용하여 의문을 나타낸다.
judu1234 kangzhongde2011:266
da31vu31ts\i33haN35aN31V33nuN33?
howlike.thisexpensive
어떻게 이렇게 비싸니?
접속사 'ha31sɿ35'(중국어로 번역하면 '还是'에 해당) 또는 의문어기조사 '[maN33]'(중국어로 번역하면 '呢'에 해당)로 선택 의문을 나타낸다. 일반적으로 이 둘은 서로 바꿔쓸 수 있다. 의문어기조사 '[maN33]'(呢)은 불확실한 선택의 관계를 나타낸다.
judu1234 kangzhongde2011:267
m@M31vu33ha31sɿ35ma33vu33wo33?
2SGgoorNEGgoNEG.PTCL
너 가니 아니면 안가니?

의미에 따른 분류

판정의문문(yes-no question)

의문대사를 사용하지 않는다. 대화를 받는 사람은 이에 대해 긍정 혹은 부정으로 대답한다. 문말의 어기는 일반적으로 상승조를 사용한다.

judu1234 kangzhongde2011:267
mi~35do31ma35~33?
3SGcomeNEG
그가 오니?(他来不来?)

설명의문문(wh-question)

의문대사를 사용하여 알고자 하는 부분을 묻는 의문문으로 상용되는 의문대사로는 ‘kan35na33', 'vu31ts\i33' 등이 있다.

judu1234 kangzhongde2011:269
kan35na33au31ke35su31?
CLwhoCOPteacher
어느 분이 선생님입니까?

선택의문문(alternative question)

두 종류 혹은 여러 종류를 제기하고 대화를 받는 사람이 그 중에 하나를 선택하기를 원하는 의문문이다. 이러한 선택의문문은 일반적으로 두 개 혹은 두 개 이상의 절이 출현하고, 절 중에서는 일반적으로 어기사 'maŋ33'을 사용하여 휴지를 나타낸다. 그리고 그 뒤에 부사 'ha31sɿ35'를 써서 선택문을 이끈다.

judu1234 kangzhongde2011:268
s\in33ts\i31laM33bM33maN33ha31sɿ35s\in33ts\i31V33s\oN33
in.advancewearclothesQorin.advancewearpants
먼저 옷을 입을래 아니면 먼저 바지를 입을래?

정반의문문

지눠어의 정반의문문은 서술어의 고정형식에 따라 두 가지 형식으로 나뉜다.

동사와 부정부사로 형성된 형식은 ‘V+ma33+V’이다.

judu1234 kangzhongde2011:268
m@M31vu33ma33vu33?
2SGgoNEGgo
너 갈래 말래?

동사의 성조 변화로 구성된 긍정+부정 형식으로 의문을 나타낸다.

judu1234 kangzhongde2011:269
dz\au33n\i35lan31dz\au33bM35dzuN31lan33?
CLthisexistCLthatbigNEG
이 것은 저 것만큼 큰가? 크지 않은가?

수사의문문(rhetorical question)

judu1234 kangzhongde2011:269
m@M31s\in35~31hau33da31a33?
2SGspeakgooddoQ
너는 하기 쉬운 일이라 생각하니?(你以为容易?)
2016/06/16 19:46

45_wo : 어순 (word order, constituent order)

거라오어의 기본 어순은 SVO이다.

전통적인 수식관계는 ‘피수식어+수식어’이다. 예를 들어, 다음과 같다.

judu1234 kangzhongde2011:00
laM33bM33pau31au35
clotheswhite
흰 옷
2016/06/16 19:46

46_val : valency, voice, diathesis-태 (diathesis-voice)

2016/06/16 19:46

val_appl : 추가태 (applicative)

거라오어 문헌에 관련 내용 없음.

2016/06/16 19:46

val_caus : 사동 (causative)

동사의 사동태

거라오어의 사동태는 일반적으로 전치사 'na35'를 사용하여 동작의 원인을 나타낸다.

judu1234 kangzhongde2011:63
mi35na35i55vu33mau33zen31
3SGPREP1SGreturn.home
그는 나로 하여금 집에 돌아가게 했다.

형용사의 사동태

(1) 형용사 자체가 사동사 역할을 하는 경우.

이 경우, 주어는 행위자이고, 술어동사는 직접 형용사가 충당하며 피행위자가 목적어가 된다.

judu1234 kangzhongde2011:80
m@M31han33qau33n\i35qV31li31?o33s\e33hau31
2SGNEGatthisashamedman
너는 여기서 사람 부끄럽게 하지 마라.
2016/06/16 19:46

val_inv : 역전 체계 (direct-inverse system)

거라오어 문헌에 관련 내용 없음

2016/06/16 19:46

val_pass : 피동 (passive)

피동문의 특징

전치사 “?jaɯ35”와 “nei35” 혹은 “?jaɯ35”과 “nei35”로 구성된 전치사구가 동사 앞에 놓여 피동의 의미를 나타낸다. 피동문은 일반적으로 좋지 않은 사건을 나타낸다.

judu1234 kangzhongde2011:202
san35san33?jaM35mi35nei35tsa35
dishPREP3SGhitbroken
그릇이 그에 의해서 깨졌다.

피동문의 분류

'?jaɯ35'과 'nei35' 뒤에 목적어를 가진 경우

judu1234 kangzhongde2011:202
ma33mi33qE31i55n_0ei35o33ɬa31vu33a35
motherchicken1SGPREPother.man.takegoPTCL
나의 암탉을 다른 사람에게 도난당했다.

'?jaɯ35'과 “nei35' 뒤에 목적어가 없는 경우

judu1234 kangzhongde2011:203
bja35dzen31mi~35n_0ei35lan33vu33V35
money3SGPREPstealgoPTCL
그의 돈을 도난당했다.

피동문의 능동문으로의 전환

전치사 목적어를 가진 피동문의 능동문 전환

목적어는 문두에서 주어로 전환, 기존 주어는 동사 뒤의 목적어로 전환, 전치사는 삭제되어 완전한 주술술어문이 된다.

judu1234 kangzhongde2011:203
o33ɬa31ma33mi33qE31i55vu33a35
other.man.takemotherchicken1SGgoPTCL
다른 사람이 나의 암탉을 훔쳤다.

