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눠어의 자동태는 문법 표지가 없다.
(1) 동사 + 조사 'vi44'로 나타낸다. 피사동자는 'va44'로 표기한다. 지눠어에서 'va44'의 전형적인 원래 기능은 피행위자를 나타내는 것이다. 지눠어에서 사동조사 'vi44'는 명령문과 진술문에서는 사용할 수도 있고 생략할 수도 있다.
khɤ31 | ŋo31 | va44 | a44ko33 | mʌ44/33 | o31/44 | vi44 | nɛ33. |
3sg. | 1sg. | PAT | door | NEG | enter | CAUS | DEC |
(2) 'pi44' ‘주다’가 문법화된 후 '허락'을 나타내게 되어 사동조사 'vi44'를 대체할 수 있게 되었다. 즉 동사가 'pi44' ‘(给)’일 때는 'vi44'는 생략할 수 있다. 그렇지만 이러한 대체는 철저한 것이 아니어서 양자는 병존할 수 있다.
khɤ31 | ŋo31 | va44 | a44ko33 | mʌ44/33 | pi44 | o31/44 | (vi44) | nɛ33. |
3sg. | 1sg. | PAT | door | NEG | CAUS | enter | CAUS | DEC |
따라서 다음과 같이 추측할 수 있다. vi44 는 고대 지눠어에서는 사동 의미를 나타내는 굴절식 문법 표지 수단이었는데 현대 지눠어에서는 새로운 분석 형식 수단에 의해 교체되게 된 것이다.
(3) m31+동사. 'm31'의 기본 의미는 '-하다(做,弄,搞)’. 이 구조 뒤에 'vi44'는 사용할 수도 있고 사용하지 않을 수도 있다.
(4) khjø31+동사: 'khjø31'의 기본 의미는 '파견하다, 시키다, 하게 하다(派,使,叫)'. 이 구조 뒤에 'vi44'는 사용할 수도 있고 사용하지 않을 수도 있다.
khɤ31 | a44sɯ44 | khjø31 | tʃhu31/35 | nɛ33 | ŋo31 | va44. |
3sg. | fruit | CAUS | pick | DEC | 1sg. | PAT |
형용사의 사동태는 형용사 앞에 동사 'm31' '-하다(做,弄,搞)’를 부가하여 나타냄. 형용사는 단음절 형식으로 출현한다.
mi44tsɔ44 | a44to44 | tʌ33 | tʌ33 | tɛ33 | mi31 | kji33 | le33/54! |
firewood | one.end | evenly | evenly | PTCL | do | flat | go |
'동사+형용사'의 형용사는 동사의 보어 역할을 하지만, 사동의 의미를 갖고 있어 사동태 'm31+형용사'와 바꿔 쓸 수 있다.
pʌ44 kji33=mi31kji33
mi44tsɔ44 | a44to44 | tʌ33 | tʌ33 | tɛ33 | pʌ44 | kji33 | le33/54! |
firewood | one.end | evenly | evenly | PTCL | build | flat | go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