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용자 도구

사이트 도구


doc:horpa:8_lexicology:82_wform:wform_comp

wform_comp: 합성(compounding)

병렬 구조를 지닌 합성어

  • 명사끼리, 동사끼리 그리고 형용사끼리가 결합하여 합성명사, 합성동사, 합성형용사를 형성할 수 있다.
  • 명사와 명사가 결합하여 대등 합성어를 이룰 수 있다. 예를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horp1240 genxiawengmu2019:58
  • pqo : 천(天) + xtho : 지(地) → pqo xtho : 천지
  • ʁje : 오른쪽 + cçhə : 왼쪽 → ʁje cçhə : 좌우
  • ve: 부(父) + me : 모(母) → ve me : 부모
  • 동사와 동사가 결합하여 새로운 동사를 형성할 수 있다. 예를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horp1240 genxiawengmu2019:59
  • rə : 사다 + zʑə : 팔다 → rə zʑə : 사고팔다
  • thɛ : 벗다 + ɡə : 입다 → thɛ ɡə : 벗고 입다
  • ncçhə : 때리다 + ncçhə : 때리다 → ncçhə ncçhə : 싸우다
  • 형용사와 형용사가 결합하여 새로운 형용사를 형성할 수 있다. 예를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horp1240 genxiawengmu2019:59
  • qhe : 나쁘다 + ʁjɛ : 좋다 → qhe ʁjɛ : 나쁘고 좋다
  • dʑi : 길다 + lji : 짧다 → dʑi lji : 길고 짧다
  • mthu : 높다 + ʁmɑ : 낮다 → mthu ʁmɑ : 높고 낮다

- 합성어 중 합성형용사가 가장 많은 양을 차지하고 있고 그 다음으로 많은 비중을 차지하는 것은 합성명사이다.

수식 구조를 지닌 합성어

수식어가 앞에 오고 피수식 성분이 뒤에 오는 경우
  • 이 경우는 다시 명사+명사, 동사+명사, 방위명사+명사 등으로 세분할 수 있다.
명사+명사의 경우
horp1240 genxiawengmu2019:59
  • va : 돼지 + rɡu : 우리 (짐승을 가두어 기르는 곳) → va rɡu : 돼지 우리
  • ɕoŋ : 나무 + tok : 과실 → ɕoŋ tok : 과일
  • dza : 차(茶) + dɛm : 컵 → dza dɛm : 찻잔
동사+명사
horp1240 genxiawengmu2019:59
  • vzu : 재단하다 + pa : 사람 → vzu vdzi : 재봉사
  • ɣcɕhər : 유랑하다 + ma : 사람 → ɣcɕhər ma : 유랑자
방위(方位) 명사 + 명사
horp1240 genxiawengmu2019:60
  • phi : 밖 + vdzi : 사람 → phi vdzi : 외부 사람/남
  • tɕha : 위 + ɣmur : 입술 → tɕha ɣmur : 윗입술
  • və : 아래 + ɕə : 이(齒) → və ɕə : 아랫니
피수식 성분이 앞에 오고 수식어가 뒤에 오는 경우
horp1240 genxiawengmu2019:60
  • lu : 해/년 + xsɛr : 새 → lu xsɛr : 새해
  • vdzi : 사람 + ɡɑ dʐɑ : 좋은 → vdzi ɡɑ dʐɑ : 좋은 사람
  • ʥa : 차(茶) + ɡɛ ʁjɛ : 진한 → ʥa ɡɛ ʁjɛ : 진한 차

지배(支配) 구조 (술어+목적어) 구조를 지닌 합성어

horp1240 genxiawengmu2019:60
  • ɕhoŋ : 나무 + ntu : 베다 → ɕhoŋ ntu : 나무를 베다
  • fɬhə : 씨 + sphro : 뿌리다 → fɬhə sphro : 씨를 뿌리다/파종하다
  • fkav : 호령 + phap : 반포하다 → fkav phap : 호령을 내리다

주어+술어 구조를 지닌 합성어

  • 술어 자리에 동사가 오는 경우
horp1240 genxiawengmu2019:60
  • ɣrə : 물 + lə : 끓이다 → ɣrə lə : 끓은 물
  • ɣbə : 햇빛 + χa : 뜨다 → ɣbə χa : 해돋이/일출(日出)
  • 술어 자리에 형용사가 오는 경우
horp1240 genxiawengmu2019:60
  • vdzi : 사람 + ʁjɛ : 좋다 → vdzi ʁjɛ : 좋은 사람
  • spɛ : 담량 + cɕhɛ : 크다 → spɛ cɕhɛ : 담차다

계기적 의미 관계를 지닌 합성어

  • 이 부류의 합성어는 두 동사로 이루어져 있고 두 동사가 나타내는 행위가 계기적 의미를 관계를 이루고 있다.
horp1240 genxiawengmu2019:61
  • spo : 옮기다 + lʒə : 심다 → spo lʒə : 옮겨 심다/이식하다
  • ʂkə : 훔치다 + zʑə : 팔다 → ʂkə + zʑə : 훔쳐 팔다
  • 병렬 구조와 지배 구조를 보인 합성어의 경우, 구성요소들 간의 긴밀성이 높아 그들 사이에 휴지를 두지 않는다. 경우에 따라 음운 변동이 일어나기도 한다.
  • 이들에 비해서 병렬 구조나 지배 구조를 보인 구(句)의 경우, 성분들 간의 긴밀성이 떨어져 그들 사이에 휴지를 둔다. 그리고 음운 변동도 일어나지 않는다.
  • 호르파어의 합성어는 둘 이상의 요소로 이룰 수 있는데, 그들 가운데 두 개의 요소로 구성된 합성어가 가장 많다.
doc/horpa/8_lexicology/82_wform/wform_comp.txt · 마지막으로 수정됨: 2020/11/28 11:05 저자 서취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