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용자 도구

사이트 도구


doc:hani:2_wordclass:27_num:27_num

27_num : 수사 (numeral)

기수

단어형성 방법에 따라 기수사는 단순수사와 합성수사로 나눌 수 있다. 단순수사의 예는 다음과 같다.

ts/hi31(일), n\i21(이), sO55(삼), ø_-31(사), Na_-31(오), ku_-31(육), sɿ31(칠), s\e31(팔), 7ø31(구), tshe55(십), ja55(백), thO55(천), mi55(만).
합성수사는 ts\hi31(1)에서 7ø31(9)까지의 수가 tshe55(10), ja55(100), th055(1000), mi(10000) 등과 서로 결합된 수사이다. 합성수사의 결합 방식은 더하는 방식과 곱하는 방식이 있다. 1부터 9까지가 10, 100, 1000, 10000의 뒤에 있으면 더하는 관계이고 앞에 있으면 곱하는 관계이다. 수사 1은 두 가지 읽는 방법이 있는데 10의 뒤에서는 ti31이라고 읽고 다른 곳에서는 ts\hi31이라고 읽는다. 예를 들면 다음과 같다.

hani1248 liyongsui1986:61
tshe55ti̠31
tenone
십일(11).
hani1248 liyongsui1986:61
ts\hi31ja55ts\hi31
onehundredone
백일(101).

수사 sO55(3)은 10, 100 등 고평조의 수사 앞에 출현한 경우와 고평조와 중평조의 양사 앞에 출현한 경우에는 하강조로 읽는다.

sO55(삼) + tshe55(십) → sO31tshe55(삼십)

sO55(삼) + mo55(개) → sO31mo55(세 개)

sO55(삼) + nM_-33(알) → sO31nM_-33(세 알)

하니어는 중국어와 달리 세 단위 이상의 수에서 빈자리가 있어도 0을 넣어서 읽지 않는다. 예를 들면 다음과 같다.

hani1248 liyongsui1986:62
n\i31thO55sɿ31tshe55
twothousandseventen
이천칠십(2070).

pa33 (반)은 특수한 기수사이다. 양사의 뒤에서 절반을 나타낸다. 양사 앞에 수사가 있을 때 pa33의 앞에도 ts\hi31 (1)을 부가해주어야 한다.

hani1248 liyongsui1986:62
ts\hi31mo55ts\hi31pa̠33
oneclonehalf
한 개 반.

서수

서수를 나타내는 첫 번째 방법은 'mi31the55the55li33' (앞) + ts\hi31 (1) + 양사'의 형식으로 나타내는 것이다. 두 번째 방법은 기수사에 양사를 부가하고 ts\hi31 (1)을 더한 후 다시 양사를 중복하는 형식으로 나타내는 것이다. 예를 들면 다음과 같다.

hani1248 liyongsui1986:62
mi31the55the55li33ts\hi317a31
frontonecl
첫 번째 사람
hani1248 liyongsui1986:62
n\i317a31ts\hi317a31
twoclonecl
두 번째 사람

날짜의 순서를 나타내는 방법은 다음과 같다. 음력 초하루는 da_-33ti_-31이라고 말하고 초이틀은 기수에 nO31(日)을 더해서 말한다. 예를 들면, n\i31nO33(초이틀), sO31nO33(초사흘)과 같다. 구체적으로 어떤 날짜를 말할 때는 ts\hi31nO33 (1일)을 더해서 말하는 습관이 있다.

hani1248 liyongsui1986:63
s\e31la33si31sO31NO35ts\hi31nO33
eightmonththreedayoneday
8월 초사흘.

어림수

(1) mM33n\a33

mM33n\a33은 '몇'의 의미이다. 십 이내의 어림수를 셀 때 쓴다. 예를 들면 다음과 같다.

hani1248 liyongsui1986:64
mM33n\a33mo55
a.few.cl
몇 개

(2) gM33li33n\a33la33

gM33li33n\a33la33은 '상하', '좌우'를 나타낸다. 어떤 실제적인 수와 크게 차이 나지 않는 어림수를 나타낼 때 쓴다. 예를 들면 다음과 같다.

hani1248 liyongsui1986:64
sɔ31tshe55xu̠31ɣ33gw33li33n\a33la33
three.tenyears.oldPTCLdown.go.up.come
삼십세 전후

1부터 9까지 두 개의 서로 나란히 붙어 있는 기수를 연용하여 어림수를 나타낸다. 이러한 종류의 어림수는 '십, 백, 천, 만' 등의 앞과 뒤에도 쓸 수 있고 이 경우 숫자가 더 큰 어림수를 나타낸다.

hani1248 liyongsui1986:65
ø31Na̠31thO55
45hundred
사오천

분수

(1) bi55(分)

bi55(分)’을 써서 분수를 나타낸다. 분자가 1보다 클 때는 분모를 나타내는 부분에서 ‘bi55’를 중첩하고 거기에 조사 ‘733’을 더한다. 예를 들면 다음과 같다.

hani1248 liyongsui1986:65
sɔ31bi55ts\hi31bi55
threedivideonedivide
삼분의 일

‘백, 천, 만’이 분모일 때는 다음과 같이 말한다.

hani1248 liyongsui1986:65
ts\hi31ja55bi55G33Na̠31bi55
onehundreddividePTCLfivedivide
백분의 오

(2) ‘tse33(중국어의 '段,节'에 해당)’

tse33’은 긴 모양의 물건의 분수를 표현할 때 쓴다.

hani1248 liyongsui1986:66
Na̠31tse̠31n\i33tse̠33
fivedividetwodivide
5분의 일

(3) 'tsh031

'tsh031’은 원처럼 생긴 물건(예를 들면 수박류 등)의 분수를 표현할 때 쓴다. 예를 들면 다음과 같다.

hani1248 liyongsui1986:66
∅31tshO31ts\hi31tshO31
fourdivideonedivide
사분의 일

배수

mja_-33은 '倍'를 나타낸다. 예를 들면 다음과 같다.

hani1248 liyongsui1986:66
sO31mja̠33ts\hi31pa̠33
threetimesonehalf
세 배 반
doc/hani/2_wordclass/27_num/27_num.txt · 마지막으로 수정됨: 2020/10/16 17:40 저자 박은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