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c:ingush:0_general:01_basic:01_basic

01_basic : 기초 정보 (basic information)

코드

  • glottocode : ingu1240
  • iso-639-3 : inh
  • walscode : ing

언어명

  • 영문 : Ingush language
  • 한글 : 인구시어
  • 러시아어 :ингушский язык
  • 자칭 : ГӀалгӀай

인구지리학적 정보

  • 사용인구 : 이 언어는 인구시 공화국 안에서 230,315명(1989년 통계)이 쓰고 있어 77 % 이상이 쓰며, 주변 나라를 통 틀어서 415,000여명이 쓴다. 안구슈트 라는 지역에서 가장 많이 사용한다.
  • 사용지역 : 인구시 공화국(러시아 자치 공화국) 조지아와 체첸 공화국, 카바르디노 발카르 공화국과 인접해 있다. 인구시 공화국에서 모국어로 사용하되, 인구시인의 97.4% 가 인구시어가 모국어라고 생각하고, 그 중 79,6% 가 러시아어를 자유롭게 구사한다. 그래서 러시아어와 인구시어 두 언어가 이중모국어로 사용된다. 2010년 자료에 의하면 305,868명의 화자가 있는 것으로 나타난다.

역사

  • 20세기 초까지 아랍 문자에 기반한 문자를 쓰다가 10월 혁명 뒤 라틴 문자로, 그 뒤 키릴 문자로 쓰게 되었다. 그러면서 처음으로 인구시어로 쓰여진 신문(Serdalo)이 발행 되고, 학교 기관 특별히 사범대에서 학문에 대한 연구가 시작 되었다.
    인구시어로의 라디어, 텔레비전 방송, 예술 작품 등도 활발하게 만들어지기 시작했다.
인구시어 연구의 역사
  • 1981 년 체첸 국립 대학교에 체첸-인구시어문학 의 특별한 학부가 생겼고, 본격적인 연구가 시작되었다. 1989년 러시아 학자 들에 의해 특별히 많은 연구들이 시작되었는데,

    • A.N. Genko
    • N.F.Yakovlev
    • O.P. Egorov

위 학자들과 다른 학자들을 주축으로 연구가 이어졌으며, Y.D.Desheriev , D.C.Imnaishvili 에 의해 연구가 지속되었다. 문법쪽에서는 Z.K.Malisagov. 의 연구는 지금까지도 영향을 미치고 있다.

doc/ingush/0_general/01_basic/01_basic.txt · 마지막으로 수정됨: 2021/08/25 22:28 저자 김희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