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용자 도구

사이트 도구


doc:ingr:0_general:02_dialect:02_dialect

02_dialect : 방언 (dialect)

이조르어에는 4개의 주요방언인 헤바(Khava), 오레데쥬(Oredezh), 소이킨(Soykin), 남루쥬 방언(Lower Luzh)이 있다. 본 문서는 Laanest1993을 따라 가장 보수적인 헤바 방언의 특성을 기술한다.

헤바 방언

코바시 강을 따라 일부 시골 지역과 레닌그라드 주 로모노소프 지역의 핀란드만 해역에 분포하는 방언으로서 가장 보수적인 방언이다.

  • 어말 자음 k, h, n 등이 남아있다(kassek 'dew', pereh 'family', metsään 'forest'): 다른 세 방언에서 어말의 k, h는 완전히 사라졌고 대부분의 경우 어말의 n도 사라졌다.
  • 가정에서 노년 세대가 구사하는 구어로 수십명의 화자가 남아있다(Laanest1993:62).

오레데쥬 방언

오레데쥬 방언은 오레데쥬 강의 중류 서부지역에 분포하였으나 오늘날 이미 의사소통 수단으로서의 기능을 상실했다고 볼 수 있다.

  • 모음 사이의 p, t, k를 b, d, g로 s는 š 또는 ž로 발음했다

소이킨 방언

소이킨 반도(킨기세프 지역)에서 구사되는 방언으로 다른 방언들에 비해서 비교적 잘 보존되어 있지만 역시 노년 세대의 구어이며 화자는 100명을 넘지 않을 것으로 추정된다(Laanest1993:62).

  • 이중모음 ea/eä 대신 ia/iä (예: valkkia ‘white.ADJ’. 헤바 방언에서는 valkkea)
  • 발트-핀어의 *str > zr (예 ozra 'barley'. 헤바 방언으로는 odra)

남루쥬 방언

루가강 하류에서 사용되는 방언으로 100-200명의 화자가 있으며(Laanest1993:63) 바트어 및 핀란드 방언들의 영향을 받아 나머지 방언들과 대비되는 음성-형태적 특징이 있다.

  • 모음 사이의 B, D, G를 p, t, k로 발음 (나머지 방언에서는 b, d, g)
  • 3음절 단어에서 보이는 자음반복이 없음: matala ‘low’(다른 방언에서는 mattaala)
  • 어말의 -set에서 e가 탈락되지 않음: heposet ‘horses’ (다른 방언에서는 heppoist)
doc/ingr/0_general/02_dialect/02_dialect.txt · 마지막으로 수정됨: 2021/08/26 14:40 저자 동영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