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용자 도구

사이트 도구


doc:hlai:2_wordclass:25_adv:25_adv

25_adv : 부사 (adverb)

부사의 분류

  • 정도를 나타내는 부사 : vaːu53(가장, 最) pai11ia11(매우, 非常) tsaŋ11 (너무, 太)
  • 범위를 나타내는 부사 : ŋan53(都), rɯ11(都), man11(仅)
  • 시간을 나타내는 부사 : khuːn55(先), bau11(已经), naːu11(刚)
  • 중복 연속을 나타내는 부사 : lom11(又), ɯ11lom11(再), thoːŋ11(互相)
  • 어기의 강화 및 전환을 나타내는 부사 : khom55, kɯ11la55(必须), om11(又)
  • 부정을 나타내는 부사 : ta53(不), jou11(别)

부사의 어법기능

  • 부사는 동사와 형용사를 수식할 수 있다. 정도부사는 일반적으로 형용사를 수식할 수 있고, 그 위치가 형용사의 앞이다. dat55(真, 很), dat55dat55(十分, 很), pai11ia11(非常)는 형용사를 수식할 수도 있고 동사를 수식할 수도 있다. 그러나 그 위치는 형용사와 동사의 뒤이다.
  • 형용사의 앞과 뒤에는 동시에 각기 다른 정도를 나타내는 정도부사의 부식을 받을 수 있으며, 이때는 어기 강화의 작용을 한다.
hlai1239 ouyangjueyazhengyiqing2006:414
pou53nei55vaːu53gwei11pai11ia11
pigthismostfatvery
이 돼지는 아주 살쪘다.
  • 범위부사는 일반적으로 동사를 수식하는 데 쓰인다. 그 위치는 동사의 앞이다.
  • 시간부사는 종종 동사나 형용사의 앞에 위치하며, 부사어로 쓰인다.
  • fan53, kom11는 복문의 관련사로 쓰일 수 있다.
hlai1239 ouyangjueyazhengyiqing2006:415
daːn11khwei11tshop55fan53fa11fun53
uptowillblackjustdayrain
날이 어두어질 무렵, 비가 왔다.
  • 중복 연속을 나타내는 동사는 주로 동사를 수식한다.
  • thoːŋ11(互相)은 동사 또는 동사의 목적어의 뒤에 쓰이며, 동작의 상호작용을 나타낸다.
hlai1239 ouyangjueyazhengyiqing2006:415
meɯ53khwei11plai53thoːŋ11ta53?
2SGbewillingexchangeeachotherNEG
너는 교환을 원하니?
  • 어기의 강화 혹은 전환을 나타내는 부사는 동사의 앞에 쓰인다. 경우에 따라 문장의 주어 앞에 쓰이기도 한다. 이 부사가 복문에서 출현하면 일반적으로 관련사의 작용을 한다.
  • 리어의 부사는 일반적으로 중복할 수 없다. 일부 방언에서는 가능하기도 하며, 이때는 어기를 강화하는 작용을 한다.
doc/hlai/2_wordclass/25_adv/25_adv.txt · 마지막으로 수정됨: 2021/08/22 15:25 저자 박성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