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전설 | 후설 | ||
|---|---|---|---|
| 평순 | 원순 | 평순 | 원순 |
| i | y | ɨ | u |
| e | ø | a | o |
- 후설모음 중에 원순음 대 비원순음 대립에 따라 이차적인 모음조화가 일어난다.
- 어휘의 앞에 후설 비원순음 a나 ɨ가 나오면 뒤에서 언제나 비원순음이 나온다.
- 후설 원순음 중 첫음절에 o가 오는 경우 뒤의 음절에 원칙적으로 같은 원순음 o나 u가 온다.
- 그러나 첫음절에 u가 오는 경우 뒤 음절에 비원순음 a만 오는 것은 예외이다. 이때 뒤 음절 o: 장음일 때만 가능하다.
| 첫음절 | 둘째 음절 | 예시 | |
|---|---|---|---|
| 비원순·비원순 | a | a, ɨ | ata ‘아버지’, balɨk ‘물고기’, sagɨzgan ‘까치’, tapšɨrma ‘숙제’ |
| ɨ | ɨ, a | ɨsɨk ‘뜨겁다’, kɨska ‘짧다’, mɨjzam ‘법’, kɨrandɨk ‘용감함’ | |
| 원순·원순 | o | o, u | bolot ‘쇠’, otur ‘앉다’, dobuš ‘투표’, dostuk ‘우정’ |
| u | u, o: | suro: ‘질문’, buro: ‘돌기’, kulo: ‘떨어지기’ | |
| 원순·비원순 | u | u, a | kuruluš ‘건설’, kujruk ‘꼬리’, ʤumurtka ‘계란’, kumurska ‘개미’ |
| tamak-tar-dɨn | kal-gan-dar-ɨ |
| meal-PL-ABL | leave-DET-PL-RF |
| ʤɨlaŋajlak | bas-kan-ɨ | ʤakšɨ |
| barefoot | step-NMZ-RF | good |
| čoguluš-tu | ujuš-tur-gan | adam-dar |
| meeting-ACC | organize-PAST-DET | man-PL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