명사(구), 대사(구), 소유물이 생략된 소유구조, 수량(구), 명사화동사(구), 명사화형용사(구) 및 명사화절이 주어로 쓰일 수 있다.
| ŋo31 | ja54 | a33nɣ44, | nʌ31 | ja54 | a33ŋjy44 |
| 1SG | PTCL | red | 2SG | PTCL | blue |
| iʌ33 | ʃi44 | pia31 | ʃi31 | mɣ33 | mʌ44/33 | m31/44 | tshe33/35 | khjy54 | a33 |
| fight | PTCL | speak | PTCL | NMLZ | NEG | do | stop | MOD.can | DEC |
주어가 수사일 경우, 조사 va44로 반드시 표시해야 한다.
주어 뒤에 화제표지 kɣ33를 쓰기도 하지만, 평상시 잘 안 쓰며 대조나 화제를 도입할 경우에 사용한다.
| ŋji33ko33 | kɣ33 | a33ɫo44ɫo44, | mi44khjy54 | kɣ33 | a44tshœ54tshœ54 |
| day | PTCL | hot | night | PTCL | cool |
| nʌ31 | nɣ54jʌ33 | ja54 | ko31 | khlɔ33 | jɔ44 | vi44 |
| 2SG | 2REFL | PTCL | take | put | good | IMP |
일부 형용사(어떤 상태의 사람이나 사물을 표시)는 직접 목적어가 된다. (무표지 형용사의 명물화)
| xji33 | kɔ33 | xjo31 | mɯ44 | mʌ44 | mɯ44 | mʌ447 | pe31/44pha31pe31/44xɣ44 | khjy54 | a33 |
| this | one | CL | like | NEG | like | NEG | distinguish | MOD.can | DEC |
| tsɔ44/33 | jɔ44 | tʌ31/44 | jɔ44 | xø31 | tɔ44 | a331a31? |
| eat | NMLZ | drink | NMLZ | bring | PTCL | Q |
| khɣ31 | ja54 | zɔ44ku44 | te33 | li31 | mɣ33 | li31 | ɫe31 | kɔ33 | nɛ33 |
| 3SG | PTCL | child | field | plough | NMLZ | plough | learn | PTCL | DEC |
| mʌ44 | vai31 | mɣ33 | va44 | thʌ31 | phi54 | ja54 | a44 | nɛ33 |
| NEG | fast | NMLZ | PTCL | run | lose | fall | PTCL | DEC |
| khɣ31 | ŋɣ31ŋɣ31mʌ44/44 | a33 | pja31 | ŋɣ31 | mɣ33/54 | a33tʃho44 | ŋɣ31 | nɛ33 |
| 3SG | muddle.headed | ADVZ | speak | COP | NMLZ | habit | COP | DEC |
‘말하다’, ‘사고하다’, ‘알다’, ‘보다’류 동사는 뒤에 조사 ‘mɤ33’을 가지고 절 목적어를 가진다. 이런 유형의 동사들은 문미에서 다시 한번 중복출현하기도 한다.
| No31 | mjV31 | m733 | k_h731 | sM31t731 | va44 | p044na31 | ɬo54 | ŋo31 | k033 | a33 | mjV31 | nE33. |
| 1SG | see | NMLZ | 3SG | thewoods | POST | buffalo | lookafter | PTCL | PTCL | 1SG | see | FP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