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кайтагский
2) подгорный
3) буйнакский
4) хасавюртовский
5) терский
1) 모음의 구개음조화가 파괴됨.
2) 자음의 후두폐쇄음의 존재
3) '–ып+ 인칭접사' 형태 존재
4) плюсквамперфект –ып+ эди 등의 형태 존재.
Dmitryev는 쿠미크어의 방어을 세분류로 나누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