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사의 관계화는 동사(구) 혹은 문장을 ‘형용사화’ 시키는 것으로 문장에서 관형어로 쓰이며, 명사화와 동일하다. 지눠어에서는 조사 j044와 m733를 사용하여 관계화를 만드는데, j044는 용도 또는 목적을 나타내는 데에만 쓰이고, 그 이외에는 m733가 쓰인다.
jɔ44에 의해 관계화된 구조는 피수식어 앞이나 뒤에 올 수 있다. 예문은 다음과 같다.
| a44mɛ44 | tsɔ44 | jɔ44 | khlɛ31 | tʃhi44 | khlɔ33 | jɔ44! |
| meal | eat | REL | table | lift | Put | good |
| khlɛ31 | a44mɛ44 | tsɔ44 | jɔ44 | tʃhi44 | khlɔ33 | jɔ44! |
| table | meal | eat | REL | lift | Put | good |
mɤ33에 의해 관계화된 구조는 피수식어 앞이나 뒤에 올 수 있지만, 피수식어 앞에 올 때는 조사 ja54를 추가해야 한다. 예문은 다음과 같다.
| No31 | ji44Nji33 | ts_ho31 | m733/44 | ja54 | a44kje44 | va44 | mi44ts_h044 | k_ha31 | xjV44 | k_hjo31/35 | a44 | nE33. |
| 1SG | yesterday | plant | NMLZ | GEN | vegetable | PTCL | sunshine | bask | wither | finish | PTCL | DEC |
| a44kje44 | No31 | ji44Nji33 | ts_ho31 | m733 | va44 | mi44ts_h044 | k_ha31 | xjV44 | k_hjo31/35 | a44 | nE33. |
| vegetable | 1SG | yesterday | plant | NMLZ | GEN | sunshine | bask | wither | finish | PTCL | DEC |
형용사의 관계화는 mɤ33을 통해 실현되는데, 형용사가 관계화된 후 관계구의 형식은 관형어가 되어 명사성 성분을 수식한다. 후치되어 명사를 수식할 수 있고 또한 조사 ja54를 부가한 후 명사를 수식할 수 있다.
| a44po33 | a33nɤ44 | ŋɤ31/44 | mɤ33/44 | tʃi54/44 | mlʌ44/54 | a33. |
| flower | red | COP | REL | very | beautiful | DEC |
| a33nɤ44 | ŋɤ31/44 | mɤ33/44 | ja54 | a44po33 | tʃi54/44 | mlʌ44/54 | a33. |
| red | COP | REL | GEN | flower | very | beautiful | DEC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