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눠어의 상호태는 굴절 형식과 분석 형식 두 가지 종류가 있다. 굴절 형식은 상호조사를 통해서 실현된다. 분석 형식은 상호 의미를 나타내는 수량구로 실현된다. 굴절 형식과 분석 형식은 동시에 함께 사용할 수 있다.
“상호”의 의미를 나타내는 문법적 조사에는 두 가지가 있다. 하나는 'po44' 이고 하나는 'ʃi44' 이다. 'ʃi44' 는 싸움의 의미를 나타내는 상호조사이다. 동사 뒤에 위치하며 “서로 싸우다”의 의미를 나타낸다.
po44는 싸움의 의미를 나타내지 않는 상호조사이거나 서로 시합함을 나타내는 상호조사이다.
| thi44 | xjo31 | thi44 | xjo31 | va44 | kjɔ44 | tʃɯ33 | po44. |
| one | CL | one | CL | PTCL | 想 | 相信 | RECP |
| a44ŋji54 | jɔ44kho44 | thʌ31 | po44/31 | tɛ44, | khɔ33su44 | tʃɣ44 | vai31 | mʌ44 | vai31 |
| we.two | way | run | RECP | see | who | more | fast | NEG | fast |
'thi44 xjo31'와 'thi44/33 mʌ44'의 두 수량구를 써서 “상호”의 의미를 나타낸다. 전자는 사람에 쓰이고 후자는 동물에 쓰인다. 분석 형식을 써서 상호태를 나타낼 때 동시에 상호조사를 부가할 수도 있고 부가하지 않을 수도 있다.
thi44 xjo31 : 사람에 쓰인다.
| thi44 | xjo31 | thi44 | xjo31 | va44 | thi44 | xjo31 | va44 | thi44 | xjo31 | kjɔ44jɔ44kjɔ44/33tʌ33/44 | jɔ44 | a33. |
| one | CL | one | CL | PTCL | one | CL | PTCL | one | CL | understand | should | PTCL |
thi33 mʌ44 : 동물에 쓰인다.
| khɯ44jo44 | ŋji54/44 | mʌ44/54 | thi44/33 | mʌ44 | thi44/33 | mʌ44 | va44 | nɛ31 | mjʌ33 | thi44to44/54 | ŋji31kɔ33 | nɛ33. |
| dog | two | CL | one | CL | one | CL | PTCL | smell | after | together | play | DEC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