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c:jinuo:2_wordclass:36_ptcl:36_ptcl

36_ptcl : 첨사(particle)

  • 지누어의 첨사는 구조조사와 어기조사로 나누어서 살펴볼 수 있다.

(1) 구조조사

문장성분이나 문장성분간의 관계를 표시하는 허사이다.

1) 관계격조사

ɤ33(혹은 loe33) : 주어와 술어연결, mjɑ33 : 복합술어, 단문간의 연결, xɔ44ɔ33 : 앞 뒤의 어기 연결(就)

2) 관형격 조사

mɤ44 : 관형어 역할을 하는 형용사, 동사, 구, 문장 뒤에 분포, 때로는 명사화 기능을 함.

3) 부사격 조사

ɛ44(tɛ42) : 형용사가 부사어로 기능하며 중심어 앞에 분포할 경우

4) 상(표지)조사, 태조사 :

동사의 상, 태 참고

(2) 어기조사

1) 진술

진술을 나타내는 어기조사 : noe33, fɑ44, lɑ55, m55

2) 명령

명령을 나타내는 어기조사 : m42, o44

3) 의문

의문을 나타내는 어기조사 : lɑ42, ᶇɑ44, ɛ44

4) 문장유형과 관련된 어기조사

① a33, nɛ33 : 진술 문미조사, 서로 바꾸어 쓸 수 있다.

② a33lʌ31, a33njʌ31 : 비미래 의문문미조사, 서로 바꾸어 쓸 수 있다.

③ ɛ33la31, ɛ33nja31 : 미래 의문문미조사, 서로 바꾸어 쓸 수 있다.

④ o33, ɛ33, ka31, tʌ31, ŋjɯ53 : 명령, 청유 문미조사.

5) kɤ33(ɤ33) : 화제표지

6) va44

① 명사성 성분 뒤에 쓰여, 동작이 지향하는 것 또는 동작의 영향을 받는 대상을 나타낸다. 문장의 주어나 목적어가 될 수 있다.

youl1235 jiangguangyou2010:173
ŋo31va44tʃho54se54kɔ33nɛ33
1SGNOMcloddiePROGDEC
나는 추워 죽겠다.

문맥상 동작의 지향이나 영향 받는 대상이 명백할 경우 va44를 생략할 수 있지만, 명사화구 및 이중목적어구문에서 동작의 지향이나 영향 받는 대상 뒤의 va44는 생략할 수 없다.

youl1235 jiangguangyou2010:174
z044ku44ta31tS733m733va44khjØ33nE33
childtake.injectionNMLZOBJafraidDEC
아이는 주사 맞는 것을 두려워한다.
youl1235 jiangguangyou2010:174
l031sɿ44s\y31sM44va44klV54khjV44klV54ɬE31mV44k033nE33
teacherstudentOBJsongsinglearnPTCLPROGDEC
선생님이 학생들에게 노래를 가르치고 있다.

② 명사성 성분 뒤에 위치하여 장소를 표시하는 기능을 하고 보통 생략 가능하다.

youl1235 jiangguangyou2010:175
xo31mɔ33thi44/33mʌ44a33tsɯ44va44a44sɯ44tsɔ44kɔ33a33
monkeyoneCLtreeLOCfruitseatPROGDEC
원숭이 한 마리가 나무 위에서 과일을 먹고 있다.

③ 명사성 성분 뒤에 위치하여 시간을 나타낸다. 명사화구 뒤에 쓰여 시간을 나타낼 경우 생략할 수 없고, 다른 경우에는 생략 가능하다.

youl1235 jiangguangyou2010:175
ŋo31thi44nji33va44jɔ44kho44ŋɔ33tshɤ44ku33li31zo44khjɤ54a33
1SGonedayLOCstreet50kmwalkcanDEC
나는 하루에 50km를 걸을 수 있다.

