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용자 도구

사이트 도구


doc:ket:2_wordclass:23_verb:23_verb

23_verb : 동사 (verb)

타동성

케트어의 타동성은 동사에 목적어를 나타내는 접사의 유무로 표현된다.

kett1243 Verner1997:182
da-tajga
3SG.G2.SBJ.AGR-walk.NPST
그녀는 걷는다
kett1243 Verner1997:182
da-bO-k-tajga.NPST
3SG.G2.SBJ.AGR-1SG.OBJ.AGR-UNK-walk
그녀는 나를 데려다준다

동사변화 패러다임

케트어 동사는 매우 복잡한 패러다임을 지녀서 학자들마다 접근방식이나 기술방식에 차이가 크다. 본 문서에서는 크게 Verner, Krejnovich 등 러시아 학자들의 분석방식과 Vajda, Georg의 분석방식을 나누어 소개한다.

Verner, Krejnovich 등 러시아 학자들의 분석방식

동사의 변화형
  • 동사의 변화형은 인칭, 수, 클래스, 버전을 표현하며 B표지 접사와 D표지 접사가 쓰인다.
  • 예니세이어족 동사의 B표지와 D표지는 역사적으로 두 개의 동사형태 시리즈와 관련되어 있다. (두 명칭은 표지의 음성적 특성을 따른 것으로 보인다) B표지는 속격 및 소유 술어와, D표지는 계사구문 형태의 술어와 형태적으로 유사한 것으로 보아 역사적으로 B표지는 행위, D표지는 상태 서술에서 유래했을 것으로 볼 수 있으나 현대 예니세이어에서는 D표지가 행위에도 쓰여서 두 표지 사이에 이러한 의미적 구분은 없다(Verner 1997:175)
버전
  • '버전'의 차이(версионные различия)는 크게 orientation version (구심버전, 원심버전)과 subject version(주관적 버전)으로 나뉜다. (Verner1997:183)
  • 구심형(центростремительные формы): 행위자 또는 행위자가 존재하는 공간을 향하는 사건
kett1243 Verner1997:183
ba-Gi-s-sal
1SG.SBJ.AGR-UNK-CONN-pass.the.night.NPST
나는 밤을 보낼 것이다(ba-: B표지 구심(centripetal version)형)
  • 원심형(центробежные формы): 행위자의 공간으로부터 벗어나거나 다른 상태로 변화하는 사건
kett1243 Verner1997:183
bO-Gavitn
1SG.SBJ.AGR-run.out.NPST
나는 달려나갈 것이다([bO-]: B표지 원심(centrifugal version)형)
  • B, D 접미사가 쓰인 동사를 재귀형태로 보는 견해도 있으나, 이 형태는 타동사와 자동사 모두와 쓰일 수 있으며, 재귀보다 광범위한 의미의 '주관적 버전'을 나타낸다. 주관적 버전이란, 행위가 행위주와 밀접한 관련이 있어서 행위주를 위하여 이루어지는 행위를 말하기 때문에 의미적으로 재귀와 중첩되는 경우가 많다.
동사의 인칭 표지 (Verner 1997:183)
인칭 B 표지 D 표지
주어, 목적어 주관적 버전 주어 목적어 주관적 버전 술어 접미사
구심버전 원심버전 3열 1열 2열
단수 1인칭 ba bO ba, bO d/t dt dt, d/t di, d/t di
2인칭 ku ku ku k ku ku/Gu, k ku/Gu, k ku/Gu
3인칭 남성 a O bu d/t du - a du
3인칭 여성 t u bu da dV - a da
3인칭 무정 t, ∅ u, ∅ ∅, (bu) b, da, ∅ bimb/b b/p/m a am
복수 1인칭 daN/dVN daN/dVN daN/dVN d/t dt daN daN daN
2인칭 kaN/kVN kaN/kVN kaN/kVN k ku kaN/GaN kaN/GaN kaN/GaN
3인칭 유정 aN ON bu d/t du - aN aN
3인칭 무정 i, ∅ u, ∅ ∅, (bu) b, da, ∅ bimb/b b/p/m a am
  • '술어 접미사'는 서술어로 쓰이는 단어에만 사용
  • 위의 인칭 접미사는 다양한 기능으로 쓰일 수 있는데 단어 내의 형태소 순서가 바뀔수도, 바뀌지 않을 수도 있다. (비고. 아래 소개하는 Vajda나 Georg은 단어 내 형태소의 순서를 중심으로 좀 더 복잡한 분석형태를 제시한다. Verner(1997:183)에는 위 표의 1열과 2열에 대해서는 자세한 설명이 없으나 하나의 동사 내에 주어 일치표지가 2번 나타날 수 있음을 의미하는 것으로 보인다)
  • G3(무정명사 클래스)의 접사 -b-/-p-는 주어, 목적어, 도구의 역할로 쓰일 수 있는데 형태소 순서는 바뀌지 않는다.
kett1243 Verner1997:184
a-b-atij
UNK-3SG.G3.SBJ-grow.NPST
이것은 자란다
kett1243 Verner1997:184
di-p-tet
1SG.SBJ.AGR-3SG.G3.OBJ.AGR-beat.NPST
나는 이것을 친다
kett1243 Verner1997:184
da-tO:N-ba-ta-p-tet
3SG.G2.SBJ-UNK-UNK-UNK-3SG.G3-beat.NPST
그녀는 나를 (손으로) 친다
  • B접사는 주어, 목적어로쓰일 때 순서가 같다
kett1243 Verner1997:184
ba-ga:bde
1SG.SBJ.AGR-hear.NPST
나는 이것을 듣는다
kett1243 Verner1997:184
d-ba-toN
3SG.G1-1SG.OBJ.AGR-see
그는 나를 본다
  • D접사는 주어나 목적어 기능을 할 때 형태소 순서가 다르다
kett1243 Verner1997:184
di-p-tet
1SG.SBJ.AGR-3SG.G3.OBJ.AGR-beat
나는 이것을 친다
kett1243 Verner1997:184
k-in-di-tet
2SG.SBJ.AGR-PST-1SG.OBJ.AGR-beat
너는 나를 때렸다
현재분사
  • 접미사 -s, -si (복수는 -sin)
kett1243 Verner1997:185
d3k-si
live-PTCP.ACTV.PRS
살고 있는

