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부 | 상호 | 남부 |
оулангский | юшкозерский | ругозерский |
кестеньгский | панозерский | тунгдский |
тихтозерский | подужемский | ребольский |
вычетайбольский | паданский | |
вокнаволоский | поросозерский | |
ухтинский | мяндусельгский | |
контокский | тихвинский | |
толмачевский | ||
весьегонский | ||
валдафйский | ||
держанский |
сямозерский диалект |
тулмозерский |
ведлозерский |
видлицкий |
коткозерский |
рыпушкальский |
неккульский |
кондушский |
(북부, 중부,남부, 미하일로 나뉨)
северно-людиковский диалект |
средне-людиковский |
южно-людиковский |
михайловский |
-카렐리아 고유 방언은 корела 부족에서 나왔으며 , 루디어에서 벱스어의 기질이 명백하게 나타난다.
- 카렐리아어의 방언은 일반적으로 세 가지의 분류를 카렐리아어의 시초 연구자인 А. Генетца는 다음과 같이 분류한다.
고유카렐리아어 |
리비어(방언) |
루디어(방언) |
- Leskinen E. Karjalan kielen näetteitä 1932, 1934, 1936
1) 카렐리아어는 핀란드어의 방언이 아니라 발틱핀어의 자체 언어이다.
2) 카렐리아어는 3가지 방언을 갖는다.
2-1) 고유의 카렐리아어(카렐리아 중부와 북부에서 사용)
2-2) 루디 방언 동쪽 해안 및 ладожское 호수 및 Олонецкое 지협 사용)
2-3) 리비어(방언)
1) 리비방언은 고대 카렐리아어와 일찍이 분리되었다. (Саво 방언보다 먼저)
2) 리비방언은 후에 벱스어에 강하게 영향을 준 고대카렐리아어의 하나처럼 보인다.
3) Олонецкий 지협은 처음에는 벱스인들이 살고 있었고, 후에 카렐리아 인들이 사는 곳으로 확대 되었다.
특징1) 고유카렐리아어의 명사와 형용사, 부사에서 모음으로 끝나는 경우 격변화의 어미는 а, ä가 된다.
акка 여자 |
pahka 솔방울 |
äijä 많게 |
isäntä 주인 |
kieltä 언어의(языка) |
miehenä (мужчной) |
리비어방언에서는 다음과 같이 상응한다.
akku |
pahku |
äijy |
izändy |
kieldy |
miehenny |
루디어 방언에서는 е 가 붙거나 모음이 탈락된다.
akk(e) |
pahk(e) |
äij(e) |
izänd(e) |
kield |
miehenn |
- 이음절단어의 주격에서는 예외이다.
kala 생선 |
pezä 보금자리 |
고유카렐리아 어는 자음을 무성과 유성으로 나뉜다. 북부 카렐리아 인들은 k, p,t,s,š 를 무성음으로 분류한다. 남부 카렐리아인들은 k, p,t,s,š 의 대응 유성음으로 g, b,d, z, ž 로 둔다.
북부 방언 | 남부방언 | |
강(river) | joki | jogi |
항아리 | pata | pada |
암염소 | kosa | koza |
세 방언은 모음 기호(огласовка) 를 갖는다. 첫번째 음절에서 단모음으로 오지 않을 경우 단어 끝에 a(ä)가 온다. 리비어 에는 이런경우 u(ü) 가 온다. 루디어에서는 e 또는 ø까지 약화 되어 발음되기도 한다.
카렐리아 | 리비 | 루디 |
leppä(오리나무) | leppü | leppe |
akka(여자,아내) | akku | akk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