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용으로 건너뛰기
소수 민족 언어 유형 데이터베이스
사용자 도구
로그인
사이트 도구
검색
도구
원본 보기
이전 판
역링크
최근 바뀜
미디어 관리자
사이트맵
로그인
>
최근 바뀜
미디어 관리자
사이트맵
현재 위치:
안내
»
Documents
»
khanty
»
0_general
»
02_dialect : 방언 (dialect)
추적:
•
02_dialect : 방언 (dialect)
사이드바
Documents
meta
사용자
Guidelines
문서 작성법
Topics
주석 규칙
주석 약호
음성기호
Tags
Languages
Terms
Features
References
doc:khanty:0_general:02_dialect:02_dialect
목차
02_dialect : 방언 (dialect)
민족 및 방언의 구분
방언 분류와 사용 지역
서부 방언과 동부 방언의 특징
02_dialect : 방언 (dialect)
민족 및 방언의 구분
전에는 한티족이 하나의 자칭으로 묶이는 단일한 종족이었으나, 현재는 그 안에 두 개의 그룹, ‘한티인’과 ‘칸터크인’으로 확연히 나뉨.
언어도 한티어와 칸티크어로 나뉨
방언 분류와 사용 지역
현재 한티어 방언을 북부, 남부, 동부 방언 등과 같이 세 방언군으로 나누는 분류는 전혀 근거가 없다. 왜냐하면, 이러한 분류는 현대 한티족의 두 그룹 사이의 뿌리깊은 언어적 차이를 간과하고 있기 때문임
두 개의 방언군을 설정해야 함: 서부(원 한티 방언군), 동부(칸티크(Kantykskiy) 방언군)
사용지역
서부 한티 방언 사용지역
한티-만시 자치구, 야말-네네츠 자치구의 서부 지역.
한티-만시 자치구: 사마로프(Samarovskiy), 콘다(Kondinskiy), 옥탸브리(Oktyabr’skiy), 베레좁스키(Berezovskiy) 지역에 분포
야말-네네츠 자치구: 슈리시카르(Shuryshkarskiy), 프리우랄스키(Priural’skiy) 지역
동부 한티 방언 사용지역
한티-만시 자치구의 동부. 수르구트 지역과 니즈네바로톱스키(Nizhnevartovskiy) 지역
톰스크 주: 알렉산드롭스키 지역과 카르가속스키 지역
(1) 서부 한티 방언군
모든 이른바 북부, 남부 방언. 그 안에 다음 세 개의 방언그룹
1) 오비강 하구 방언그룹 — 우스티-폴루이(폴루이강 하구) 방언, 소비 방언
2) 오비강 연안 방언그룹 — 슈리시카리(Shuryshkary) 방언, 카짐(Kazymskiy) 방언, 오비강 중류 방언
3) 이르티시강 연안 방언그룹 — 우스티-이르티시스키(이르티시강 하구)(또는 사마롭스키) 방언, 이르티시 방언, 콘다(Kondinskiy) 방언, 데미얀(Dem’yanskiy) 방언.
1) 오비강 연안 방언그룹
오비강과 그 오른쪽 지류인 카짐(Kazym) 강을 따라, 슈리시카르, 베레좁스키, 옥탸브리 지역에 분포.
오브도르(obdor) 방언이라고 불림.
오비강의 하구, 야말-네네츠 자치구: 프리우랄스키 지역, 야말 지역, 나딤(Nadymskiy) 지역의 일부. 다소 균질적임.
하위 방언: 폴루이강 하구(ust’-poluyskaya) 방언, 소비강 하구(ust’-sobskaya) 방언: 크지 않은 음성학적 특징으로 구별.
소련 시기에는 문자가 없었음. 혁명 이전 시기에 이 방언으로 선교사들이 철자본을 출판, 마태복음의 일부가 번역됨.
세 가지 방언: 슈리시카르 방언, 카짐 방언, 오비강 중류 방언.
슈리시카르 방언은 l-형 방언, 카짐 방언은 l’-형 방언, 오비강 중류 방언은 t-형 방언.
슈리시카르 방언의 문자는 오비강 하구 방언의 화자들도 사용
오비강 중류 방언: 세 방언 모두 문자가 있음. 오비강 중류 방언의 문자는 이르티시강 연안 방언 화자들도 사용.