전치사 목적어가 없는 피동문의 능동문 전환

피동문의 주어는 동사 뒤의 목적어로 전환, 전치사 삭제, 비주술문을 구성한다. 즉, 문장에 주어가 없다.

judu1234 kangzhongde2011:204
lan33bja35dzen31mi~35vu33V35
stealmoney3SGgoPTCL
그의 돈을 훔쳐갔다.
2016/06/16 19:46

val_recp : 상호태 (reciprocal voice)

상호조사 ko35를 사용해서 '서로'의 뜻을 나타낸다.

judu1234 kangzhongde2011:61
ma33hei35s@M31kan31thai35dz\au31ko33do31
3PLtwoCLtooloveRECPdeep
그들 둘은 서로 많이 사랑한다.

'수량구+동사+수량구'의 형식으로 '서로'의 뜻을 나타낸다.

judu1234 kangzhongde2011:62
di33to31te35ts\hi31tsɿ33kan33paN33maN35~31kan33
1PLeveryoneoneCLhelpCL
우리 모두는 서로 돕는다.
2016/06/16 19:46

val_refl : 재귀태 (reflexive voice)

거라오어에 재귀대명사는 있지만 거라오어 문헌에서 재귀태에 대한 언급은 찾을 수 없음.

2016/06/16 19:46

47_info : 정보구조 (information structure)

화제표지

ᴧ31/qᴧ31

ᴧ31는 qᴧ31의 성모 탈락으로 형성된 것이다. 문두 대명사 앞에서 화제표지로 기능하며 문중에서는 화제 표지의 기능을 갖지 않는다. ᴧ31는 단수 인칭대명사 앞에만 출현(복수 인칭대명사는 불가)할 수 있다.

judu1234 kangzhongde2011:221
V31mEM31pa33lV31dzaN31ge31vu33dz\i33
TOP2SG??tablemovegoout
너 탁자를 밖으로 옮겨라.

a35

문두의 명사(구), 대명사 혹은 명사화구조의 앞에 분포한다.

judu1234 kangzhongde2011:221
a35vu31suN31mEM31tau31tau35di33aN31bja35dzen31aN33?
TOPbody2SGtakeGENhavemonyNEG
너 (몸에) 돈을 소지하고 있니?

ne35

문두의 명사(구), 동사(구), 대명사, 명사화구조 및 절의 앞이나 바로 뒤에 분포하고, 문미의 ne35는 어기를 나타낸다.

judu1234 kangzhongde2011:222
ta31pan35lan33ne35lua31pin31pan33qV31dzo31
arrivelaterTOPsetfireburnmount
나중에 불을 내서 산을 태웠다. (화제는 ne35 앞 성분)
judu1234 kangzhongde2011:222
ne35ma33la35tsau33na31ma33mi33ni~35s\in31
TOPdaughtergivemom2SGsay
딸이 그녀의 엄마에게 말했다. (ne35 이후 성분이 화제)

maŋ35

maŋ35의 위치는 3가지가 있다. - 문두의 maŋ35는 명사(구), 동사(구), 대명사, 명사화구조의 앞에 분포한다.

judu1234 kangzhongde2011:223
maN35di33to31M35s\aN33aN31da31ka31mau33?
TOP1PLwillhoweatmeal
우리 어떻게 밥을 먹지?
  • 문중의 maŋ35은 문두의 명사(구), 동사(구), 대명사, 명사화구조의 뒤에 분포한다.
judu1234 kangzhongde2011:224
to31lo33maN3535?le35do31
GELAOTOPmanyvery
gelao족은 매우 많다.
  • 문말의 maŋ35은 어기를 나타낸다.
judu1234 kangzhongde2011:225
mEM31dz\au31da31z\i31maN35?
2SGwillsingsongPTCL
당신 노래하고 싶습니까?

화제의 분류

화제는 허사나 어법적 위치로 표현되는데, 허사여부에 따라 유표화제와 무표화제로 구분될 수 있다.

유표지 화제

화제조사 ᴧ31, a35, 휴지 ne24(呢), maŋ35(呢) 등으로 표현된다.

judu1234 kangzhongde2011:215
V31mi~35qV33dau33n0ei35i55tsɿ33s\e35
TOP3SGscarePFV1SGoneCL
그는 나를 놀래켰다.
judu1234 kangzhongde2011:216
maN35laN31qaN31V33J_+aN33bja35vu31?EN31maN35V31bM31pM35V35
TOPbridgeandCLbridgePTCLfindgetPTCL
다리와 석판을 찾았다.

무표지 화제 : 어순으로 표시

judu1234 kangzhongde2011:216
la25V31pe35lai33lo35dzi31do31V35
childstandupPTCL
아이가 일어섰다.

화제의 개수

복수 화제

한 문장에 화제가 두 개 있는 것을 말한다. 두 개의 화제와 술어는 동일한 통사층위에 있지 않다. T1+C1+T2+C2에서 C1+T2+C2은 T1을 진술하고, C2는 T2를 진술한다. T1과 T2의 의미관계에 따라 아래의 4종류로 재분류될 수 있다.

소유와 피소유
judu1234 kangzhongde2011:217
vu31ɬaN31i55thai35qV33ze55
belly1SGverypain
나는 배가 너무 아프다.
전체와 부분
judu1234 kangzhongde2011:217
ma33ko35pan33N_+i35,tsɿ33bu33au31la35sai33
DEFCLclassthishalfBEboy
이 반은 절반이 남자아이다.
유형과 구성원
judu1234 kangzhongde2011:217
tsɿ33qE35la35mi~35,da35a35dzuN31ka31ge31,da35a35dai35a31pa35?len31du33su31
oneCLchild3SGbig.kideatricesmall.kidPREPin.housereadbook
그의 두 아이, 큰 아이는 군대에 있고 작은 아이는 집에서 공부한다.
复指
judu1234 kangzhongde2011:217
pau33ma35ts\iu31a33,mEM31han33qV31duN31s\e33hau31!
LaoLiPTCL2SGNEGnoisyPTCL
라오리야, 너 떠들지 말아라.
기타
judu1234 kangzhongde2011:218
wuN31N_+35lui31thai35V31z\i35
daythisdayverycold
오늘, 날이 너무 춥다.

