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c:ket:2_wordclass:22_noun:22_noun

22_noun : 명사 (noun)

케트어 명사에는 클래스, 수, 격, 소유 범주가 있다

내재범주(클래스)
  • 케트어는 명사의 클래스를 3가지(남성, 여성, 사물)로 구분하는데, 남성, 여성, 사물의 자연적인 구분이 가능한 경우 외에 클래스의 구분 기준은 명확하지 않다.
  • 명사의 주격에서는 클래스가 명시적으로 드러나지 않지만 그 외의 격표지 및 동사의 주어-목적어 표지, 서술어의 다양한 접사 등에 나타난다. 주어 명사가 명시적으로 드러나지 않은 문장에서도 동사의 일치 형태소를 통해 주어의 클래스를 파악할 수 있다.
  • 복수명사의 클래스는 유정명사(남성, 여성)과 무정명사(중성)으로만 구분된다.
kett1243 Verner1997:181
qa:-du
home.ADV-PRED.M.3SG.G1
그는 집에 있다
kett1243 Verner1997:181
qa:-da
home.ADV-PRED.M.3SG.G2
그녀는 집에 있다
kett1243 Verner1997:181
qa:-Gam
home.ADV-PRED.M.3SG.G3
그것은 집에 있다
kett1243 Verner1997:181
  • qa: : ‘집에(부사)’

복수 표지 중에서 -n은 통상 유정명사와, -N은 통상 무정명사와 쓰이는데, 음성적 요인에 따라 달리 쓰이기도 한다. 케트어에서 복수명사를 형성할 수 있는 방식은 아래와 같다.

