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용자 도구

사이트 도구


doc:horpa:2_wordclass:23_verb:23_verb

23_verb : 동사 (verb)

(1) 등사와 인칭/수

  • 동사가 술어로 쓰일 때 동사는 관계하는 명사의 인칭과 수에 따라 변화한다. 주로 접사 추가, 굴절, 중첩 등 다양한 방법을 사용하여 인칭과 수의 범주를 나타낸다.
  • 동사 어간에 인칭이나 수를 나타내는 부가 성분이 붙으면 동사 어간의 형태가 달라지기도 한다.
  • 인칭과 수에 따라 동사 어간이 어떻게 변화하는지가 문장 속에서 동사가 몇 개의 명사/명사구와 관계하는지에 따라 달라진다.
동사가 한 명사와만 관계(주술 관계나 술목 관계)하는 경우 인칭과 수에 따른 그의 형태 변화
  • 동사 어간 ɕə '가다'에 수와 인칭의 범주를 반영하면 동사의 패러다임이 다음과 같다.
동사 어간 원형 1SG 2SG 3SG 1PL 2PL 3PL
ɕə '가다' ɕo-ŋ '내가 가다' ɕi-n '네가 가다' ɕə '그가 가다' ɕə ɕo-ŋ '우리 가다' ɕə ɕi-n '너희들이 가다' ɕə ɕə '그들이 가다'
  • 이 경우에 해당하는 동사들의 변화 규칙은 다음과 같다.
  • 1인칭 단수 : 동사 어간의 모음이 o로 변화하고, o 뒤에 1인칭 표지 -ŋ가 붙는다.
  • 2인칭 단수 : 동사 어간의 모음이 ə인 경우 i로 변하고, ɛ인 경우 e로 변하며, 기타 모음인 경우 어간 모음이 유지된다. 모음 뒤에 2인칭 표지 -n이 붙는다.
  • 3인칭 단수 : 동사 어간 원형과 동일하다.
  • 1/2/3인칭 복수의 경우에는, 우선 1음절 동사 어간이 중첩하여 2음절 동사 어간으로 바뀐다. 이어서 첫 번째 음절의 모음이 ə로 바뀌고, 두 번째 음절의 모음의 변화 양상은 앞에 제시된 단수의 경우와 마찬가지다. 다만 만약에 동사 어간 모음이 'u'인 경우, 2인칭과 3인칭 복수를 나타낼 때, 동사 어간을 중첩한 후, 두 번째 음절의 어간 모음 u가 유지된다.
동사가 두 개의 명사/명사구(주어와 목적어)와 관계 하는 경우 인칭과 수에 따른 그의 형태 변화
  • 동사가 취하는 논항이 두 개지만, 동사 어간은 주어 논항의 인칭에 따라 그 형태를 탈리한다.
  • xi '입다'와 nɡə '먹다'를 예로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동사 어간 원형 1SG 2SG 3SG 1PL 2PL 3PL
xi '입다' xu xi f-xi xo-ŋ xi-n f-xi
nɡə '먹다' nɡu nɡi nɡə nɡə ɡo-ŋ nɡə ɡə-n nɡə ɡə
  • 이 경우에 해당하는 동사들의 변화 규칙은 다음과 같이 제시한다.
  • 주어 논항이 1인칭 단수인 경우, 앞의 ɕə '가다' 경우와 달리, 동사 어간 뒤에 1인칭 표지 -ŋ가 붙지 않는다. 그리고 동사 어간 모음은 다음과 같이 바뀐다.
동사 어간 모음(입력형) 출력형
i/ə u
e/ɛ o
u/o u/o (원래의 형태 유지)
ɑ o
a a (원래의 형태 유지)
  • 주어 논항이 2인칭 단수인 경우, 또한 앞의 ɕə '가다'의 경우와 달리, 동사 어간에 2인칭 표지 -n가 붙지 않는다. 그리고 동사의 어간 모음이 만약에 ə나 ɛ라면 각각 i나 e로 바뀌고, 다른 모음이면 바뀌지 않는다.
  • 주어 논항이 3인칭 단수인 경우, 성모(聲母)가 자음 하나로 구성된 것인 경우, 동사 어간 앞에 3인칭 표지 f- (무성음 앞)나 v- (유성음 앞)가 붙는다. 성모(聲母)가 둘 이상의 자음군으로 구성된 것인 경우 인칭 표지가 따로 붙지 않는다.
  • 주어 논항이 복수인 경우, 일반적으로 동사 어근이 중첩하여 2음절 어근을 만들지 않는다. 앞에 제시된 xi '입다'의 패러다임은 이에 해당한 예다. 중의성을 회피하거나 주어 논항이 지시하는 사람이나 사물의 수량이 매우 많다는 것을 강조할 때만 동사 어간이 중첩된다. 앞에 제시된 nɡə '먹다'의 패러다임은 중첩이 일어난 경우에 해당하는 예다.
  • 그리고 nɡə '먹다'가 중첩하여 'nɡə ɡə'가 된다는 점에서 볼 수 있듯이, 만약에 성모가 여러 개의 자음으로 구성될 경우, 중첩이 일어날 때 기본 자음과 그 후행 모음만이 중첩되고, 전치 자음은 중첩되지 않는다.
  • 또한 중첩이 일어난 후, 동사가 인칭과 수에 따라 변화할 때, 첫 번째 음절의 모음이 바뀌지 않고, 두 번째 음절의 모음만이 상술한 규칙에 따라 변화한다. 이는 또한 nɡə '먹다'의 예를 통해 알 수 있다.
  • 만약에 동사 어근 자체가 이미 2음절 중첩형(ncçhə ncçhə '때리다')인 경우, 두 번째 음절만이 앞에 제시된 규칙에 따라 변화한다.
  • 만약에 xsav '(돈을) 돌리다'처럼 동사의 어간 모음 뒤 자음 운미(韻尾)가 있으면 해당 동사는 다음과 같이 변화한다.
동사 어간 원형 1SG 2SG 3SG 1PL 2PL 3PL
xsav '돌리다' xsav xsav xsav xsa-ŋ xsav xsav
  • 본 바와 같이, 1인칭 복수를 나타낼 때 운미가 탈락되고 어간 모음 뒤에 인칭을 나타내는 접미사 -ŋ를 추가한다.
  • 다른 인칭과 수를 나타낼 때 앞에 제시된 규칙에 따라 변화한다.
  • 다만 2인칭 복수를 나타낼 때 동사 어근 뒤 2인칭 표지 -n가 붙지 않는다.
동사가 세 개의 명사/명사구와 관계(주어-직접목적어-간접목적어)하는 경우 인칭과 수에 따른 그의 형태 변화
  • 이 부류에 속한 동사 어간이 성과 수에 따라 변화할 때, 주어와 간접 목적어의 인칭을 모두 고려해야 한다.
  • 간접 목적어가 1인칭이나 2인칭일 경우, 동사 어간에 간접 목적어의 인칭과 일치한 인칭 표지가 붙어야 한다.
  • 간접 목적어가 3인칭인 경우, 동사 어간은 주어 논항의 인칭에 따라 변화한다.
  • 접두사가 추가 가능한 동사(성모가 자음 하나로 나타나는 것)이라면, 주어의 인칭까지 동사 어간에 표시해야 한다.
  • kho '주다'를 예로 들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주어를 S로, 간접 목적어를 IO로, 직접 목적어를 O로 표시하면 kho '주다'가 인칭과 수에 따른 변화를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동사 어근 원형 S(1SG), IO(3SG) S(1PL), IO(3SG) S(2SG), IO (3SG) S(2PL), IO (3SG) S(3SG), IO(3SG) S(3PL), IO(3SG) S(1SG/1PL), IO(2SG) S(3SG/3PL), IO(2SG) S(2SG/2PL), IO(1SG) S(3SG/3PL), IO(1SG)
kho kho kho-ŋ kho kho-n f-kho f-kho kho-n f-kho-n kho-ŋ f-kho-ŋ
  • 표에서 보듯이 동사 어간은 목적어(간접 목적어 표함)의 수에 따라 따로 변화하지 않는다.