다수화제

화제가 3개 이상인 경우를 말한다. 다수화제는 아주 적게 발견되다.

judu1234 kangzhongde2011:218
dan33?lu35bM35plei31nz\i55qEM31taN55z\i31mi33,plei31pan35?lan33taN33waN55
CLlandthatyearbeforeplantcornyearafterplantsweet.potato
저 땅에 첫 해는 옥수수를 심고 두 번째 해는 고구마를 심었다.

화제 성분

동사(구) 화제
judu1234 kangzhongde2011:219
ta31lEu31san35ha33a31da31pin31?
arriveJUDUhowgo
judu에 가려면 어떻게 갑니까?
명사화구조 화제
judu1234 kangzhongde2011:219
nei35di33maN35ɬa31vu31?EN31nei35
hitGENTOPtakestonehit
치는 건 돌을 들어 쳐라.
전치사구 화제
judu1234 kangzhongde2011:220
V3J_+aN33mEM31aN33vu31ts\i33qV33lEu33wo33
and2SGNEGwhatrelationNEG.PTCL
너와 아무 관계 없다.
종속절 화제
judu1234 kangzhongde2011:220
z\u31kho55Ne31lo35ma33do31man31wo33,di33to31tsɿ35vu33ga31khai55
iftomorrowNETcomerainNEG.PTCL1PL???gogo.to.market
만약 내일 비가 오지 않으면 우리는 시장에 갈 것이다.

화제와 주어의 구분

화제는 화용론적인 진술의 상대적 개념이다. 주어는 통사론적인 술어의 상대적 개념이다.

화제는 문두에 위치하고, 주어는 주로 문두에 위치하지만 화제에 비해 분포가 자유로운 편이다.

judu1234 kangzhongde2011:214
hen31he31vu31dz\i31M35dzaN33ts\i31
seveneightmonthwillcutrice
7, 8월에는 벼를 베야 한다. (부사어 화제)
judu1234 kangzhongde2011:214
i55s\e35J_+i35vu33
1SGnowthisgo
나는 지금 간다. (주어화제)
  • 화제는 동작주, 피동작주, 시간, 장소 등 부사어가 될 수 있지만, 주어는 대부분 동작주이거나 경험주이다.
  • 한 문장에 주어는 하나만 가능하지만 화제는 하나 이상도 가능하다. 괄호 안의 성분은 화제이고 주어는 ‘이 두 사람’이다.
judu1234 kangzhongde2011:215
(sEM31kan31qV31tshu35J_+i35)(tsɿ33kan33)z\u31,(tsɿ33kan33)V31tshu35
twoCLpeoplethisoneCLtalloneCLshort
이 두 사람은 한 명은 키가 크고 한 명은 작다.
2016/06/16 19:46

48_tame : 시제-상-법-증거성 (TAME)

2016/06/16 19:46

tame_aspect : 상 (aspect)

완료상

동사 뒤에 조사 li35ʌ35 혹은 ʌ35를 추가하여 사건의 완료를 나타낸다.

judu1234 kangzhongde2011:55
i55ka31li35V35
1SGeatPREFPTCL
나는 밥을 먹었다.

동사 뒤에 조사 ko35를 추가하여 동작의 완료를 나타낼 수 있다. ko35는 경험상으로도 쓰이는데, 거라우어의 완료상과 경험상은 구분이 잘 되지 않는다. 단, 부정문과 의문문에서의 'V+ko35'는 경험상으로 해석되기 쉽다.

judu1234 kangzhongde2011:56
i55ta31ko35saN35hai33
1SGarrivePREFSHANGHAI
나는 상해에 간 적이 있다.

경험상

  • 동사 뒤에 ko35를 추가하여 어떤 동작이 일어나거나 상태가 존재한 적이 있으나 지금은 더 이상 진행되거나 존재하지 않음을 나타낸다.
judu1234 kangzhongde2011:57
mEM31vu33ko35di33mi~35qa33lV33?
2SGgoEXPhis.houseNEGPTCL
그의 집에 가본 적이 있니 없니?

지속상

  • 거라우어에는 지속상 표지가 없지만, 한어 차용 표지 tau33를 통해 동작의 지속을 나타내거나 tɕhi33를 사용하여 상태의 지속을 나타낸다. 이런 상표지는 쓰지 않아도 의미에 영향을 미치 않는다.
judu1234 kangzhongde2011:57
mEM31ɬa31tau33
2SGcarryDUR
너가 들고 있어라.
judu1234 kangzhongde2011:57
in31ts\hi33vu33
walkDURgo
걸어서 가다

기동상

  • lo35do31, tɕhi33do31, do31와 어조사 ʌ35를 결합하여 사건이 시작되었음을 나타낸다.
judu1234 kangzhongde2011:58
mi~35li35ts\hi33do31~35V31~35
3SGcrybginningINCH??
그는 울기 시작했다.
judu1234 kangzhongde2011:0
mi~35s\in31ts\hi33duN31do31M35aN31sEM31duN31V35
3SGsayINCHspeechINCHwillEXISTtwohourPTCL
그는 일단 말하기 시작하면 두 시간 정도는 한다.
  • 조사 lV33는 동사나 형용사 뒤에 놓여 동작 행위의 발생과 상태의 출현을 나타낸다.
judu1234 kangzhongde2011:0
V31ɬEM35V33M55M55tsɿ35wan31vu33V35
lookPERFmoviedirectlybackgo??
영화를 보고 바로 돌아갔다.

반복상

tshan35와 nəu35로 나타낸다. 문말이나 문말첨사 앞에 쓰인다.

  • tshan35:반복을 나타내는 부사 jou35와 공기할 수 있다. 부사와의 공기여부는 수의적이며 의미에 영향을 주지 않는다.
judu1234 kangzhongde2011:58
mEM31da31ts\i33da31tshei31tsuN33tshan35V35
2SGwhydobusinessITERPTCL
너 왜 또 장사하니?
judu1234 kangzhongde2011:59
jou35do31lan31tshan35V35
againcomelateITERPTCL
또 지각했지?
  • nəu35: 문말 또는 어기조사 앞에 쓰임. 반복을 나타내는 부사 jou35와 공기할 수 없다.

