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초어에서 의문문은 일반적으로 상승의 어조로 나타내고 의문 어기조사나 의문 대사 등을 사용하여 나타낸다.
카초어에서 자주 볼 수 있는 의문 어기조사로는 wA33sA55, wA33이 있다.
카초어의 의문 대사로는 XA33z\o24'누구, 어느 것', XA33J_+A55'어디', XA33mA55'무엇', XA33ni33'얼마나', XA33ni33ko55'몇' 등을 들 수 있다.
의문 대사가 있는 의문문은 의문 어기조사를 생략한다.
그리고 서술어를 중첩해서 의문문을 구성하기도 한다.
그리고 N31si55mE31, mE33sɿ 로 선택의문문을 구성하기도 한다.
다음은 의문 어기조사 wɑ33sɑ55 를 사용하여 판정의문문을 만든 예이다.
다음 역시 의문 어기조사 wɑ33sɑ55 를 사용하여 판정의문문을 만든 예이다.
| ʑi33 | sɛ33 | pv323 | xɤ33kɤ24 | tsho55 | mɑ323 | wɑ33sɑ55 |
| 3SG | family | POSS | house | build | finish | Q |
다음은 의문 어기조사 wɑ31 을 사용하여 판정의문문을 만든 예이다.
다음은 의문 대사 xɑ33ma55 '무엇'을 사용하여 설명의문문을 만든 예이다.
다음은 의문 대사 xɑ33ʑo24 '누구'를 사용하여 설명의문문을 만든 경우인데 의문 대사를 중첩하면 수가 많음을 나타내게 된다.
동사가 단음절일 때는 동사 자체를 중첩한다. 동사가 이음절일 때는 뒤 음절을 중첩한다. 동사가 相조사(时态助词)를 대동할 때는 相조사(时态助词)를 중첩한다.
이 서술어를 중첩하여 의문문을 만드는 방법의 경우, 판정의문문으로 보아야할지, 정반의문문으로 보아야할지 애매한 것 같다. 다음 예문들의 중국어 번역에서도 판정의문문으로 해석하기도 하고 정반의문문으로 해석하기도 하였다.
다음은 단음절 동사를 중첩하여 의문을 나타낸 예이다.
다음은 이음절 동사의 뒤 음절을 중첩하여 의문을 나타낸 예이다. (다음 예문에서 sA33은 중국어 '着'(-한 상태로 되었다)에 해당하는데, «中国的语言» 책에서는 이를 相조사(时态助词)로 파악하고 “동사가 相조사(时态助词)를 대동할 때는 相조사(时态助词)를 중첩한다”고 언급)
mɛ33sɿ55 '아니면' 이나 ŋ33si55mɛ31 '아니면' 을 사용하여 선택의문문을 만들 수 있다.
다음은 mɛ33sɿ55 을 사용하여 선택의문문을 만든 예이다.
| thO33 | tɛ33 | tsɑ33 | nɑ323 | mɛ33sɿ55 | mɑ31 | nɑ323 |
| cloth | this | CL | good | or | NEG | good |
다음은 ŋ33si55mɛ31 을 사용하여 선택의문문을 만든 예이다.
| thO33 | tɛ33 | tsɑ33 | nɑ323 | ŋ33si55mɛ31 | mɑ31 | nɑ323 |
| cloth | this | CL | good | or | NEG | good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