  • 접미사 -N
  • 어근의 모음교체 + -N
  • -n
  • 어근의 모음교체 + -n
  • -n + -N 또는 -N + -n 으로 중복(pleonasm)
  • -N + -n + -N
  • 어근의 마지막 j, m, l, s, G, q, R, p, t 가 -N 또는 -n으로 교체
  • (모음교체를 동반한) 성조의 변화
  • 어말의 음소탈락
  • 불규칙
  • 어근 확장을 동반한 성조 변화
kett1243 Verner1997:181
  • u?n : 칼집 & unəN :칼집들
  • u3 : 목초지 & O?N : 목초지들
  • te:m : 거위 & temin ~ temn : 거위들
  • te:t :남자 & tatn : 남자들
  • du? :연기 & duneN : 연기들
  • battat : 얼굴 & battatəN ~ battatəNən :얼굴들
  • qa?j : 산 & qaNn’eN : 산들
  • qu?s’ : 천막 & qu?N : 천막들
  • qy?t : 활 & qʌ?N : 활들
  • ti:p1 :개 & ta?p2 : 개들
  • úllap : 얼음구멍 & ull : 얼음구멍들
  • kE?t1 : 사람 & dE?N2 : 사람들
  • dy:l1 : 아이 & kʌ?t2 : 아이들
  • s’e:s’1 : 강 & s’a:si4 강들
명사의 격
  • 본 문서의 주요 참고서인 Verner1997은 케트어에서 총 11개의 격을 구분하고 있다. 이 중에서 предназначительный падеж(intentional case)와 местно-личный падеж(locative-personal case)는 각각의 용법과 접미사의 형태를 참고하여 일반언어학계에서 사용하고 있는 수혜격, 지점격으로 지칭하였다
  • Verner가 제시한 11개의 격 외에 그 용법이 주변적이기는 하지만 변성격(translative case)을 포함하여 12개의 격을 주장하는 학자들도 있다(Vajda 2004:21, Georg 2007:115).
단수 격변화 형태(명사, 대명사)
남성명사 여성, 중성명사
주격
속격 -da -di
여격 -daNa -diNa
탈격 -daNal’ -diNal’
수혜격 -data -dita
지점격 -daNta -diNta
처격 -ga/-ka -ga/-ka
도구격 -as’ -as’
연격 -bes’ -bes’
결여격 -an’ -an’
호격 -O -ʌ
복수 격변화 형태(명사, 대명사)
유정명사(남성,여성) 무정명사(중성)
주격
속격 -na -di
여격 -naNa -diNa
탈격 -naNal’ -diNal’
수혜격 -nata -dita
지점격 -naNta -diNta
처격 -ga/-ka -ga/-ka
도구격 -as’ -as’
연격 -bes’ -bes’
결여격 -an’ -an’
호격 -ʌ -
주격
  • 케트어에서는 문장의 주어와 타동사의 목적어가 모두 주격(절대격)으로 표지된다. 그러나 행위주와 피의체 명사가 함께 쓰일 때는 항상 행위주가 앞에 나오기 때문에 어순으로 두 의미를 구분할 수 있다
kett1243 Georg2007:106
d1\ldu-k1\l-d-o-il-tedtib
boyG3-beat-DET-TV-PST-beatdog(G3)
소년은 그 개를 때렸다
  • 시간을 나타내는 명사를 주격으로 써서 부사어의 기능을 할 수 있다. 시간표현은 처격으로도 가능하다.
kett1243 Georg2007:106
kines1\1\bok-a-tnškola-diNa
thisyearSBJ.AGR.3SG-TV-goschool-ALL
그는 올해 학교에 간다
속격
  • 속격은 물리적, 추상적 소유관계 및 전체-부분 관계를 표현한다
kett1243 Georg2007:107
am-did1\l
mother(G2)-GEN.G2child
엄마의 아이
  • 단수 속격은 명사의 성에 따라 형태가 다르기 때문에 남성 또는 여성을 지칭할 수 있는 명사의 경우 속격 변화형을 보고 지시체의 성을 구분할 수 있다
kett1243 Georg2007:107
abbiseb-dado?n
1SG.GENsibling-GEN.G1knife
내 형제의 칼
kett1243 Georg2007:107
abbiseb-dido?n
1SG.GENsibling-GEN.G2knife
내 자매의 칼
여격
  • 물건이나 메시지의 수신인, 동작의 방향
  • 시간을 나타내는 명사 뒤에 ba?N ‘place’ + 여격접미사를 쓰면 어떤 사건이 일어나는 시간적 경계(until~)의 뜻을 나타낼 수 있다
kett1243 Georg2007:108
qonoksbaN-diNadu-o-il-dam-in
morningplace(G3)-DAT.G33-TV-PST-bark-PL
그들은 아침까지 짖었다
수혜격
  • 통상 사람이나 동물로서 행위의 수혜자를 지칭할 때 사용한다. 무정명사가 수혜격으로 쓰이면 물건의 용도를 나타낼 수 있다
kett1243 Georg2007:109
kidee?lul-dita
thispitcherwater(G3)-BEN.G3
이 병은 물병이다(물을 위한 것이다)
  • 수혜격으로 이야기나 노래 등의 주제, 생각의 대상 등을 표현할 수도 있다
kett1243 Georg2007:110
@tdi-bil-in@t-naeNqoN-dita
1PLSBJ.AGR.1-sing-PL1PL-GEN.PLvillage(G3)-BEN.G3
우리는 우리 마을에 대해 노래한다
탈격
  • 공간이나 시간적 출발점을 지시한다
지점격
  • 사건이 일어나는 장소 또는 물건의 위치를 나타내는 격이다. 유정, 무정명사 모두와 사용이 가능하지만 무정명사는 처격을 더 많이 쓴다. 시간 표현으로는 지점격을 잘 쓰지 않는다.
  • 러시아어에서 차용된 용법으로 소유주를 지점격으로 나타낼 수 있다
kett1243 Georg2007:112
biseb-daNtaselon-aN
brother(G1)-ADE.G1reindeer.PLmany-PL
형은 사슴이 많다
연격
  • through which, along which의 의미를 표현한다
  • 연격의 추상적 용법으로 민족명의 복수명사를 연격으로 써서 그 민족의 언어를 구사한다는 뜻을 나타낸다
kett1243 Georg2007:113
@tos1\k-an-besdi-asqansa-n
1PLOstyak-PL-PROSSBJ.AGR.1-speak-PL
우리는 케트어(Ostyak)를 한다
  • 정형동사에 연격 접미사를 써서 일종의 동시성을 나타내는 부동사의 의미를 전달할 수 있다
kett1243 Georg2007:114
buda-lobed-o-il-bedda-sesta-bes
3SGSBJ.AGR.3.G2-work-TV-PST-makeSBJ.AGR.3.G2-sit-PROS
그녀는 앉아서 일했다
결여격
  • ‘~없이’의 의미
변성격
  • 명사에 변성격 접미사인 -esaN가 붙으면 행위의 목적, 목표를 나타낼 수 있지만 자주 쓰이지 않아서, 케트어에서 격으로서의 변성격은 주변적 위상을 가진다고 할 수 있으며, 기본격 목록에 변성격을 포함하지 않는 학자들도 있다
  • 사람의 역할을 의미하기도 한다
  • wish, want류 동사의 부정사에 변성격 접미사를 쓰면 목적의 의미를 지닌 종속절을 만들 수 있다
kett1243 Georg2007:116
da-sijaqnan-esaN
3SG.G2-askbread-TRANSL
그녀는 빵을 요청했다
kett1243 Georg2007:116
doctor-esaNda-lobed-a-bed
doctor-TRANSL3SG.G2-work-TV-make
그녀는 의사로 일한다
kett1243 Georg2007:116
buda-t-o-il-a-bakileN-esaN
3SG3SG.G2-DET-TV-PST-3-wanteat-TRANSL
그녀는 먹기를 원했다
호격

호격은 유정명사와만 쓰여서 상대를 부르는 의미를 지닌다

소유

케트어는 명사에 직접 접두사를 붙여서 소유관계를 나타낼 수 있다. 52_소유의 관형 소유 구성 문서를 참조하라.

doc/ket/2_wordclass/22_noun/22_noun.txt · 마지막으로 수정됨: 2021/02/01 15:33 저자 동영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