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용으로 건너뛰기
소수 민족 언어 유형 데이터베이스
사용자 도구
로그인
사이트 도구
검색
도구
원본 보기
이전 판
역링크
최근 바뀜
미디어 관리자
사이트맵
로그인
>
최근 바뀜
미디어 관리자
사이트맵
현재 위치:
안내
»
Documents
»
karachay
»
4_ss
»
46_val : valency, voice, diathesis-태 (diathesis-voice)
추적:
•
46_val : valency, voice, diathesis-태 (diathesis-voice)
•
stype_imp : 명령문 (imperative sentence)
•
46_val : valency, voice, diathesis-태 (diathesis-voice)
사이드바
Documents
meta
사용자
Guidelines
문서 작성법
Topics
주석 규칙
주석 약호
음성기호
Tags
Languages
Terms
Features
References
doc:karachay:4_ss:46_val:46_val
46_val : valency, voice, diathesis-태 (diathesis-voice)
카라차이-발카르어에서 다음과 같은 태가 있다. 기본태는 평서법 참조.
기본태
상호태
재귀태
수동태
사동태
상호태
상호태(Mutuality Voice)는 -ïš, -uš, -iš, -üš 접사에 의해서 실현된다.
- 동사의 어근이 모음으로 끝나는 경우 -š가 연결된다.
상호태는 공동으로 하는 행위 그리고 상호 재귀되는 행위를 의미한다.
상호태의 동사는 타동사나 자동사일 수 있다.
Languages
Biz
kitap-dï
oku-š-du-k.
we
book-ACC
read-MUT-PST-3PL
‘우리는 같이 읽었다.’
Languages
Biz
čab-ïš-dï-k.
we
run-MUT-PST-3PL
‘우리는 같이 뛰었다.’
재귀태
재귀태는 -ïn(-in, -un, -ün) 접사에 의해서 실현된다. 동사의 어근이 모음으로 끝나는 경우 –n 하나만 실현된다.
재귀태는 동작이 행동주에게 재귀되는 의미를 나타낸다.
ǰuw-un ‘씻다’, kiy-in ‘입다’.
수동태
수동태는 -ɨl과 이의 변이음 –il, -ul, -ül 형태에 의해서 실현된다.
또한 재귀태와 동일한 -ïn(-in, -un, -ün) 접사도 결합하여 수동태를 실현한다.
동사의 어근이 모음으로 끝나는 경우에 –
l
, -
n
하나만 연결된다.
사동태
사동태는 –dïr(-tïr), -ït, -ïk, -t, -gïz, -ïr, -ïz 접사에 의해서 실현된다.
keltir ‘갖고 오다’, turguz ‘서게 하다’, tüštür ‘내리게 하다’, sarkït ‘흐르게 하다’, kanïk ‘귀찮게 하다’, tamïz ‘(물)새게 하다’.
doc/karachay/4_ss/46_val/46_val.txt
· 마지막으로 수정됨: 2021/08/29 11:48 저자
안대섭
문서 도구
원본 보기
이전 판
역링크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