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동사 어간 원형 | 1SG | 2SG | 3SG | 1PL | 2PL | 3PL |
| ɕə '가다' | ɕo-ŋ '내가 가다' | ɕi-n '네가 가다' | ɕə '그가 가다' | ɕə ɕo-ŋ '우리 가다' | ɕə ɕi-n '너희들이 가다' | ɕə ɕə '그들이 가다' |
| 동사 어간 원형 | 1SG | 2SG | 3SG | 1PL | 2PL | 3PL |
| xi '입다' | xu | xi | f-xi | xo-ŋ | xi-n | f-xi |
| nɡə '먹다' | nɡu | nɡi | nɡə | nɡə ɡo-ŋ | nɡə ɡə-n | nɡə ɡə |
| 동사 어간 모음(입력형) | 출력형 |
| i/ə | u |
| e/ɛ | o |
| u/o | u/o (유지) |
| ɑ | o |
| a | a (유지) |
| 동사 어간 원형 | 1SG | 2SG | 3SG | 1PL | 2PL | 3PL |
| xsav '돌리다' | xsav | xsav | xsav | xsa-ŋ | xsav | xsav |
- 본 바와 같이, 1인칭 복수를 나타낼 때 운미가 탈락되고 어간 모음 뒤에 인칭을 나타내는 접미사 -ŋ를 추가한다.
| 동사 어근 원형 | S(1SG), IO(3SG) | S(1PL), IO(3SG) | S(2SG), IO (3SG) | S(2PL), IO (3SG) | S(3SG), IO(3SG) | S(3PL), IO(3SG) | S(1SG/1PL), IO(2SG) | S(3SG/3PL), IO(2SG) | S(2SG/2PL), IO(1SG) | S(3SG/3PL), IO(1SG) |
| kho | kho | kho-ŋ | kho | kho-n | f-kho | f-kho | kho-n | f-kho-n | kho-ŋ | f-kho-ŋ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