핀란드어와 가까운 관계에 있는 핀우그리아어파 언어 변종(linguistic variety)이다. 표준 핀란드어와의 중대한 차이점은 표준 핀란드어에 없는 음운이 여럿 있다는 점과 19세기와 20세기 핀란드어의 영향을 받지 않았다는 점이다. 카렐리야어의 표준어는 없고 글로 쓰는 이마다 각자의 방언을 쓴다.
카렐리아 공화국은 핀란드 오른쪽에 있고, 레닌그라드, 아르항겔스크, 무르만스크 주에 둘러쌓여 있다. 인구는 643,548명 으로 집계된다. 대부분 러시아인이고, 순수 카렐리아 인은 7.4% 이며, 핀란드인과 벱스인도 함께 거주하며 살고 있다.
러시아 무르만스크주 북부 백해와 아르한겔스크주의 동쪽, 볼로그다와 상트페테르부르크주의 서부에 있는 자치 공화국, 수도는 페트로자보츠크 이다.
카렐리아 인은 우랄어중 동부 카렐리아어를 사용하고, 핀란드, 에스토니아와 어느정도 연관이 있다. 핀란드어와 가까운 관계에 있는 핀우그리아어파 언어 변종이다. 그러나 19세기와 20세기 핀란드어의 영향을 받지 않았다. 그러나 카렐리아어를 핀란드어의 방언으로 분류하였다. 그러나 보통 동카렐리아에서 사용되는 언어는 독립된 언어로 분류한다.
남부 카렐리아 지역에서 쓰이는 방언은 핀란드어의 동남부 방언의 일부로 분류된다.
카렐리아어의 표준어는 없고 각자의 방언을 쓴다.
카렐리아어의 연구는 핀란드어학자이자 정치가인 Arvid Oskar Gustaf Genetz에 의해서 시작되었다.
1871-72년 언어민속자료를 카렐리아 지역에서 모았으며, «러시아-카렐리아어의 연구»(1880) 등 연구집을 내놓았다.
사회적 상황
카렐리아 공화국 사람들은 카렐리아어와 러시아어 2개의 언어를 대부분 할 줄 안다.
구어적-시적 전통이 풍부한 언어로 카렐리아어는 서사시가 복잡하게 발달해있다.
카렐리아어는 쓰는 것은 비교적 덜 발달 되어있는데, 1938-39년까지 카렐리아 공화국과 트베리 주에는 카렐리아 문학언어와 러시아어 기반의 활자를 받아들였다
1917년 이후 카렐리아 지역에 러시아어와 핀란드어를 배우는 것이 진행되었고, 트베리 주 지역에는 카렐리아어를 배웠다. 1938년-39년에 카렐리아에서 카렐리아어 교육이 시작되었으며, 1940년도 부터는 러시아어와 핀란드어를 평행적으로 교육하기 시작했다.
최근에(1997 자료) 다시 카렐리아 어의 알파벳을 라틴어 기반으로 확정하며, 다시 교과서와 사전의 활자를 재정립 하고 있다.
doc/karel/0_general/01_basic/01_basic.txt · 마지막으로 수정됨: 2021/08/24 23:14 저자 김희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