7) jʌ33

① 명사성 성분 뒤에 위치하여 도구격조사로 쓰이며 생략 가능하다.

youl1235 jiangguangyou2010:176
nʌ31tɛ31tʃha31jʌ33ɛ44khɤ44tʃha31tɛ44
2SGrulerINSpillarmeasurewatch
너 자로 기둥을 재 보아라.

② 명사성 성분 뒤에 위치하여 기점을 나타낸다.

youl1235 jiangguangyou2010:177
ŋjɯ31ɔ33m33tɛ44khjo44jʌ33tshø14to31nɛ33
suncloudinsideALLshowoutDEC
태양이 구름 속에서 나왔다.

③ 명사성 성분 뒤에 위치하여 비교문의 비교기준을 나타낸다.

youl1235 jiangguangyou2010:177
khɤ31mi44khɔ44ŋo31jʌ33tʃɤ44mlʌ44a33
3SGmiss1SGCOMPARmoreprettyDEC
그 아가씨는 나보다 더 예쁘다.

8) ja54

① ‘소유자+ja54+소유물’의 순서로 소유를 나타내는 조사이다.

youl1235 jiangguangyou2010:178
ŋo31ja54lʌ44tsho44khjo44lo44va44py44xo31kla31tʃa44kɔ33a33
1SGPOSStrousersinsideLOCantcrawlaroundPROGDEC
개미가 내 바지 곳곳에서 기어 다닌다.

② “전체+ja54+부분”의 어순으로 전체와 부분을 나타낸다.

youl1235 jiangguangyou2010:178
khɤ31a44sɯ44thi44sɯ44ja54thi44pha31khjɛ54thi44pha31tsɛ44lɔ31/44nɛ33.
3SGfruitoneCLPOSSonehalfafteronehalfleftcomeDEC
그는 과일을 반은 먹고 반은 남겼다.

③ “A+ja54+B” 구성으로 A와 B간의 거리가 근접해 있음을 나타낸다.

youl1235 jiangguangyou2010:179
ŋo31xji33ja54tshʌ31zɔ44mʌ44/33ŋɤ31/44a33,jɔ44kho44zo44kha54nɛ33.
1SGthisPTCLpersonNEGbeFProadwalkpassDEC
나는 이 곳 사람이 아니고 이곳을 경유할 뿐이다.

④ “A+ja54+B” 구성으로 근접 시간을 나타낸다.

youl1235 jiangguangyou2010:179
tshɤ44mjɔ44ja54a44mɛ44ji3mjɔ44ja54a44mɛ44jʌ33tʃɤ44thʌ54a33
this.yearPTCLfoodlast.yearPTCLfoodPTCLmoremuchFP
올해 식량이 작년보다 많다.

⑤ “변화 전 +ja54+ 변화 후”의 구성으로 변화를 나타낸다.

youl1235 jiangguangyou2010:179
xjo31ma54thi44phu31ja54sø44phu31tʃʌ31se44a44nɛ33
3PLonevillagePTCLthreeCLBEscatterPRFDEC
그들 한 마을은 3개로 나누어 살았다.

⑥ “재료 +ja54 +완성품”의 구성으로 쓰일 수 있다.

youl1235 jiangguangyou2010:180
ʃɔ44kho31ja54khjɛ54tsho44
hidePTCLshoes
가죽신발

⑦ 가격과 대등한 보상

youl1235 jiangguangyou2010:181
ŋai31kɔ44pjo44tɛ54ja54phlu31
paperpenPTCLprice
종이와 펜의 값

⑧ 관계화 절이 앞에서 명사성 성분을 수식할 경우 ja54를 써야 한다.

youl1235 jiangguangyou2010:180
lɔ44mɤ33/44ja54tshʌ31zɔ44thʌ31a33
comeNMLZRELpersonmanyDEC
온 사람이 많다.

⑨ 명사화절 뒤에 쓰여 강조를 나타낸다.

youl1235 jiangguangyou2010:182
xji33a44mɛ44a44kje44nʌ31va44thɔ44mʌ44mɤ33/44ja54!
thiscooking2SGOBJleaveBENNMLZINT
이 요리는 너에게 남겨놓은 것이다.

