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c:itelmen:1_phonology:15_phonproc:phonproc_assimil

phonproc_assimil : 동화(assimilation)

  • 이텔멘어의 동화는 형태소적 조건까지 충족되어야 일어난다. 예를 들어서 ԓ + с → с가 되는 것은 с가 현재시제의 표지일 때만 일어난다
itel1242 Volodin1997:63
кʼо-∅-с-ч
come-PFV-PRS-2SG.ACT
너는 오고 있다(<- кʼоԓ-∅-с-ч)
  • ԓ + с 중에서 с가 현재시제가 아닌 형태소(아래 인칭접미사)인 경우에는 동화가 일어나지 않는다
itel1242 Volodin1997:63
кʼоԓ-∅-∅-сх
come-PFV-PST-2PL.ACT
너희들이 왔다 (<-кʼоԓ + ∅ + сх)
  • 현재시제 접미사인 -с는 유성자음으로 시작하는 인칭접미사 (-вин, -миӈ, -вŏмнэн, -миʼӈ, -ʼн, -вŏмнэʼн) 앞에서 유성음화(-з) 된다.
itel1242 Volodin2003:33
ањчпə-∅-з-миʼӈ
teach-PFV-PRS-2SG.ACT.1PL.UND
너는 우리를 가르친다
  • 비고. 모음삽입 또한 형태소 조건이 맞아야 일어난다. 활용형의 종류를 나타내는 к + 제1 부정사 표지 с 사이에는 а가 삽입되지만, 그 외의 형태소 조건에서는 кс의 자음군이 그대로 쓰인다.
itel1242 Volodin1997:63
  • наскас : to go down ( ← нас-к-с)
  • аӈикстач : heartburn
doc/itelmen/1_phonology/15_phonproc/phonproc_assimil.txt · 마지막으로 수정됨: 2021/03/01 17:54 저자 동영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