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예)
(330)
(표)접
(표)
(표)
(331)
(표)
понта와 같이 어간이 자음으로 끝나는 동사의 객체 활용은 아래와 같다.
(표)
(332) - 타동사의 경우 목적어 있는 활용, 목적어 없는 활용이 행위 대상의 성격에 따라 달라진다. - 문장에서 직접보어로 표현되는 행위의 대상이 구체적이거나 특정한 대상이면 목적어 있는 활용 - 무언가 총체적이고 구체화되지 않은 불특정한 대상이면 목적어 없는 활용이 사용된다.
(표)
кит-та와 같이 어간이 자음으로 끝나는 동사의 수동 활용은 다음과 같다.
(표)
(333)
ту-та와 같이 어간이 모음으로 끝나는 동사의 수동 활용은 다음과 같다.
(표)
(표)
(334)
(표)
(33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