2) 이르티시강 연안 방언그룹
이르티시강과 그 지류, 즉 데미얀카(Dem’yanka), 콘다(Konda)강 연안, 일부 오비강 연안과 이르티시강 하구 아래, 사마롭스키(Samarovskiy) 지역 내에 분포했었음.
거의 절멸됨.
4개의 다소 큰 방언들이 속했었음: 이르티시강 하구 방언, 이르티시 방언, 콘다 방언, 데미얀카 방언.
이들 사이의 차이는 현재로서는 설정하기 어려움. 그 차이는 주로 음성적인 것이고, 일부 어휘적인 것이었다고 말할 수 있을 뿐.
(2) 동부 한티 방언군
1) 수르구트(Surgut) 방언그룹 — 아간-유간(Agano-Yuganckiy) 방언, 살림(Salymskiy) 방언
2) 바흐-바슈간(Vakh-vasyuganskoe) 방언그룹 — 바흐(Vakhovskiy) 방언, 바슈간(Vasyuganskiy) 방언.
두 방언 모두 격 형태들이 구별된다는 것이 특징. 바로 이 점이 서부 한티 방언과의 차이.
동부 한티 방언들에서 같은 격이 다른 격 접미사로 만들어짐
1) 수르구트 방언
아간강, 트롬-아간, 유간(Yugan), 핌(Pim), 살림(Salym) 강을 따라, 수르구트 지역 내에 분포.
하위 방언: a) 아간-유간 방언, b) 살림 방언. 아간-유간 방언은 l’-형 방언이고, 살림 방언은 t-형 방언.
수르구트 방언의 문자는 아간-유간 방언을 토대로 만들어짐.
2) 바흐-바슈간 방언
주로 오비강의 지류인 바흐강, 바슈간강을 따라, 니즈네바르톱스키, 알렉산드롭스키, 카르가속스키 지역에 분포.
바흐-바슈간 방언의 주요 방언: 1) 바흐 방언과 1) 바슈간 방언. 바흐 방언은 l-형 방언이고, 바슈간 방언은 й-형 방언.- -
바흐-바슈간 방언의 문자는 바흐 방언을 토대로 만들어짐.
서부 방언과 동부 방언의 특징
두 방언 그룹 사이에는 음성학적, 형태론적, 어휘적 차이가 있다.
음성학적 차이
서부 한티 방언군의 음성학적 특징
마찰음이 아닌 자음 -> 마찰음(spirant)
동부 한티 방언에 남아 있는 고대 공통 핀-우고르어
서부 한티 방언군
velar к
х
ч’
ш 또는 с
khan1273
tereshkin1966
:338
хот, хат : 집 (서부 한티 방언) & қат : 집(동부 한티 방언)
рох, рух : 옷깃(서부 한티 방언) & роқ : 옷깃(동부 한티 방언)
khan1273
tereshkin1966
:338
ош, ас : 염소(서부 한티 방언) & ач' : 염소(동부 한티 방언)
шош : 수오리(서부 한티 방언) & ча'ч' : 수오리(동부 한티 방언)
х
γ
명사 어간말에서 탈락
명사와 동사 인칭 형태에 모음교체가 없다.
형태적 차이
서부 한티 방언의 특징
격융합(syncretism)
주격, 공통향격 또는 향격 II 등의 격이 없음
공통 한티어, 동부 한티 방언에서는 구별되는 것들이 서부 한티 방언에는 없음
한티어 방언들의 격 접미사 표 (339쪽)
격융합
서부와 동부 한티 방언 구별.
서부 방언 중 오비강 하구 방언에서는 처소격, 조격 I, II, 향격 형태가 구별되지 않고, 도두 접미사 -нȧ로 만듦.
처소격과 조격이 합해짐. 접미사 -н, -ны
향격과 목적격(objective case. translatif)이 합해짐. 접미사 -a
이르티시강 연안 방언. 조격과 향격-목적격이 같음.
동부 한티 방언의 특징
a) 바흐-바슈간 방언에는 모음 조화가 있고, 수루구강트 방언에는 없다
b) 수르구트 방언에는 후설원순자음(예)이 있고, 바흐-바슈간 방언에는 없다
c) 바흐-바슈간 방언에는 과거 형태가 네 개 있고, 수르구트 방언에는 두 개 있다.
doc/khanty/0_general/02_dialect/02_dialect.txt
· 마지막으로 수정됨: 2021/08/30 17:58 저자
최문정
문서 도구
원본 보기
이전 판
역링크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