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눠어의 판정의문문에는 긍정 형식과 부정 형식 두 가지 종류가 있으나 지눠어는 일반적으로 부정 형식으로 판정의문을 나타낸다.
긍정 형식 판정의문문의 예는 다음과 같다.
| o31, | ja44Nji33 | no31pho31~35 | l031~44 | E33la31? |
| EXCLAM | today | return | come | Q |
부정 형식 판정의문문의 예는 다음과 같다.
| nV | tShe31phM44 | mV44 | tV31~44 | khjy54 | a33la31? |
| 2SG | liquor | NEG | drink | can | Q |
지눠어에서는 NM54(어디), kh033su44(누구), NM54k033(어떤), khuai44(무엇), NM54p44(몇), No54lo33(어떻게), NM54mV44, NM54khjE44, No54khjE44, khjE44(언제)를 써서 설명 의문문을 나타낸다.
NM54(어디)의 뒤에는 장소표지 조사 va44를 부가하는 경우가 많다. NM54(어디)를 써서 설명 의문문을 나타낸 예는 다음과 같다.
지눠어에서 선택의문문에는 두 개 선택항 뒤에 반드시 각각 의문조사를 사용한다.
| nV31 | j044kho44 | zo44 | E33la31, | tShG44 | ta31 | E33;a31? |
| 2SG | road | walk | Q | vehicle | take | Q |
정반의문문에서는 의문조사 a33la31를 생략하는 경우가 많다.
| a33khjE44 | khM31~35 | mV44 | khM31~35 | (a33la31)? |
| time | arrive | NEG | arrive | Q |
'그래?(是吗)'의 뜻인 'NG31 a33la31?'를 사용해서 추궁이나 질의를 나타내고, '안 그래?(不是吗)'의 뜻인 'mV44~33 NG31~44 a33la31?'를 사용해서 어떤 사실에 대한 강조를 나타낸다.
'NG31 a33la31?'를 사용하여 추궁이나 질의를 나타낸 예는 다음과 같다.
| xji33 | a33tsM44 | nV31 | tE44 | th033~35 | mG33~44 | ja54, | NG31 | a33la31? |
| this | tree | 2SG | see | stay | PTCL | PTCL | COP | Q |
'mV44~33 NG31~44 a33la31?'를 사용하여 어떤 사실에 대한 강조를 나타낸 예는 다음과 같다.
| No31 | nV31 | va44 | the31~44 | mV44 | t044 | a33, | mV44~33 | NG31~44 | a33la31? |
| 1SG | 2SG | PTCL | tell | PTCL | PTCL | PTCL | NEG | COP | Q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