케트어의 타동성은 동사에 목적어를 나타내는 접사의 유무로 표현된다.
케트어 동사는 매우 복잡한 패러다임을 지녀서 학자들마다 접근방식이나 기술방식에 차이가 크다. 본 문서에서는 크게 Verner, Krejnovich 등 러시아 학자들의 분석방식과 Vajda, Georg의 분석방식을 나누어 소개한다.
| ba-Gi-s-sal |
| 1SG.SBJ.AGR-UNK-CONN-pass.the.night.NPST |
| bO-Gavitn |
| 1SG.SBJ.AGR-run.out.NPST |
| 수 | 인칭 | B 표지 | D 표지 | ||||||
|---|---|---|---|---|---|---|---|---|---|
| 주어, 목적어 | 주관적 버전 | 주어 | 목적어 | 주관적 버전 | 술어 접미사 | ||||
| 구심버전 | 원심버전 | 3열 | 1열 | 2열 | |||||
| 단수 | 1인칭 | ba | bO | ba, bO | d/t | dt | dt, d/t | di, d/t | di |
| 2인칭 | ku | ku | ku | k | ku | ku/Gu, k | ku/Gu, k | ku/Gu | |
| 3인칭 남성 | a | O | bu | d/t | du | - | a | du | |
| 3인칭 여성 | t | u | bu | da | dV | - | a | da | |
| 3인칭 무정 | t, ∅ | u, ∅ | ∅, (bu) | b, da, ∅ | bimb/b | b/p/m | a | am | |
| 복수 | 1인칭 | daN/dVN | daN/dVN | daN/dVN | d/t | dt | daN | daN | daN |
| 2인칭 | kaN/kVN | kaN/kVN | kaN/kVN | k | ku | kaN/GaN | kaN/GaN | kaN/GaN | |
| 3인칭 유정 | aN | ON | bu | d/t | du | - | aN | aN | |
| 3인칭 무정 | i, ∅ | u, ∅ | ∅, (bu) | b, da, ∅ | bimb/b | b/p/m | a | am | |
| 형태소의 자리 | 형태소 기능 |
|---|---|
| P8 | 주어의 인칭 |
| P7 | lexical incorporation |
| P6 | 주어/목적어의 인칭/수/클래스 (+ 한정사) |
| P5 | 한정사 |
| P4 | 주어/목적어의 인칭/수/클래스 또는 과거시제 변화에 따른 어간모음 |
| P3 | 목적어 인칭 |
| P2 | 과거시제 |
| P1 | 주어/목적어의 인칭 |
| P8 | P7 | P6 | P4 | P2 | root |
|---|---|---|---|---|---|
| da | tukun | ba-t | o | il | kit |
| 3.G2 | comb | 1SG-DET | TV | PST | stroke |
| P8 | P6 | P4 | P3 | P2 | root |
|---|---|---|---|---|---|
| di | ba-t | o | b | il | ij |
| 1 | 1SG-DET | TV | 3.G3 | PST | pull.out |
| 목적어의 인칭/수/클래스 | 형태소 위치 | 형태소 |
|---|---|---|
| 1SG | P1 | di |
| 2SG | P1 | ku |
| 3SG.G1 | P4 | a, o |
| 3SG.G2 | P4 | i |
| 3SG.G3 | P3 | b |
| 1PL | P1 | daN |
| 2PL | P1 | kaN |
| 3PL | P4 | aN, 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