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현재-미래 | -∅ |
| 과거비완망 | -i |
| 완료 | 조동사 ollak ‘BE’의 현재-미래 + 본동사의 완료 분사형 |
| 대과거 | 조동사 ollak ‘BE’의 과거비완망 + 본동사의 완료 분사형 |
러시아어 완망상의 현재-미래 시제에 해당. 목적어는 부분격(현재진행의 의미) 또는 단수 속격이나 복수 주격(미래의 의미). 22_명사 문서의 격 사용법 참고.
| 인칭 | 긍정 단수 | 긍정 복수 |
| 1 | -n | -mma(-mmä) |
| 2 | -t | -tta (-ttä) |
| 3 | -p, -aa (-ää), -ii, -oo (-öö), -uu, (-üü), -oi (-öï) | -aa(-ää), -taa (-tää) |
| 인칭 | 부정 단수 | 부정 복수 |
| 1 | miä en tee 나는 하지 않는다 | möö emmä tee 우리는 하지 않는다 |
| 2 | siä et tee 너는 하지 않는다 | töö että tee 여러분은 하지 않는다 |
| 3 | hää ei tee 그는 하지 않는다 | höö evät tee 그들은 하지 않는다 |
현재시제 동사와 동일한 형태가 아닌 미래시제도 있다.
1) olla 동사에서 파생한 leetä를 조동사로 사용
| 인칭 | 단수 긍정 | 단수 부정 | 복수 긍정 | 복수 부정 |
| 1 | leenen | en leene | leenemmä | emmä leene |
| 2 | leenet | et leene | leenettä | että leene |
| 3 | leenöö | ei leene | leenööt | evät leene |
2) noissa ‘become’를 조동사로 사용(목적어는 translative)
| 인칭 | 단수 긍정 | 단수 부정 | 복수 긍정 | 복수 부정 |
| 1 | noizen | en noize | noizemma | emmä noize |
| 2 | noizet | et noize | noizetta | että noize |
| 3 | noissoo | ei noize | noissaa | evät noize |
1) 제 1복합미래: 사건이 완료될 것을 의미. noissa ‘become’의 현재-미래 활용형 + 본동사의 제 2부정사 내향격 형태
2) 제 2복합미래: 가까운 미래에 사건이 시작될 것을 의미. alkaa ‘begin’의 현재-미래 활용형 + 본동사의 제 1부정사 속격 형태
1) 2음절 동사에서 두 음절의 모음이 모두 -a인 경우 두 번째 모음은 -oi로 변화
2) 동사 어간의 마지막 모음이 -o(ö), -u(ü)인 경우, 어간에 -i를 덧붙인다
3) 동사 어간이 -oi, -i로 끝나는 경우에는 미래-현재시제와 형태가 동일하다
4) 기타 단모음으로 끝나는 어미의 경우(-a, -ä, -e) 모음이 -i로 바뀐다
5) 자음교체 -lt → -ll, -nt → -nn, -rt → -rr가 일어나는 어간의 경우 -lz(-ls), -nz(-ns), -rz(-rs)가 쓰인다.
6) 장모음으로 끝나는 어간을 가진 동사의 과거비완망에는 접미사가 추가된다: 단수 -izi (-is), 복수 -zi (-si)
위의 변화를 종합하면 아래와 같은 목록이 된다
| 인칭 | 과거완망 접미사(단수) | 과거완망 접미사(복수) |
| 1 | -oin, -uin, -in (-lzn, -nzin, -rzin), -izin | -oimma, -uimma, -imma (-lzimma, -nzimma, -rzimma), -zimma |
| 2 | -oit, -uit, -it (lzit, -nzit, -rzit), -st | -oitta, -uitta, -itta (-lziita, -nzitta, -rzitta), -zitta |
| 3 | -oi, -ui, -i (-lsi, -nsi, -rsi), -iz | -tii (-llettii, -nnettii, -rrettii), -stii |
비완망 과거시제의 부정문은 부정동사를 현재-미래시제로 인칭변화시키고 본동사는 분사형으로 쓴다
목적어가 있을 때 목적어는 조동사와 본동사 사이에 위치할 수 있으며 단수 형태는 속격으로, 복수 형태는 부분격으로 쓴다.
| Hää | ei | oo | sitä | lukkee-nt |
| he | BE.NEG.3SG | BE.NEG.3SG | this.PART | read-PTCP |
| konz | hää | tuli, | miä | olin | jo | töö-n | lopettaa-nt. |
| when | he | come.IMPERF | I | BE.IMPERF.1SG | already | work-GEN.SG | finish-PST.PTCP |
이 시제는 20세기 후반에 러시아어와 보트어의 영향으로 생겨난 것으로, 미래에 행위가 완료될 것임을 나타낸다. 조동사 leetä ‘BE’의 활용형 + 본동사의 제 2분사형태를 쓴다.
| Konz | hää | tull-oo, | miä | leenen | jo | töö-n | lopettaa-nt. |
| when | he | come-FUT.3SG | I | BE.1SG | too | work-GEN.SG | finish-PST.PTCP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