무표지“상”

  • 거라우어에는 미래상(예정상), 진행상, 계속상 및 단시상을 나타내는 문법 표지가 없다. 이런 상적 의미를 어휘로 나타내기 때문에 이는 엄격한 의미에서 상이라 할 수 없다. 아래 이런 상적 의미를 거라우어에서는 어떻게 표현되는지를 살펴보기로 한다.

미래상/예정상

  • 'ɯ35 –려고 하다', 'dɯ31 –고 싶다’
judu1234 kangzhongde2011:59
i55M35vu33V31ɬEM35M55M55
1SGwilldogoseemovie
난 영화보러 가련다.

진행상

  • 부사 tsəŋ35tsai35 또는 tsai35로 진행의 의미를 나타냄.
judu1234 kangzhongde2011:60
ma33hei35tsai35s\in31duN31
3PLPROGsaytalk
그들은 얘기를 나누고 있다.

계속상

  • '동사+추향동사’
judu1234 kangzhongde2011:60
M35V31ɬEM35di33V31tshu35V31ɬEM35vu33V31tsei31
willdoseeGENpeopleseegodown
볼 사람은 계속 봐라.

단시상

  • ji33ɕe35/ʌ33ɕe35 바꿔 쓸 수 있음.
judu1234 kangzhongde2011:60
te35ts\hi31qau33ji33s\e35tshei31da31
everyonesitone.timebeforedo
여러분 좀 쉬고 일하세요.
2016/06/16 19:46

tame_evid : 증거성 (evidentiality)

  • 지각
    • 시각
    • 청각
    • 기타
  • 내성(introspection)
  • 전문(hearsay)
  • 추리(reasoning): 머리 속에 가지고 있는 전제
  • 추론(inference): 지각 정보로부터 얻어지는 결론

티벳어족의 경우 증거성이 발달했음. 그러나 참고문헌에 이러한 관점에서 설명하고 있지 않을 수 있음.

2016/12/10 20:18

tame_mir : 의외성 (mirativity)

2016/12/10 20:18

tame_mod : 양태-서법 (modality-mood)

  • 인식양태
    • 가능성
    • 필연성
    • 개연성/추측
  • 당위양태
    • 의무
    • 허락
  • 동적양태
    • 바람
    • 능력
  • 양태표지의 다의양상
2016/12/10 20:18

tame_tense : 시제 (tense)

  • 절대시제
  • 상대시제
2016/12/10 20:18

51_neg : 부정 (negation)

  • 거라오어의 부정표현은 매우 특색이 있는 문형 중에 하나로 다양한 형식과 방식이 있다.
  • 거라오어의 부정표현에는 ‘부정부사’와 ‘부정의미를 가진 동사’의 두 가지 유형이 있다.
  • 후자의 경우 ‘부정성의 조동사와 일반동사’가 있으며, 이들은 성조 변화로 인해 만들어진 것이다. 즉, 거라오어는 성조변화로 부정을 나타내는 특수한 통사구조를 가지고 있는데 그 방식은 술어동사의 내림조 31조이 수평조 33조으로 바뀌며 부정을 나타낸다. 하나씩 살펴보도록 하자.

(1) 부정 부사 : [ma33], [qa33]

부정 부사로는 ma33(不), qa33(没,不)가 있다. 동사 앞에 부정 부사를 추가하여 행위나 심리 활동에 대한 부정을 나타낼 수 있다.예문은 다음과 같다.

judu1234 kangzhongde2011:232
i55ma33ka31?u33m_031wo33
1SGNEGeatmeat.pigNEG.PTCL
나는 돼지고기를 먹지 않는다.

(2) 동사의 성조변화로 부정표현

1) 부정성의 조동사

han33(别,不能,不该)

tshuŋ33(不能)

ɡen33(不敢)

luŋ33(不会)

han33 ~ 하지 마라(부정명령)

judu1234 kangzhongde2011:232
mEM31han33kuaN33ka31E35tai33s\e33
2SGNEGonlyeatvegetableDEC
너 채소만 먹고 그러지 마. (다른 것도 먹어라.)

2) 부정성의 일반동사

aN33(没有)

au33(不是)

luN33(不会)

lan33(不及)

judu1234 kangzhongde2011:233
a35bM35au33nz\i31wo33
PTCLthatNEGcowNEG.PTCL
저것은 소가 아니다.

동사 au31는 경우에 따라 중첩할 수 있는데, 만약 부정을 나타내고자 할 때는 뒤에 au31을 성조 변화하여 부정 형식 au31로 나타낸다. 앞의 것은 원래 의미를 나타내고 전체 문장은 부정의 의미를 나타낸다. 예문은 다음과 같다.

judu1234 kangzhongde2011:227
dM35nz\i33bM35au31au33di33i55di33wo33
CLbambooshootthatCOPNEGCONN1SGCONNNEG.PTCL
저 죽순은 내 것이 아니다.

한어에서 차용된 sɿ35au31가 함께 쓰일 때, sɿ35가 어디에 쓰이는 간에 au31의 변조로 부정을 나타낸다. 예문은 다음과 같다.

judu1234 kangzhongde2011:233
mi~35au33sɿ35qa33sEM31wo33
3SGNEGCOPNEGknowNEG.PTCL
그는 모르는 것이 아니다.

(3) 문말부정조사 : [wo33]

부정사를 단독으로 사용할 때에는 반드시 문말부정조사 wo33와 공기하여 쓰인다. 만약에 문장에 두 개의 부정사가 있으면 문말부정조사 wo33는 한번만 쓰이는데, 이것은 일반적으로 앞에 쓰인 부정사와의 공기성분이다. 예문은 다음과 같다.

judu1234 kangzhongde2011:234
do33?o33ne35qa33sEM31mi~35aN31bja35dzen31aN33wo33
otherpeopleFPNEGknow3.SGhavemoneyNEGNEG.PTCL
다른 사람들은 그가 돈이 있는지 없는지 모른다.

