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용자 도구

사이트 도구


doc:kam:8_lexicology:82_wform:82_wform

**문서의 이전 판입니다!**

82_wform : 조어법 (word formation)

  • 동어 조어법은 합성과 파생 두 가지가 방법이 있다.

(2) 파생법에 의해서 만들어진 유형

1) 접두사 ȶi⁶

기수사에 접두사 ȶi⁶를 추가하여 서수사를 만든다.

ȶi⁶ət⁷ ‘첫번째’

ȶi⁶ljak⁸ ‘여섯 번째’

2) 접두사 ɕu¹′

십 이하의 숫자에 ɕu¹′를 추가하여 ‘초~일’의 의미를 나타낸다.

ɕu¹′ət⁷ ‘초일일’

ɕu¹′si⁵′ ‘초오일’

3) 접두사 taŋ¹

동사와 일부 형용사 앞에 접두사 taŋ¹를 추가하여 상호태를 나타낸다.

taŋ¹ ‘서로’ heu¹′ ‘싸우다’ → taŋ¹heu¹′ ‘서로 싸우다’

taŋ¹ ‘서로’ təu⁶ ‘맞다’ → taŋ¹təu⁶ ‘화목하다’

taŋ¹ ‘서로’ ɕoŋ³ ‘비슷하다’ → taŋ¹ɕoŋ³ ‘서로 유사하다’

4) 접두사 i¹

지시대사 앞에 접두사 i¹를 부가하면 지시 부사가 파생된다.

i¹naːi⁶ ‘이렇게’, i¹ȶa⁶ ‘그렇게’, i¹nu¹′ ‘어떻게’

5) 접두사 an¹

an¹는 시간을 나타내는 접두사이고, 지시대명사 혹은 시간 명사와 결합하여 쓰일 경우, 구체적인 시간을 나타낸다.

an¹ ‘시(時)’ + naːi⁶ ‘이’ → an¹naːi⁶ ‘현재’

an¹ ‘시(時)’ + man¹ ‘날’ → ‘낮’

6) 접두사 laːk¹⁰

laːk¹⁰는 ‘중국어 접사 ‘子’와 ‘儿’와 같은 의미를 가진 단어에서 문법화된 것이다.

접두사로 단어에 붙을 경우, 해당 단어가 명사임을 나타낸다.

laːk¹⁰+ mui⁶ ‘누에’ → ‘누에’

7) məi⁴ 명사화소

məi⁴는 ‘건/가래’의 의미를 가진 양사에서 명사화소로 문법화된 것이다.

məi⁴는 동사 혹은 형용사의 앞에 출현하여 그들을 명사로 바꾼다.

məi⁴ + ȶaːn¹ ‘먹다’ → məi⁴ȶaːn¹ ‘생활’

məi⁴ + hu³′ ‘쓰다’ → məi⁴hu³′ ‘괴로움/어려움’

məi⁴ + ljaːŋ¹ ‘사랑하다’ → məi⁴ljaːŋ¹ ‘사랑’

doc/kam/8_lexicology/82_wform/82_wform.1515916840.txt.gz · 마지막으로 수정됨: 2018/01/14 17:00 저자 서취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