9) mɤ33

① 명사화

Ⓐ 사람지시

youl1235 jiangguangyou2010:183
ja54ŋji33ɯ31tha54pʌ3je31mɤ33tshɤ31li54
todaymounthuntgoNMLZtenCL
오늘 산에 사냥 간 사람이 10명이다.

Ⓑ 사물, 시간, 장소지시

youl1235 jiangguangyou2010:183
khɤ31a4njʌ44ja54zɔ44ku44va44te33li31mɤ33li31ɫɛ31mʌ44kɔ33nɛ33
3SGREFLPOSSchileOBJfieldplowNMLZplowlearnBENPRPGDEC
그는 자신의 아이에게 밭 쟁기질을 가르치고 있다(쟁기질을 하면서 가르침)

② 동사(구), 형용사(구), 문장 뒤에서 관계절화 표지로 기능한다. “명사성 성분+관계화절”(1), “관계화절+ja54+명사성 성분”(2) 두 가지 어순이 가능하다.

youl1235 jiangguangyou2010:184
su31ma54ja54phlu31tu44tu44va54tɔ44mɤ33/44tu44jɔ33ɛ54mɤ33
3PLPTCLburymoneydighideRESRELdiggetEVID
듣자하니 그들은 묻어둔 돈을 찾아냈다고 한다.
youl1235 jiangguangyou2010:184
su31ma54tu44va54tɔ44mɤ33/44ja54phlu31tu44tu44jɔ33ɛ54mɤ33
3PLdighideRESRELPTCLburymoneydiggetEVID
듣자하니 그들은 묻어둔 돈을 찾아냈다고 한다.

③ 목적어절 수반 : 말하다, 생각하다 동사 뒤에서 목적어절을 수반, 때로는 목적어절 뒤에 중복해서 출현하기도 한다.

Languages
ŋo31kjɔ44kɔ33mɤ33ŋo31mi44ŋji33lʌ44po31tshɯ54je31/54ɛ33kjɔ44kɔ33nɛ33
2SGwantPROGREL1SGtomorrowtea.leavespickgoFUTwantPROGDEC
나는 내일 찻잎을 따러 가고 싶다.

④ 과거 발생한 일을 진술한다.

youl1235 jiangguangyou2010:185
khv31ŋo31va44la54/44vɛ31/54vɛ31/44khu3I/44mɤ33/44
3SG1SGOBJhandwavewavecallPST
그녀가 나를 향해 손 흔들며 인사했다.

10) 부사어조사(상태)

  • 지누어에는 ‘차례대로, 일일이, 하나하나씩’을 나타내는 구성으로 “thi44+양사+thi44+양사”와 “kɔ33+양사+kɔ33+양사”가 있다.
  • 이들은 동사 앞에 위치하는데, “kɔ33+양사+kɔ33+양사”구성은 뒤에 부사화소 tɛ33 대신 kɔ33를 중복하여 사용할 수 있다.
youl1235 jiangguangyou2010:185
ji31tʃho54tha54la54va44mi31tsha54kɔ33tsɯ54kɔ33tsɯ54tɛ33/kɔ33pu33tʃʌ44kɔ33a33
watheraboveLOCmudonelumponelumpADVZfloatPROGDECFP
물 위에 한 덩어리 한 덩어리의 진흙이 떠있다.
  • tɛ33,ɛ33, a33
  • tɛ33와 a33는 가장 흔히 쓰이는 부사화소이다. ɛ33는 tɛ33의 음이 감소된 것이다.
youl1235 jiangguangyou2010:185
khɤ31mʌ44vai31mʌ44/33pjʌ44tɛ33thʌ31kɔ33a33
3SGNEGfastNEGslowADVZrunPROGDEC
그는 빠르지도 느리지도 않게 달렸다.