(4) 부정형식

부정형식은 일반적으로 하나의 부정사로 만들어진 부정문이 있으며, 이 경우에 일부는 문말부정조사 wo33와 공기하여 쓰인다. 또 다른 형식으로는 ‘긍정+부정’의 방식으로 부정을 나타낸다.

judu1234 kangzhongde2011:235
mEM31dz\au31ma33dz\au31mi~35?
2SGloveNEGlove3SG
너는 그를 사랑하니?
2016/06/16 19:46

52_poss : 소유 (possession)

2016/06/16 19:46

poss_adnom : 관형 소유 구성 (adnominal possessive construction, adnominal possession)

거라오어에서 소유 구조는 조사를 쓰지 않는 것이 일반적인 형태이며, 일반적으로 '명사+수식어'의 구조이다.

조사를 쓰는 것은 중국어의 영향을 받은 것으로, di33는 중국어에서 차용한 단어이다. 문장 중간에서 li33으로 변독하는 경우가 많다.

관형어와 피수식어를 연결하며 앞의 단어가 뒤의 단어를 수식함을 나타낸다. 즉, di33은 피수식어 앞에 놓인다. 예문은 다음과 같다.

judu1234 kangzhongde2011:139
wuN31lan31di33ven31vuN31M35k@n35gi55
dayafterPOSSlifewillmoregood
미래의 생활은 더 좋을 것이다.

거라오어는 소유관계를 나타내는 전형적인 구조로는 aN31가 있으며, 소유자는 주어에 해당하고 피소유자는 aN31의 목적어에 해당한다. 예문은 다음과 같다.

judu1234 kangzhongde2011:245
mi!35aN35~31sa35la35lai33a31l@u31san35
3SGhaveCL.childinPR.gedu
그의 아이 하나가 거도(居都)에 있다.
2016/06/16 19:46

poss_pred : 술어 소유 구성 (predicative possessive construction, predicative possession)

거라오어의 aN31 ‘有’은 존재와 소유구조를 모두 나타내며, 형식상의 구별이 없다. 예문은 다음과 같다.

judu1234 kangzhongde2011:246
plei35njaM55q@M31?len31aN31taɿ33ma33xM33,
sidefronthousehaveoneCLriver
집의 앞에는 하나의 강이 있고,
judu1234 kangzhongde2011:246
plei35pan35lan33?len31aN31tsɿ33dz\au33qV31dzo31
sidebackhousehaveoneCLmountain
집의 뒤에는 하나의 산이 있다.
2016/06/16 19:46

53_comp : 비교 (comparison)

거라오어는 비교문 형식이 비교적 풍부하며, 동등비교문과 차등비교문이 있다. 하나씩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동등비교문

거라오어의 동등비교문은 ‘주체+비교표지+비교대상+결과’의 형식으로 쓰인다.

비교표지 : [lan31], [ho33tau33], [ɬiaM35], [qV33J_+_0aN33], [V33J_+_0aN33]

V33J_+_0aN33qV33J_+_0aN33의 어두 성모약화의 결과이며, 사용기능상 차이가 없으며 하나로 합병되었다.

ho33tau33, ɬiaM35, qV33naN33 뒤에는 반드시 tsɿ33tsaN33, tsɿ33tsaN33ko35, tsɿ33qV31lan31ko35가 있어야 하며, 없을 경우 비교문이 성립되지 않는다.

ɬiaM35을 이용해 비교대상을 도입하여 동등비교를 나타낸다. 예문은 다음과 같다.

judu1234 kangzhongde2011:212
da35ma35ts\iu31ɬiaM35da35ma33jaM33ts_hEN31ts\i31tsɿ33tsaN33gi33
PR.xiaoliCOMPARPR.xiaowanggradeoneshapelike
샤오리의 성적과 샤오왕의 성적이 똑같이 좋다.
동사 lan33

동사 lan33을 이용한 비교이다. 예문은 다음과 같다.

judu1234 kangzhongde2011:212
a35dzun31tsa31lan31vu33tai33tu33nz\i33dzuN31
DMbigFriedCOMPARbeanyellowbig
큰 것은 튀겨진 것이 대두만큼 크다.

차등비교문

그 형식은 동사술어를 이용한 비교와 전치사를 사용한 비교가 있다. 다음과 같다.

동사술어로 비교 관계를 나타내는 형식

첫째, 동사 V31dza35를 이용하는 것으로 비교대상이 V31dza35의 양측에 각각 놓이거나, 도입된 전치사 V33naN33에 의해 비교대상이 V33naN33의 앞으로 이동한다. 예문은 다음과 같다.

judu1234 kangzhongde2011:208
ɬa31a35s\e35bM35V31dza35ma33s\e35J_+i35,wuN31ma33gi33wo33
takebeforeCOMPARnowdaysNEGlikeNEG.PTCL
이전을 가지고 현재를 비교해보니 날들이 좋지 않다(힘들다)

둘째, lan33~wo33의 고정형식으로 비교를 나타낸다. 예문은 다음과 같다.

judu1234 kangzhongde2011:208
i55lan33mi~35z\u31wo33
1SGCOMPAR3.SGhighNEG.PTCL
나는 그처럼 크지 않다.
전치사를 사용하여 비교관계를 나타내는 형식

고유한 비교표지로는 qV33dzoN33, V31dza35, lan33있고, 귀주(贵州)어에서 차용된 것으로는 pi33, fan33이 있다. 또한 ‘比’의 의미를 나타내는 것으로 qV33dzoN33, pi33, fan33이 있다. 그리고 v31dza35, an33은 각각 ‘没有’, ‘不及’의 의미를 나타낸다.