Vajda(2004)와 Georg(2007)의 케트어 동사 형태소 분석 방식

동사 활용형 내의 형태소 자리
  • 케트어 동사의 어근은 동사를 이루는 형태소 중에서 가장 마지막 위치를 차지한다(때로 주어의 복수 표지가 어근 다음에 뒤따를 수 있다). 동사 어근이 복합적으로 이루어진 경우에는 어근의 일부 요소가 보다 앞쪽(P7)에 통합(incorporate) 되어 나타날 수 있다.
  • 하나의 동사 안에서 주어의 인칭이 두 번 지시될 수 있다
  • 시제표지(P2)는 과거시제에서만 명시적으로 나타난다
  • 여러 연구서에서 동사 활용형 내의 형태소 자리를 15개까지 구분하기도 했다. 본 문서에서 소개하는 Vajda(2004)와 Georg(2007)은 형태소 자리를 아래와 같이 8개 (마지막 어근 및 선택적인 주어의 복수표지까지 더하면 10개)로 구분하였다
  • 가장 왼쪽의 P8부터 어근에 가장 가까운 P1까지 형태소를 쓴 다음에 동사의 어근(+ 주어의 복수표지)이 마지막으로 쓰인다
형태소의 자리 형태소 기능
P8 주어의 인칭
P7 lexical incorporation
P6 주어/목적어의 인칭/수/클래스 (+ 한정사)
P5 한정사
P4 주어/목적어의 인칭/수/클래스 또는 과거시제 변화에 따른 어간모음
P3 목적어 인칭
P2 과거시제
P1 주어/목적어의 인칭
  • 위의 모든 자리가 항상 형태적으로 실현되는 것은 아니다. 어근과 주어의 인칭(P8)만 채워진 형태로도 동사를 쓸 수 있다. 많은 경우 한정사(P5)와 incorporation(P7) 자리도 실현된다
  • Vajda(2004)나 Georg(2007)의 연구에서는 동사의 형태소를 분석할 때 위의 포지션 번호를 위첨자로 추가하여 표기하고 있다
  • 현재 입력방식에서는 1~5까지만 위첨자 표시가 가능하여 아래와 같이 표로 동사의 형태소 위치분석의 예를 살펴보겠다. 동사 형태소의 위치를 분절하여 표시하였지만 아래 표는 한 동사의 활용형만으로 주어와 목적어를 모두 나타낸 한 단어이다
P8 P7 P6 P4 P2 root
da tukun ba-t o il kit
3.G2 comb 1SG-DET TV PST stroke
  • 위 동사의 뜻: 그녀는 내 머리를 빗었다
  • P6 위치에 주어 인칭과 한정사가 함께 쓰였다
  • 어근 형태소 위치의 -kit ‘to stroke’는 P7에 통합된 tukun ‘comb’와 복합적으로 “머리빗다”의 어휘의미를 지닌다
P8 P6 P4 P3 P2 root
di ba-t o b il ij
1 1SG-DET TV 3.G3 PST pull.out
  • 위 동사의 뜻 : 나는 그것을 끌어냈다
  • 주어의 인칭이 P8과 P6에 2번 표지되어 있다
  • 형태소 자리를 표기하지 않는 대신 SBJ.AGR, OBJ.AGR와 같이 해당 형태소의 내용을 직접 적을 수 있다
  • 인칭표지를 나타낼 수 있는 P8, P6, P4, P3, P1에 인칭표지가 실현되는지의 여부는 동사 활용형의 종류에 따라 결정된다
동사 활용형의 종류
  • Vajda(2004)와 Georg(2007) 등이 구분한 케트어 동사 활용형은 5가지 종류가 있다
  • 하나의 동사가 하나의 활용형에 속하는 것이 정석이지만, 화자에 따라서 하나의 동사를 다른 활용형으로 사용하는 경우도 있다
  • 아래 제1활용형에 대해 어느 형태소가 어느 위치에 올 수 있는지 분석한 내용의 예시를 적었다. 모든 동사 활용형의 자세한 내용은 Vajda(2004)와 Georg(2007)의 영문자료를 참고할 수 있다
제1활용형
  • 주어: P8에 표지 (di : 1, ku : 2, du : 3.G1, da : 3.G2; 수의 구분은 없다)
  • 목적어: 목적어의 인칭/수/클래스에 따라P4, P3, P1 에 표지
목적어의 인칭/수/클래스 형태소 위치 형태소
1SG P1 di
2SG P1 ku
3SG.G1 P4 a, o
3SG.G2 P4 i
3SG.G3 P3 b
1PL P1 daN
2PL P1 kaN
3PL P4 aN, oN
doc/ket/2_wordclass/23_verb/23_verb.txt · 마지막으로 수정됨: 2021/01/21 21:11 저자 동영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