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c:karachay:4_ss:45_wo:45_wo

45_wo : 어순 (word order, constituent order)

어순

  • 카라차이-발카르어는 SOV (주어, 목적어, 술어) 어순을 따른다.
  • 문장이나 절, 명사구조에서 핵이 언제나 문말(final position)에 실현된다.
  • 수식을 받는 명사는 수식어에 따른다.
  • 전치사 대신 후치사만 사용한다.
  • 문장을 초점이나 문체론적인 목표로 달리 표현하는 경우 기본 어순이 지켜지지 않을 수 있다.
  • 술어는 문말에서만 나타나야 하는 일본어에 비하여 어순이 어느 정도 자유로운 편이다.
  • 주어는 대명사인 경우에 생략이 빈번하게 일어난다. 그렇지만 스페인어나 일본어에 비교하면 자유롭게 생략되는 것은 아니다.

접사 어순

  • 접사의 어순은 대충 다음과 같다.
    • ǰarï- STEM ‘be or become light’
    • ǰarï-t- STEM+CAUSATIVE ‘make light’
    • ǰarï-t-al- STEM+CAUSATIVE+POSSIBLE ‘to be able to make light’
    • ǰarï-t-dïr-al STEM+CAUSATIVE+POSSIBLE+CONCESSIVE ‘to be able to cause someone to make light’
  • 카라차이-발카르어 접사 어순은 상대적으로 규칙적이며 예측이 가능하다.
STEM + DERIVATIONAL + NEGATIVE + MOOD/TENSE + Q +AGR
POSSIBILITY
IMPOSSIBILITY
doc/karachay/4_ss/45_wo/45_wo.txt · 마지막으로 수정됨: 2021/08/29 11:48 저자 안대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