2016/06/16 19:46

62_subr : 내포 (embedding)

2016/06/16 19:46

subr_adv : 부사절 (adverbial clause)

동시시간절

거라오어에서 동시시간절은 접속사 tsɿ33plei35...tsɿ33plei35...(한편으로는 -하면서…한편으로는 -하다), pin33?lu35...pin33?lu35...(한편으로는 -하면서…한편으로는 -하다)로 나타낼 수 있다.

tsɿ33plei35...tsɿ33plei35...(한편으로는 -하면서…한편으로는 -하다)

judu1234 kangzhongde2011:254
mi~35tsɿ33plei35s\in31,tsɿ33plei35qV31s@M31
3SGone.sidespeakone.sidelaugh
그는 한편으로는 말하면서 한편으로는 웃는다.

pin33?lu35...pin33?lu35...(한편으로는 -하면서…한편으로는 -하다)

judu1234 kangzhongde2011:254
dM35be31qV33ze33pin33?lu35pin31V31?lan31pin33lu35da31z\i31
CLold.manZhangone.sidegoroadone.sidesingsong
장씨 노인이 한편으로는 길을 걸으면서 한편으로는 노래를 부른다.

이유/원인절

이유, 원인을 나타내는 접속사를 사용하지 않고 원인절과 결과절을 연결하는 경우.

이유, 원인을 나타내는 접속사를 사용하지 않은 경우이지만, 일반적으로 이 문장에 인과 관계를 나타내는 어휘를 추가할 수 있다.

judu1234 kangzhongde2011:260
do31man31V35,i55do31lan31V35
downrainPTCL1SGcomelatePTCL
비가 오기 때문에 나는 늦게 왔다.

이유, 원인을 나타내는 접속사를 사용한 경우

상용하는 접속사로는 'jin33wei35'가 있다. 거라오어에는 중국어의 ‘所以’에 해당하는 접속사는 없다.

judu1234 kangzhongde2011:261
aN33di33to31s\in31di33wo33,jin33wei35di33to31aN33su31wo33
NEG1PLspeakPTCLNEG.PTCLbecause1PLNEGbookNEG.PTCL
우리는 말할 처지가 못 된다. 왜냐하면 우리는 문자가 없기 때문이다.

목적절

목적복문의 종속절은 목적을 나타내고 주절은 이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취하는 행위를 나타낸다.

judu1234 kangzhongde2011:261
i55ko31zen31ka31,ma33na35m@M31tiN35wo33
1SGoneselfeatNEGwant2SGfeedNEG.PTCL
내가 스스로 먹을 게 , 네가 먹여줄 필요 없어. (我自己吃,不要你喂。)

조건절

접속사 사용상황에 따라 두 가지의 경우로 나눌 수 있다.

주절과 종속사에 서로 짝이 되는 접속사를 사용하는 경우.

상용하는 접속사로는 tsɿ33jau35...tsɿ35..., z\i31...tsɿ35..., tsɿ33aN31...tshei31... 등이 있다.

judu1234 kangzhongde2011:259
tsɿ33jau35ma33do31man31wo33,i55tsɿ35do31
as.long.asNEGdownrainNEG.PTCL1SGjustcome
비가 오지 않기만 하면 나는 바로 올 것이다. (只要不下雨,我就来。)

거라오어의 조건을 나타내는 절에서 조건을 나타내는 접속사 tsɿ33jau35...tsɿ35...는 조건을 나타내는 접속사 dM33Ne35...tsɿ35...로 대체될 수 있으며 그렇게 대체해도 의미적인 차이가 없다. 예를 들면 다음과 같다.

judu1234 kangzhongde2011:260
dM33Ne35ma33do31man31wo33,i55tsɿ35do31
reallyNEGdownrainNEG.PTCL1SGjustcome
비가 오지 않기만 하면 나는 바로 올 것이다. (只要不下雨,我就来。)

종속절에는 접속사를 사용하지 않고 주절에만 부사 [tshei31](才), [tsɿ35](就)를 사용하는 경우

judu1234 kangzhongde2011:260
lui31thiN31di33to31tsɿ35vu33
daybright1PLjustgo
날이 밝으면 우리는 곧 갈 것이다. (天一亮,我们就去。)

양보절

거라오어의 양보절은 접속사를 사용하지 않고 나타내거나, 양보를 나타내는 접속사를 사용하여 나타낸다. 양보를 나타내는 접속사는 주절과 종속절에서 짝을 이루어 사용하지는 않는다. 예를 들어서 sui33zan31을 사용하면 tan35sɿ35를 사용하지 않는다. 반대로 tan35sɿ35를 사용하면 sui33zan31을 사용하지 않는다.

judu1234 kangzhongde2011:257
ma33hei31ma35n\i35sui33zan31dzuN31,ma33thai35tan35tan35wo33
somefruitthisalthoughbigNEGtoosweetNEG.PTCL
이 과일들이 비록 크기는 하지만 아주 달지는 않다.(这些果虽然大,但是不很甜。)
2016/06/16 19:46

subr_nmlz : 명사화 (nominalization) / 명사절 (nominalized clause)

동사(구)의 명사화

‘V/VP + di33’의 형식으로 명사화시킨다. ‘di33’는 중국어 ‘的’의 차용인 듯하다.

judu1234 kangzhongde2011:66
ka31di55ts\i31di55tsɿ33ma33V31lau35ɬei33wo33
eatNMLZseeNMLZeverythingNEGanxiousheartNEG.PTCL
먹고 입는 것 모두 걱정할 필요가 없다.

형용사(구)의 명사화

(1) 형용사가 직접 문장의 주어가 되어 명사의 의미와 문법 기능에 담당하기도 한다. 이 때 거라오어의 형용사의 명사화는 문법표지가 없다.

judu1234 kangzhongde2011:82
a35tse35luN33i55ka31
DMblack1SGeat
검은 것은 내가 먹는다.

(2) 중국어의 ‘的’을 차용하여('di33'로 읽음) 형용사를 명사화시키기도 한다.

judu1234 kangzhongde2011:82
aN35tsɿ33a35tse35luN33di33
somePTCLblackNMLZ
어떤 것은 검은 것이다.
2016/06/16 19:46

subr_quot : 인용절 (quotative clause)

  • 인용을 구성하는데 사용하는 문법 표지나 특정한 통사 구조를 기술.
  • 인용이 어떻게 표현되는지 설명.
  • 직접인용
  • 간접인용
  • 기타
  • 증거성과 차이. “철수가 시험에 합격했다고 말했다”는 인용. “철수가 합격했대”는 증거성.
2016/06/16 19:46

subr_rel : 관계화 (relativization) / 관계절 (relative clause)

동사의 관계화

거라오어에서 동사(구)의 관계화는 동사(구)의 뒤에 di33 을 부가하여 만든다. 즉, ‘V/VP + di33’의 형식을 지닌다.

judu1234 kangzhongde2011:67
Nu35tau33di33a33bM35au31lV31be35
lieASPRELTOPthatCOPbull
누워 있는 그 것은 수소이다.