11) 상표지 조사

  • ɛ33 : 미래상
  • mʌ35 : 임박상
  • ʌ44 : 완료상
  • kɔ33 : 진행상
  • tɔ44 : 지속상, 경험상

12) vi44

① 화자의 바람, 의지: 주로 명령문에서 사용되고 화자가 (어떠한 힘을 빌어) 어떤 상황이 출현하기를 희망함을 표현하며 생략 가능하다.

youl1235 jiangguangyou2010:187
tɯ44thɔ33/35vi44!
get.upIMP
일어나라!

② 허가 혹은 금지

youl1235 jiangguangyou2010:188
ɕy31sɯ44ma54va44jɔ44kho31mʌ44mɯ54vi54a33
studentPLPTCLcigaratteNEGtakePROHDEC
학생들이 담배피우는 것은 금지되어 있다.

③ 외부의 힘에 의한 나타난 현상을 나타낸다. 생략 가능하다.

youl1235 jiangguangyou2010:189
ŋo31thi33mʌ44to44mi31tha54tɯ31tʃe31tɯ31pu54(vi44/54)a44nɛ33
1SGwhole.bodyrainget.wetPASSPRFDEC
나는 온 몸이 비에(의해) 다 젖었다.

13) 증거성

① ɛ54mɤ33 : 물말에 위치하여“듣자하니, 들은 바로는…”의 의미를 나타낸다.

② tʃe31 : 누가 직접 말해준 것임을 의미한다.

14) 상호태

① po31 : 동사 뒤에 위치하여 싸우지 않는 ‘서로’를 나타낸다.

youl1235 jiangguangyou2010:191
khɤ31mi44khɔ44zɔ44khɔ44ŋji54tɛ44phjɔ44po44nɛ33
3SGwomanmantwowatchloveRECPDEC
그 한 쌍의 남녀는 서로 사랑한다.

② ʃi31 : 싸우는 ‘서로’

youl1235 jiangguangyou2010:192
tshœ31ʃi31
pierceRECP
서로 칼로 찌르다. (用刀尖)

15) pɔ31

명사 혹은 대명사 뒤에서 동작이나 행위의 위치 및 방향을 나타낸다.

youl1235 jiangguangyou2010:193
khɯ44jo44ŋo31pɔ31tʃø33la54kɔ33nɛ33
dog1SGLATruncomePROGDEC
개가 나를 향해 달려온다.

16) jɔ44

용도, 목적을 나타낸다. ‘동사+jɔ44’는‘ 문장에서 관형어로 전치와 후치가 모두 가능. 따라서 jɔ44는 용도, 목적의미 외에 동사를 관계화 시켜 관형어로 만드는 기능도 가진다.

youl1235 jiangguangyou2010:194
a44mɛ44tsɔ44jɔ44khlɛ31tʃhi44khlɔ33jɔ44!
mealeatRELtableaboveputwell
밥 먹는 상을 잘 놓아라.
youl1235 jiangguangyou2010:194
khlɛ31a44mɛ44tsɔ44jɔ44tʃhi44khlɔ33jɔ44!
tablemealeatRELtableputwell
밥 먹는 상을 잘 놓아라.

17) jo44

명사성 성분 뒤에 위치하여 “~에 따르면, ~과 같이”의 의미를 나타낸다.

youl1235 jiangguangyou2010:194
xji33ŋo31m31/44mɤ33/44jo44m31le33/54
this1SGdoNMLZPTCLdogo
내가 한 모양대로 해라.

18) mʌ44

수혜자나 접수자, 단일목적어를 가지는 동사를 이중목적어 동사로 바꾸어 주는 기능(双及物化)

youl1235 jiangguangyou2010:195
a44mɔ33zɔ44ku44va44nɛ54pu44khɯ31mʌ44kɔ33nɛ33
motherchildDITRnosewipePROGDECPTCL
엄마가 아이의 콧물을 닦아주고 있다.
doc/jinuo/2_wordclass/36_ptcl/36_ptcl.txt · 마지막으로 수정됨: 2021/01/20 21:49 저자 박은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