케트어 명사에는 클래스, 수, 격, 소유 범주가 있다
복수 표지 중에서 -n은 통상 유정명사와, -N은 통상 무정명사와 쓰이는데, 음성적 요인에 따라 달리 쓰이기도 한다. 케트어에서 복수명사를 형성할 수 있는 방식은 아래와 같다.
| 격 | 남성명사 | 여성, 중성명사 |
|---|---|---|
| 주격 | ∅ | ∅ |
| 속격 | -da | -di |
| 여격 | -daNa | -diNa |
| 탈격 | -daNal’ | -diNal’ |
| 수혜격 | -data | -dita |
| 지점격 | -daNta | -diNta |
| 처격 | -ga/-ka | -ga/-ka |
| 도구격 | -as’ | -as’ |
| 연격 | -bes’ | -bes’ |
| 결여격 | -an’ | -an’ |
| 호격 | -O | -ʌ |
| 격 | 유정명사(남성,여성) | 무정명사(중성) |
|---|---|---|
| 주격 | ∅ | ∅ |
| 속격 | -na | -di |
| 여격 | -naNa | -diNa |
| 탈격 | -naNal’ | -diNal’ |
| 수혜격 | -nata | -dita |
| 지점격 | -naNta | -diNta |
| 처격 | -ga/-ka | -ga/-ka |
| 도구격 | -as’ | -as’ |
| 연격 | -bes’ | -bes’ |
| 결여격 | -an’ | -an’ |
| 호격 | -ʌ | - |
| @t | os1\k-an-bes | di-asqansa-n |
| 1PL | Ostyak-PL-PROS | SBJ.AGR.1-speak-PL |
호격은 유정명사와만 쓰여서 상대를 부르는 의미를 지닌다
케트어는 명사에 직접 접두사를 붙여서 소유관계를 나타낼 수 있다. 52_소유의 관형 소유 구성 문서를 참조하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