(2) 동사 어근에 붙는 방향 접두사

  • 동사 어근 앞에 다양한 방향 접두사가 붙어 동작이 진행되는 방향을 나타낼 수 다.
  • rə-는 위, nə-는 아래, ɡə-는 원심, jə-는 구심, ɣə-는 또한 구심(다만 소수의 동사 앞에만 붙음), 그리고 də-는 무방향의 의미를 나타내는 방향 접두사이다.
  • 이들 방향 접두사는 방향 명사에서 온 것이다. jə-는 근칭 현장지시사, ɡə-는 원칭 현장지시사에서 온 것이다.
  • 방향 접두사는 문법화되어 완망상이나 명령법을 나타낼 수 있다. də thi '마셨다'와 같은 표현에서 də는 완망상을 나타내는 표현이다.

(3) 동사의 명사화

  • 동사 어간 뒤에 명사화소가 붙어 어떤 행위가 미치는 대상, 행위를 수행하는 사람, 어떤 행위를 수행할 때 필요로 하는 도구, 행위를 수행하는 장소 등을 나타낼 수 있다. lə '~는 것', mkhən '~는 사람', scçet ‘는 도구’, re ‘~는 곳’, 그리고 re qhe '~는 곳' 등이 그 예다.
horp1240 genxiawengmu2019:179
  • thi : 마시다 + lə : NMLZ → thi lə : 마시는 것
  • fɕɛ : 말하다 + mkhən : NMLZ → fɕɛ mkhən : 말하는 사람
  • ncçhə : 때리다 + scçet : NMLZ → ncçhə scçet : 때리는 도구
  • ʁə ro : 이발하다 + re qhe: NMLZ → ʁə ro re qhe : 미용실
  • 앞에 제시된 명사화소들과 달리, 과거시제 표지 뒤에 붙어 과거에 일어난 행위가 미친 대상을 나타내는 명사화소가 있다. si가 바로 그러한 것이다.
horp1240 genxiawengmu2019:192
thəwunɑknoŋrzoɡəɣduzdasi.
3SGERGforestinsideleopardcentrifugalseeEXPNMLZ
그 사람은 살림에서 표범을 본 적이 있다.
doc/horpa/2_wordclass/23_verb/23_verb.txt · 마지막으로 수정됨: 2020/11/28 12:03 저자 서취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