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c:kam:1_phonology:15_phonproc:15_phonproc

15_phonproc : 음운과정 (phonological process)

유기 폐쇄음의 소멸

장동어(壯侗語)족의 어려 언어들은 모두 유기 폐쇄음을 가지고 있다. 장어(壯語)와 부의어(布依語)에는 모두 ˀb와 ˀd가 있고, 수어(水語)에는 ˀb, ˀd와 mb, nd 두 체계가 있으며, 모남어(毛南語)에는 ˀb, ˀd; mb, nd; ȵȡ ŋg 세 체계가 있다. 동원어를 비교할 때 壯語와 水語의 어두 자음 ˀb와 ˀd자음이 각각 동어의 어두 자음 m, l과 대응되고 水語와 毛南語의 어두 자음 mb와 nd는 각각 동어의 p, t와 대응된다.

예시

중국어동어모남어수어장어
남자paːn mbaːn¹ mbaːn¹
하늘 mən¹ ˀbən² ˀbən¹ ˀbɯn¹
유기와 무기의 대립
  • 동어 각 방언의 어두 폐쇄음(‘ˀ’만 극소수의 지역에서 유기와 무가를 구별함)은 모두 유기와 무기를 구별한다. 남은 비음과 설측음, 그리고 마찰음은 지역에 따라 유기와 무기를 구별할 수도 있다.

    예시: 天柱石洞 방언: ma¹ ‘반찬’, mɦa¹ ‘오다’.

치경음과 구개음(ȶ, ȵ, ɕ, j)의 대립과 연구개 폐쇄음과 구개수음 폐쇄음의 대립
  • 동어 각 방언에는 치경음과 구개음이 대립된다. 대부분의 방언에는 연구개음 폐쇄음과 구개수음 폐쇄음도 대립된다.

    예시: 三江和里 방언: ta⁵ ‘중간’, ȶa⁵ ‘그(지시사)’

운모의 단순화와 병합
  • 동어의 북부 방언의 모음에 장단의 대립이 사라졌고, 오직 ə의 음장만 비교적으로 짧다. 대부분 남부 방언에도 a만 단음으로 쓰이고 있다. aː와 a는 운미를 가질 때만 장단의 대립이 있다. 나머지 모음은 모두 장모음이다.
동어의 성조
  • 장동어족 언어의 성조가 보통 舒聲調가 6개이고, 入聲調가 2~4개가 있다. 동어의 일부 방언(三)江平理, 梨平岩洞 등)도 이 전통을 따르지만 더 많은 방언들은 舒聲調가 9개, 入聲調 6개를 가지고 있다. 이는 홀수 성조에 새로운 성조가 파생되었기 때문이다. 구체적인 내용은 성조 부분을 참고할 수 있다.
doc/kam/1_phonology/15_phonproc/15_phonproc.txt · 마지막으로 수정됨: 2018/06/25 08:56 (바깥 편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