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용자 도구

사이트 도구


doc:hinuq:0_general:01_basic:01_basic

01_basic : 기초 정보 (basic information)

언어명

  • 국문: 기누흐어
  • 영문: Hinuq
  • 노문: гинухский язык
  • 자칭: гьинузас мец (민족: гьинухъес)
  • 다른 이름: Hinukh, Hinux, Ginukh, Ginux

어원상 기누흐인을 뜻하는 “гинухцы”는 «길»의 의미를 갖는 гьино(гьину)의 재격(essive) 형태 (гьинухъ : 길에서)에서 유래했다

코드

  • ISO 639-3 코드: gin
  • WALS 코드: hnk
  • Glotto 코드: hinu1240

인구지리학적 정보

  • 주로 다게스탄 공화국의 Cuntinskij 지역 Ginux 마을 및 Kizljarskij 지역의 Monastirksi 마을에 거주. Forker(2013)에 따르면 주로 코카서스 산지에 거주하던 기누흐인들이 1980년대부터 산지의 혹독한 환경 때문에 다게스탄 저지대의 Monastirksi 마을로 이주한 이후 (약 100여명) 인구가 늘었다고 한다
  • Babajurtovskij 지역과 Maxachkala 지역에 산발적으로 거주
  • 인구조사에서 주로 체즈인 또는 아바르인으로 통합되어 산출되기도 한다. 2010년 러시아 인구조사에서는 443명으로 등록되어 있다(https://rosstat.gov.ru/free_doc/new_site/perepis2010/croc/Documents/vol11/pub-11-4-1.pdf)
  • 때문에 기누흐어 화자 수를 알기는 어렵다. 2010년 러시아 인구조사의 언어화자 인구수에는 기누흐어가 빠져있다 (https://rosstat.gov.ru/free_doc/new_site/perepis2010/croc/Documents/vol11/pub-11-4-5.pdf)
  • 비고. 기누흐어 연구서에는 기누흐 민족의 인구를 약 200명(Bokarev1966:436)에서 500명(Xalilov2001:290)으로 추산하고 있다.

언어위상

  • 가정과 지역사회에서만 사용하는 구어. 공식적인 위상은 없다
  • 교육 및 문어로는 아바르어 또는 러시아어 사용: 저학년에서는 아바르어로 교육, 고학년에서는 러시아어로 교육을 받으면서 아바르 어문학은 과목으로 학습
  • 오늘날에도 기누흐 어린이가 태어나면 집에서는 기누흐어를 쓰며 자라지만 대중매체나 인터넷을 접하는 나이가 되면 자연스레 공식어인 러시아를 쓰게 되고 학교교육을 받으면서 더욱 러시아어의 사용이 늘어난다
  • 러시아어 이전에는 아바르어가 다게스탄 지역의 lingua franca였다
  • 체즈인들과 문화, 경제적 유대관계에 있기 때문에 어려서부터 체즈어 구사 (체즈인들과는 체즈어의 kiderin 방언으로 의사소통)
  • 그 결과 기누흐인들은 거의 유사한 수준으로 4개국어 구사: 체즈어, 아바르어, 러시아어
  • 노년층에서는 베슈틴어도 구사
  • Glottolog AES status: shifting
doc/hinuq/0_general/01_basic/01_basic.txt · 마지막으로 수정됨: 2021/01/20 05:24 저자 동영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