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용자 도구

사이트 도구


doc:khanty:1_phonology:12_vowel:12_vowel

12_vowel : 모음 (vowel)

  • 한티어에서 모음 음소가 가장 분명하게 구별되는 위치는 단어의 첫 음절.
  • 오비강 중류 방언의 모음 음소 8개. (표)

장단모음

  • 오비강 중류 방언과 그 친족 방언에서 장단모음이 음운론적으로 구분됨.
  • 장모음: ā, ō, ū, ē, 단모음: ȧ, о, , i
    khan1273 tereshkin1966:321
    • камын kāmȧn : 밖에서 & камын kȧmȧn : 몇
    • ош ōš 양 & ош : 의미 (толк)
    • хут χūt 여섯 : хут χu̇t 물고기
    • еңк jēŋk 얼음 : йиңк jiŋk
  • 대부분의 장모음(ā, ō, ū)은 후설모음이고, 대부분의 단모음(ȧ, u̇, i)은 전설모음.
  • 장모음 ē는 전설모음이고, 단모음 о는 후설모음.
  • 장모음도 단모음도 원순모음일 수 있다.

각 모음 음소별 표현 문자와 예

/i/
  • и, ы
  • ы는 치음(переднеязычные) 뒤에만
khan1273 tereshkin1966:322
  • тын : 가격
  • сый : 소리
  • ныр : 막대, 장대
/ē/
  • э, е
  • э는 어두와 치음 뒤
khan1273 tereshkin1966:321
  • этта : 나가다
  • тэта : 있다 (есть)
  • сэм : 눈
  • нэм : 이름
/ā/와 /ȧ/
  • а, я
  • я는 경구개음 뒤
khan1273 tereshkin1966:321
  • яи jajə : 형
  • нянь n'ān' : 빵
  • сята s'ȧta : 여기
  • тять t'āt' : 전쟁
/ō/, /o/
  • о, ё
  • ё는 경구개음 뒤
khan1273 tereshkin1966:321
  • ёх joχ : 집으로
  • ёш jōš : 팔
  • нёхы n'oχə : 고기
/ū/, /u̇/
  • у, ю
  • ю는 경구개음 뒤
khan1273 tereshkin1966:321
  • юм jūm : 귀룽나무
  • тюк t'u̇k : 울창한, 걸쭉한
  • 모든 모음(장모음, 단모음)은 약화모음 ə에 대립
  • 약화모음은 오비강 중류 방언에서는 1음절이 아닌 음절에서만 가능.
  • 이 약화모음은 주로 어말 자음군의 자음들을 분리해 주는 역할.
khan1273 tereshkin1966:321
  • wersəm : 나는 하였다 (wersm 이 아니라)
  • toχət : 어망 (toχt이 아니라)
  • toχtət : 어망(GEN) (toχtt이 아니라)
  • 약화된 모음의 역할이 이것뿐이라면, 그것을 음소로 인정할 수 없을 것임.
  • 그러나 이 약화모음은 의미구별 기능도 함.
khan1273 tereshkin1966:321
  • ar : 많이 & arə : 노래
  • kurt : 시골 & kurət : 벽난로, 난로
  • tant : 밀가루, 고통 (мука) & tanət : 그의 지참금
  • 이 모음은 문자로는 ы 와 и 로 나타냄. и와 ə는 경구개음과 ш 뒤
khan1273 tereshkin1966:321
  • кати kȧt'ə : 고양이
  • аси ās'ə : 아버지
  • мони mon'ə : 남동생
doc/khanty/1_phonology/12_vowel/12_vowel.txt · 마지막으로 수정됨: 2021/08/30 23:53 저자 최문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