형용사의 관계화에 대해서는 참조문법에서 언급이 없음.

2016/06/16 19:46

63_svc : 연동 구문 (serial verb construction)

거라오어의 연동구문은 첫 번째 동사와 두 번째 동사 사이에 문법표지가 없고, 휴지도 없다.

‘동사(구)+형용사(구)’, ‘형용사(구)+동사(구)’로 구성이 가능하면, 첫 번째 동사와 두 번째 동사는 일반적으로 시간적 선후, 인과관계로 구성된다. 예문은 다음과 같다.

judu1234 kangzhongde2011:199
mi~35dz\u35dz\u31wuN31ka31lV33mau33tsɿ35vu33dz\i33
3SGeverydayeatPTCLmealas.soon.asgooutside
매일 그는 밥을 먹고는 바로 밖으로 나간다.

첫 번째 술어가 [aŋ31] 有이고, 두 번째 술어 성분이 동사인 연동식의 분류

의미적으로 [aN31]의 목적어 역시 뒷 성분의 피동작주 성분인 경우
judu1234 kangzhongde2011:201
i55aN31duN31fei31mEM31s\in31
1SGhavewordgive2SGspeak
내가 너에게 해줄 말이 있다.
두 번째 동사가 첫 번째 동사구조의 의미에 따라 진술되지만, 목적어는 다른 사물을 지향하는 경우
judu1234 kangzhongde2011:201
mi~35aN31nuN31V31bM31ts\i33ts\o31
3SGhaveaffairlookfor2PL
그는 일이 있어서 너희들 찾았다.
[aN31]의 목적어가 추상명사일 때, 두 번재 동사구는 이 추상명사의 관형어로 변화가 가능
judu1234 kangzhongde2011:201
ma33s\e35J_+_0i35mi~35aN33sɿ31ts\in33vu33da31wo33
now3SGNEGtimegodoNEG.PTCL
그는 현재 할(하러 갈) 시간이 없다.
2016/06/16 19:46

64_control : 통제 구문 (control construction)

  • 거라오어의 통제구문은 동사 유형에 따라 다음과 같이 분류할 수 있다. 하나씩 살펴보도록 하자.

(1) 일반 의미의 통제구문

일반 의미의 동사 통제구문으로 V1이 일반 동사이고 V2는 V1의 목적어에 대해 서술한다. 예문은 다음과 같다.

judu1234 kangzhongde2011:197
i55hu33mi~35vu33a35ji33tsu31
1.SGbring3.SGgobuilding
나는 그를 데리고 건물로 올라갔다.

(2) 사역의미의 통제구문

사역의미 동사의 통제구문으로 해당 동사로는 ?lai55 派, lV33hau33 叫, dz\iɳ35 请, na35 让 가 있다. 예문은 다음과 같다.

judu1234 kangzhongde2011:197
da31hei31lV33hau33ma33da35qV31ts_hu35bM35do31
everybodyCAUSPTCLCLpeoplethatcome
모든 사람들이 그 사람을 오게 했다.

(3) 호칭이나 인정의미의 통제구문

호칭이나 인정의미를 나타내는 통제구문으로 첫 번째 동사로는 V31ɬ@m35 选, pau31pau35 骂, ?lai 叫이 있고, 두 번째 동사로는 taN33 当, da31 做이 있다. 예문은 다음과 같다.

judu1234 kangzhongde2011:198
la35s\o31s@N33pau31pau35mi~35da31da35m_0o31
smallstudentcurse3.SGdopig
어린 학생(초등학생)이 그를 돼지라고 욕했다.

(4) 감정의미의 통제구문

애증, 좋고 싫은 의미의 통제구문으로 첫 번째 동사로는 dz\au喜欢, qen 憎恨이 있다. 두 번째 동사는 첫 번째 동사의 원인을 나타낸다. 예문은 다음과 같다.

judu1234 kangzhongde2011:198
di33to31qen31mi~35thai35bla35
1.PLhate3.SGtoobad
우리는 그가 너무 나쁜 사람이어서 증오한다.

(5) 첫 번째 동사가 [aN31]인 통제구문

첫 번째 동사가 aN31인 통제구문으로 첫 번째 동사는 사물(사람)의 존재를 표현하고 두 번째 동사는 서술, 설명, 묘사를 나타낸다. 예문은 다음과 같다.

judu1234 kangzhongde2011:198
mi~35aN35~31sa35la35lai33a31lEu31san35
3.SGhaveCLchildinPR.judo
그는 judu에 거주하는 아이가 하나 있다.

(6) 첫 번째 동사가 [au31]인 통제구문

첫 번째 동사가 au31인 통제구문으로 무주어문이며, 첫 번째 동사가 목적어를 강조하고 목적어는 동시에 두 번째 동사의 주어가 된다. 예문은 다음과 같다.

judu1234 kangzhongde2011:199
au31mi!35lV33hau33i55
COP.be3.SGcall1.SG
바로 그가 나를 부른 것이다.
2016/06/16 19:46

71_semantics : 의미(semantics)

2016/06/16 19:46
2016/12/10 20:18

81_voca : 어휘 체계 (lexis, lexicon, vocabulary)

최근에 lexical typology가 각광을 받고 있음. 다음과 같은 주제들이 주목받은 주제. 참고문헌에 있으면 정리한다. 따로 조사할 필요는 없음.

