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 2부정사 어간의 형태에 따라 접미사를 쓴다
1) 단모음 또는 자음 뒤에는 -izi-, -is- 2) 단음절 어간이 장모음인 경우에는 -isizi-, -isiis- 3) 여러음절로 된 어간이 장모음인 경우에는 -(j)aizi-, -(j)ais-
결과적으로 아래와 같은 패러다임이 된다
| 인칭 | 단수 | 복수 | 
| 1 | -izin, -isizin, -(j)aizin | -izimma, -isizimma, -(j)aizimma | 
| 2 | -ist, -isiist, -(j)aist | -izitta, -isizitta, -(j)aizitta | 
| 3 | -iz, -isiiz, -(j)aiz | -taiz | 
부정문은 부정동사의 현재-미래 활용형 + 본동사는 3인칭 조건법 형태만 쓴다
첨사 laa ‘let, let’s’ + 현재-미래시제
부정동사의 변화형 + 본동사 (2인칭 단수는 현재-미래시제의 어간 / 나머지는 제 1부정사) 형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