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c:ingr:1_phonology:11_cons:11_cons

11_cons : 자음 (consonant)

조음위치 조음방법 음소 ipa
bilabial plosive p b p b
bilabial nasal m m
labio-dental fricative f v f v
dental-alveolar plosive t d t d
dental-alveolar affricative ts t'š ts dz
dental-alveolar fricative s š z ž j s ʃ z ʒ j
dental-alveolar nasal n n
dental-alveolar lateral l l
dental-alveolar vibrant r r
velar plosive k g k g
laryngeal fricative h h
  • 자음 p, t, k는 어두 또는 다른 무성음과 나란히 쓰이는 경우 무성 강한 파열음으로 실현되는 반면, 다른 위치에서는 반(semi-)유성 약한 파열음 B, D, G처럼 발음된다: paDa 'pot', taeh 'manure'; kaluDaG 'nibble', pehko 'bush'; musta 'black', haBan 'sour'
  • 핀란드어 표준어에는 d만 있지만 이조르어 일부 화자들은 b, d, g를 개별음소로 취급하는 반면, 유성 파열음은 아예 발음하지 않거나 일부화자는 무성 파열음(p, t, k)의 변이음으로 발음하는 경우도 있다. 이조르어의 구개음화된 자음의 발음은 핀란드어 표준어 발음과 완전히 다르다.
  • 음소 s가 모음과 유성음 사이에 올 때 반유성음 Z 또는 유성음 z 예) sären 'beat.1SG.PRS' vs. peZä ~ pezä 'nest'
  • k 앞에서 음소 n은 연구개 변이음인 ŋ으로 발음: keŋGä 'footwear'
  • 후설모음 전후의 l을 발음할 때는 혀가 좀 더 뒤쪽에서 발음됨(모든 화자에게서 이 소리가 러시아어에 특징적인 л 발음가와 동일하진 않다)
doc/ingr/1_phonology/11_cons/11_cons.txt · 마지막으로 수정됨: 2021/08/26 14:48 저자 동영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