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용으로 건너뛰기
소수 민족 언어 유형 데이터베이스
사용자 도구
로그인
사이트 도구
검색
도구
원본 보기
이전 판
역링크
최근 바뀜
미디어 관리자
사이트맵
로그인
>
최근 바뀜
미디어 관리자
사이트맵
현재 위치:
안내
»
Documents
»
hlai
»
4_ss
»
48_tame : 시제-상-법-증거성 (TAME)
»
tame_mod : 양태-서법 (modality-mood)
추적:
•
phonproc_assimil : 동화(assimilation) : 0% :
•
poss_adnom : 관형 소유 구성 (adnominal possession)
•
tame_mod : 양태-서법 (modality-mood)
사이드바
Documents
meta
사용자
Guidelines
문서 작성법
Topics
주석 규칙
주석 약호
음성기호
Tags
Languages
Terms
Features
References
doc:hlai:4_ss:48_tame:tame_mod
tame_mod : 양태-서법 (modality-mood)
주로 동사 혹은 형용사의 앞에 쓰이며, 가능, 바람, 필요 등의 양태의미를 나타낸다.
행위자의 능력 혹은 동작의 가능성을 나타낸다. 해당 조동사로는 khuːŋ53(会, 懂), kiːu(会), poːi53(不会), loːp53(可以, 能够), ka55(不能)등이 있다. 이 중에서 loːp53를 제외하고, 이들은 모두 단독으로 술어가 될 수 있다.
hlai1239
ouyangjueyazhengyiqing2006
:405
na53
khuːŋ53
riːn53
thun53
ɬai53
3SG
MOD
speak
word
PR.liyu
그는 리어를 말할 수 있다.
행위자의 바람을 나타내는 것으로 해당 조동사로는 khwei11(愿意, 肯), ai11(不愿意, 不肯), aɯ55(敢)이 있으며, 이들은 동사의 앞에 쓰이는 것외에 대답문의 술어로도 쓰일 수 있다.
hlai1239
ouyangjueyazhengyiqing2006
:405
na53
khwei11
tɯːŋ55
meɯ53
3SG
MOD
give
2SG
그는 너에게 주길 바란다.
doc/hlai/4_ss/48_tame/tame_mod.txt
· 마지막으로 수정됨: 2021/08/22 15:33 저자
박성하
문서 도구
원본 보기
이전 판
역링크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