  • 특별히 발달한 의미영역
  • 상징어
  • 친족어
  • 색채어
  • 이동동사
  • 자세동사 (앉다, 서다, 눕다)
  • 섭취동사 (먹다, 마시다)
2016/06/16 19:46

82_wform : 조어법 (word formation)

  • 전반적인 조어법 개요를 기술
  • 합성, 파생, 중첩은 개별 문서에 기술
  • 기타 조어법이 있다면 여기에 소개
2016/09/08 17:30

wform_comp: 합성(compounding)

합성어

합성어는 형태소의 성질에 따라 형태 조어법과 통사 조어법으로 나뉜다

형태조어법

  • 형태조어법은 규칙에따라 어근에 접두사를 더하여 새로운 단어를 만드는 방법이다.
  • 파생법’ 이라고도 한다. 거라오어의 파생 조어법에서 접두사는 문법적인 의미만을 나타내며 대부분의 단어가 접두사 없이 단독으로 단어를 구성할 수 없다.
접두사+어근
[qV31]
  • qv31tsei31아래
[ma33]
  • ma33la35tsau33
[lV31]
  • lV31plM35 뛰다
[vu31]
  • vu31ts\i33무엇
[dM35]
  • dM35jaM33남동생
[da35]
  • da35la35 어린이
명사로만 사용 가능한 접두사

ma33 dM35 da35

명사, 동사에 사용 가능한 접두사

qV31 lV35 vu31

접두사+접두사+어근
  • ma33lV31waN31 배(과일)
  • ma33lV33mi33 아내

맨 앞 접두사는 생략해도 의미 변화가 없다.

접두사의 특징
접두사로 인해 뜻이 구별되는 경우
  • vu31suN31신체
  • qV31suN31머리카락
생략 불가능한 접두사
  • ma35plaN31 복숭아
  • dM35dzaN31

통사조어법

거라오어의 복합 조어법은 어근과 어근 내부의 통사구조관계에 따라 진술, 수식, 병렬, 보충, 중첩, 배치 의 6가지로 나뉜다.

진술

앞 형태소가 진술의 대상이고 뒤 형태소가 앞 형태소의 진술을 진행한다. 주어와 술어의 관계이다.

  • vei31lui33 토끼
  • plM31tsๅ35주정뱅이
배치

앞 형태소가 동작, 행위를 나타내고 뒤 형태소가 동작행위를 하는 대상이다. 술어와 목적어 관계이다.

  • ka31mi35 정오
2016/06/16 19:46

wform_deriv : 파생 (derivation)

2016/06/16 19:46

wform_redup : 중첩(reduplication)

  • 거라오어의 몇몇 단어는 동사 혹은 명사 중첩이 일어난다.

    - 뜻은 음절 하나의 의미와 같으며, 중첩된다고 해서 문법 기능이 변하지는 않는다.

ex)au31au31 하다

aN31aN31 있다

dz\31dz\31

2016/06/16 19:46

91_borrowing : 차용 (borrowing)

차용어의 유형

거라오어의 차용어 유형은 3가지로 나눌수 있는데, 중국어의 전체차용, 부분차용, 의미차용 이 있다.

전체차용

전체차용은 그 언어의 음과 의미 전체를 동시에 차용하는 방식이다. 거라오어 차용어의 대부분은 전체차용이다.

  • t_hu33 침대
  • ko35
  • pe31/bai31 지다
  • sa35

부분차용

부분차용은 단어의 일부분은 민족 고유어를 사용하고, 다른 일부분은 중국어와 합쳐진 단어로 구성된 차용방식이다.

이러한 방식으로 이루어진 반은 거라오어, 반은 중국어인 차용어는, 거라오족들이 쉽게 이해할 수 있다.
그 이유는 차용어의 거라오어 성분으로 인해 의미를 이해할 수 있기 때문이다.
부분차용어는 3가지로 나눌 수 있다.

거라오어로 구성된 어휘에 중국어 어소를 더하여 구성된 차용어이다.

  • wan31 do31 돌아오다
거라오어 접두사에 중국어 어소를 더하여 구성된 차용어이다.
  • p_hai35su31

    - qV31sM31 받다

거라오어에서 연접작용을 하는 접속사 혹은 부사는 “접속사/부사+sɿ³⁵+au³¹” 형식을 형성하는데, 고유 성분에 중국어 성분을 조합하여 어휘를 만든다.
  • tsๅ33 sๅ35au31 단지, 다만

의미차용

의미차용은 고유민족 언어 자료를 이용하여 그 조어법에 따라 , 다른 언어가 나타내는 개념을 고유 민족 언어에 흡수하여 차용하는 방식이다.

거라오어는 중국어와 밀접하게 교류하면서도 고유의 특징을 잃지 않고 있다. 의미차용의 예는 다음과 같다.

  • vu31?@N31pin31 화석

    - ts_hai35lan33 후대

    서남부 소수민족 중에는 “동음차역”(같은 음을 차용함) 현상이 나타난다.

白眼借“ 라고 부르기도 한다. 이러한 차용어는 거라오어에서 그 수가 많아, 중요한 조어법중 하나라고 할 수 있다.

  • qE35 기계
  • baut_hu33 pau31au35 베이징

차용어의 층차

거라오어에는 중국어 차용어가 매우 많은 만큼 유입 시기의 문제가 존재한다. 거라오어 차용어의 역사적 층차를 분석함으로써 거라오어의 어휘 문제나 어음 발전 및 중국어와의 관계를 탐색할 수 있다.

오래된 차용어

  • 유입시기가 비교적 이르다.
  • 거라오어와 중국어가 이른 시기에 접촉하였을 때 유입된 어휘이다.
  • 중고음 혹은 그보다 훨씬 전의 중국어의 특징을 반영하고 있다.

ex)t_hu33 침대

s@M31

새로운 차용어

새로운 차용어는 근대 이래로 현재까지의 거라오어와 중국어의 긴밀한 접촉 이후 대량으로 차용된 거라오어의 중국어 어휘이다.

역사는 비교적 짧으나 그 수가 매우 많으며 서남관화의 어음 특징과 가깝다.

  • tai35piau33 대표
  • s\in33 맵다
2016/06/16 19:46

A1_text : 텍스트 (text)

너무 신경쓰지 말것. 주석이 잘 달린 긴 텍스트가 존재한다면 가공하여 정리할 수 있음.

2016/12/10 20:18

B_biblio : 참고문헌 (reference, bibliography)

2016/12/10 20:18
doc/gelao/gelao.1481375442.txt.gz · 마지막으로 수정됨: 2016/12/10 22:10 저자 유현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