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초어의 동사의 두 가지 큰 특징은 다음과 같다.
(1) 동사의 중첩으로 의문을 나타낼 수 있음
동사가 단음절일 때는 동사 자체를 중첩한다. 동사가 이음절일 때는 뒤 음절을 중첩한다. 예를 들어 동사가 相조사(时态助词)를 대동할 때는 相조사(时态助词)를 중첩한다.
다음은 단음절 동사를 중첩하여 의문을 나타낸 예이다.
다음은 이음절 동사의 뒤 음절을 중첩하여 의문을 나타낸 예이다.
(2) 동사에 인칭, 수를 나타내는 문법 범주가 없고 태를 나타내는 범주는 있다. 즉, 자동태와 사동태의 구분이 있다. 사동태를 나타내는 데는 굴절 형식과 분석 형식 두 가지가 있다.
1) 굴절형식 주로 성조의 교체로 나타난다. 그리고 어떤 단어의 경우는 성모의 유기, 무기 교체로 나타난다. 즉, 예를 들면 다음과 같다.
to24 '마시다' → to33 '마시게 하다'
| NA33 | zA31ni24 | zA31ju24 | ji31ts\A53 | to33 |
| 1SG | child | CL | water | drink.CAUS |
kho53 '구부리다' → ko55 '구부리게 하다'
2) 분석형식 동사 뒤에 조사 ku24를 부가하여 사동을 나타낸다.
| nie24 | ju24 | zM53 | kM34 | ji24 | uA33 |
| yonger.brother | CL | sleep | CAUS | go | PTCL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