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용으로 건너뛰기
소수 민족 언어 유형 데이터베이스
사용자 도구
로그인
사이트 도구
검색
도구
원본 보기
이전 판
역링크
최근 바뀜
미디어 관리자
사이트맵
로그인
>
최근 바뀜
미디어 관리자
사이트맵
현재 위치:
안내
»
Documents
»
kam
»
2_wordclass
»
28_clf : 분류사 (classifier)
추적:
•
28_clf : 분류사 (classifier)
사이드바
Documents
meta
사용자
Guidelines
문서 작성법
Topics
주석 규칙
주석 약호
음성기호
Tags
Languages
Terms
Features
References
doc:kam:2_wordclass:28_clf:28_clf
목차
28_clf : 분류사 (classifier)
(1) 명량사
(2) 동량사
28_clf : 분류사 (classifier)
(1) 명량사
명량사의 종류
사람에게 쓰는 분류사: muŋ⁴ ‘명/분’
동물에 쓰는 분류사: tu²
식물에 쓰는 분류사: oŋ¹
사물에 쓰는 분류사: ȶak⁸
긴 물건에 쓰는 분류사: ȶiu²
사람이나 사물의 복수형태에 쓰이는 분류사: man⁵
시간을 나타내는 분류사: nin² ‘년’, ȵaːn¹ ‘월’, man¹ ‘일’
동사로부터 파생된 분류사: taːp⁹ ‘짐((막대기 등으로) 쳐들다)’
명사로부터 파생된 분류사: təi⁶ ‘포대’
(2) 동량사
동작의 횟수를 세는 분류사: taːu⁵ ‘번’, maːt⁹ ‘번’, ha¹′ ‘번’, ɕon⁶ ‘번, 차례’,
사람의 기관 명칭으로부터 파생된 분류사: ta¹ ‘(한 번) 보다’
도구로부터 파생된 분류사: mja⁴ ‘(단 칼에) 베다’
분류사의 기능과 의미 그리고 출현 위치
중첩하여 ‘매~’의 의미를 나타낸다.
예시: muŋ⁴muŋ⁴ ‘매 번’, nan¹nan¹ ‘매 개(물건)’
수사와 명사를 결합하여 쓰일 경우 수사와 양사에 중간에 쓰인다.
예시: ja²oŋ¹məi⁴ ‘나무 두 그루’
수사가 생략된 경우 양사 자체가 ‘일(하나)’의 의미를 나타낼 수 있다.
kami1255
liangmin2006
:192
ki¹
naːi⁶
me²
tu²
kwe².
place
this
have
CL
buffalo
여기에 물소 한 마리가 있다.
doc/kam/2_wordclass/28_clf/28_clf.txt
· 마지막으로 수정됨: 2018/06/25 08:56 (바깥 편집)
문서 도구
원본 보기
이전 판
역링크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