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용자 도구

사이트 도구


doc:karel:0_general:02_dialect:02_dialect

**문서의 이전 판입니다!**

02_dialect : 방언 (dialect) : 100% :

  • 카렐리아 어는 고유방언(собственно-карельское наречие), 리비어(ливвиковское наречие), 루디어(людиковское наречие) 로 나뉜다.
  • 고유방언(собственно-карельское наречие)은 다시 세 방언으로 나뉜다.
  • 다음의 표는 고유방언에서 나뉜 세 방언과 하위 방언이다. (대부분 지명이름과 관련되어 있으므로, 참고저서에 나온대로 러시아어(키릴문자 그대로 나타내었다.)
    북부상호남부
    оулангскийюшкозерскийругозерский
    кестеньгскийпанозерскийтунгдский
    тихтозерскийподужемскийребольский
    вычетайбольский паданский
    вокнаволоский поросозерский
    ухтинский мяндусельгский
    контокский тихвинский
    толмачевский
    весьегонский
    валдафйский
    держанский
  • 리비어는 세부적으로 다음과 같이 나뉜다.
    сямозерский диалект
    тулмозерский
    ведлозерский
    видлицкий
    коткозерский
    рыпушкальский
    неккульский
    кондушский
  • 루디어는 세부적으로 다음과 같이 나뉜다.

(북부, 중부,남부, 미하일로 나뉨)

северно-людиковский диалект
средне-людиковский
южно-людиковский
михайловский
  • 카렐리아어의 방언은 크게 세 가지의 방언의 특징을 본다.

    - 카렐리아어의 방언은 일반적으로 세 가지의 분류를 카렐리아어의 시초 연구자인 А. Генетца는 다음과 같이 분류한다.

고유카렐리아어
리비어(방언)
루디어(방언)
  • 좀 더 넓은 결과물로 다음의 학자들의 규칙을 따른다.

    - Leskinen E. Karjalan kielen näetteitä 1932, 1934, 1936

    • Virtaranta P. Lyydiläisiä tekstejä 1963, 1964 1976, 1984
    • Vienan Kansa muistelee1958
    • Kultarengas korvaan. 1971
    • Vienan kuliä kiertämässä 1978
    • Kauas läksit karjalainen 1986
    • Karjalan kieltä ja kansankulttuuria 1990
    • Макаров Г.Н. 1963, 1969, 1980
    • Баранцев А.П. 1975
  • Д.В. Бубурих 는 다음과 같은 결론을 내렸다.

1) 카렐리아어는 핀란드어의 방언이 아니라 발틱핀어의 자체 언어이다.

2) 카렐리아어는 3가지 방언을 갖는다.

2-1) 고유의 카렐리아어(카렐리아 중부와 북부에서 사용)

2-2) 루디 방언 동쪽 해안 및 ладожское 호수 및 Олонецкое 지협 사용)

2-3) 리비어(방언)

  • 리비어(방언) 와 루디어(방언)은 벱스어와의 연관성에서부터 나왔으며 루디 방언과 더욱 연관성이 깊다. 원래 이 두 방언은 벱스어의 방언이었으나 언어학적 자료를 통해 카렐리아어의 방언으로 분류 되었다. 따라서 이 두 방언은 새로운 종족의 연구로 볼 수 있다.
  • Терхо Итконен 은 ливвиковские 방언은 카렐리아어의 방언이 아니라 벱스어의 특별성을 가지고 있으며, людиковский 방언과 접합성을 가져 보이나 ливвиковские 방언은 고유카렐리아어 방언 또는 벱스어나 людиковские 방언 에서 나타나는 음성학적 특징과 형태적 특징을 가지고 있지 않다고 생각했다. (ltkonen T. Aunuksen)
  • Л. Кеттунен 은 ливвиковские 에서 벱스인의 영향, 벱스인의 전통, 벱스인의 표현방식을 언어에서 볼수 있다고 생각하며, 한편으로는 벱스어와 관련있고, 한편으로는 고유카렐리아방언과 연관성이 있다고 보았다.
  • Хейкки Лекинен 은 리비방언에 대해 3가지 해결방법을 제시했다.

1) 리비방언은 고대 카렐리아어와 일찍이 분리되었다. (Саво 방언보다 먼저)

2)리비방언은 후에 벱스어에 강하게 영향을 준 고대카렐리아어의 하나처럼 보인다.

3) Олонецкий 지협은 처음에는 벱스인들이 살고 있었고, 후에 카렐리아 인들이 사는 곳으로 확대 되었다.

  • Virtaranta P. 의 논문 Dialekte des karelischen 에서는 가장 특징적으로 방언에 대해 설명하였다.

특징1) 고유카렐리아어의 명사와 형용사, 부사에서 모음으로 끝나는 경우 격변화의 어미는 а, ä가 된다.

  • 예시-
акка 여자
pahka 솔방울
äijä 많게
isäntä 주인
kieltä 언어의(языка)
miehenä (мужчной)

리비어방언에서는 다음과 같이 상응한다.

akku
pahku
äijy
izändy
kieldy
miehenny

루디어 방언에서는 е 가 붙거나 모음이 탈락된다.

akk(e)
pahk(e)
äij(e)
izänd(e)
kield
miehenn

- 이음절단어의 주격에서는 예외이다.

kala 생선
pezä 보금자리
doc/karel/0_general/02_dialect/02_dialect.1497545286.txt.gz · 마지막으로 수정됨: 2017/06/16 01:48 저자 김희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