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용자 도구

사이트 도구


doc:karachay:2_wordclass:24_adj:24_adj

24_adj : 형용사 (adjective)

형용사 활용

  • 카라차이-발카르어 형용사의 문장성분을 설정하기가 힘들다.
  • 많은 형용사는 여러 문맥에서 부사어와 동일한 형태로 나타나며 그 반대로 부사어도 형용사로 나타난다.
  • 마찬가지로 특정한 문맥에서 형용사는 명사의 기능을 나타내며 거꾸러 명사도 형용사의 기능을 나타낸다.
비교급 (Comparative form)
  • 비교급은 –irek 접사에 의해서 실현된다.
  • kalïn-ïrak ‘thicker’, igi-rek ‘better’, ullu-rak ‘bigger’.
최상급 (Superlative form)
  • 최상급은 형용사 앞에 eŋ, em 부사어가 오며 실현된다.
  • eŋ kalïn ‘thickest’, em kalïn ‘thickest’, eŋ igi ‘best’, eŋ ullu ‘biggest’
중복
  • 형용사의 더 강화된 의미는 같은 형태의 중복하여 말할 때 표현된다.
  • azar azar ‘little by little’, sarï-sarï ‘completely yellow’, kara-kara ‘completely black’.
  • 일부 형용사 강세는 앞 음절과 뒤 음절 사이 m이나 p가 삽입되어 앞 음절이나 모음이 중복하여 실현하기도 한다.
  • appa-ak ‘completely white’, kep-kerti (keppe-kerti) ‘completely true’
  • boppa-boš ‘completely empty’, köm-kök ‘completely blue’
  • ǰap-ǰašïl ‘completely green’, sabba-saw ‘completely healthy’
  • kïp-kïzïl ‘completely red’, tüppe-tüz ‘absolutely true’

형용사 파생

-li ogur ‘luck’ > ogurlu ‘lucky’, ölüm ‘death’ > ölümlü ‘mortal’, üy ‘house’ > üylü ‘married’
-siz ogur ‘luck’ > ogursuz ‘unlucky’, ölüm ‘death’ > ölümsüz ‘immortal’, san ‘number’ > sansïz ‘unnamerable’
-ča ölü ‘dead’ > ölüča ‘dead-looking’, ak ‘white’ > akča ‘whitish’, gummos ‘wart’ > gummosča ‘wart-like’
-gi keče ‘night’ > kečegi ‘yestarday’(adj), bügün ‘today’ > bügüŋŋü ‘today’(adj)
doc/karachay/2_wordclass/24_adj/24_adj.txt · 마지막으로 수정됨: 2021/08/29 11:45 저자 안대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