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제 | 긍정형 | 부정형 | 긍정 활용 예 | 부정 활용 예 |
---|---|---|---|---|
general tense | -∅ | -me | -iƛʼi | -iƛʼi-me |
simple present | -o, jo, -ho | # | -iƛʼi-jo | # |
simple past | -s, -š, -iš | -s-me, -š-me, -iš-me | -iƛʼi-š | -iƛʼi-šme |
simple unwitnessed past | -n, -no | -n, -no gom | -iƛʼi-n | -iƛʼi-n gom |
future | -n, -a-n | -mi-n, -a-mi-n | -iƛʼ-an | -iƛʼamin |
zek | essu-y | beƛe-qo | kraska | b-ixi-yo |
tomorrow | brother-ERG | house.OBL-at | color(G3) | G3-paint-PRS |
과거시제 중에서는 simple past가 가장 무표적으로 두루 쓰인다.
haltʼezi | ∅-iq-iš | Kebura-ɬ | ocʼe-če | ƛebu |
work | G1-happen-PST | Bezhta-ESS.series1 | ten-about | year |
그런데 설화나 전설 등의 내러티브에서는 여기에 간접증거성의 의미가 추가되어서 simple unwitnessed past라고 부르는 복합시제가 쓰인다(Forker2013:221). 러시아어 문법서에서는 simple past와 simple unwitnessed past를 각각 제 1과거, 제 2과거로 부르는 것으로 보인다. (형태나 설명이 정확하게 일치하지는 않는다) 본 문서의 예문에서는 각각 PST와 PST.INDIREVID로 주석하였다.
deru | de | hag | aže | y-iqʼ-an | hečuhes, | hače | y-ʡeži: | hag | aže? |
how | 1SG.ERG | that | tree(G4) | G4-bring-FUT | alone | so.much | G4-big | that | tree(G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