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용자 도구

사이트 도구


doc:kyrgyz:1_phonology:15_phonproc:15_phonproc

**문서의 이전 판입니다!**

15_phonproc : 음운과정 (phonological process)

모음조화

  • 키르기즈어에서 전설/후설 모음조화와 원순/비원순 모음조화가 있다. 이를 각각 구개적조화(palatal harmony), 설근적조화(labial harmony)라고 한다.
전설 후설
평순 원순 평순 원순
i y ɨ u
e ø a o
  • 어휘의 어근이 다음절어인 경우 어근 안에서 모음조화가 일어나며 합성어 파생 과정과 격, 수, 인칭, 시제, 법 등에 따른 활용하는 접사에도 모음조화가 일어난다.
  • 어근의 모음 유형에 따라 결합하는 접사의 모음이 정해진다.
  • 어휘 파생.활용하는데 있어 두 개 모음조화가 동시에 일어나고 상호 작용하기 때문에 모음 선택이 제한되어 있다.
  • 때문에 어근의 모음 유형에 따라 결합하는 접사의 모음 유형은 기본적으로 2가지밖에 안 된다.
  • 순 키르기즈어 어근은 다음절어인 경우 전/후설, 원순/비원순 모음조화 규칙이 작용되어 2개 유형의 모음만 사용이 가능하다.
  • 어휘 파생함에 있어 어근에 결합하는 접사에 따라 원순/비원순 모음조화가 지켜지지 않는 경우가 있으나 전설/후설 모음조화가 지켜진다. 이때 모음 유형이 3-4개 실현될 수 있는데 같은 전설음끼리 혹은 후설음끼리 어울려 사용된다.
  • 차용어에서 모음조화 규칙이 지켜지지 않는다.
후설 모음조화
  • 후설모음 중에 원순음 대 비원순음 대립에 따라 이차적인 모음조화가 일어난다.
  • 어휘의 앞에 후설 비원순음 aɨ가 나오면 뒤에서 언제나 비원순음이 나온다.
  • 후설 원순음 중 첫음절에 o가 오는 경우 뒤의 음절에 원칙적으로 같은 원순음 ou가 온다.
  • 그러나 첫음절에 u가 오는 경우 뒤 음절에 비원순음 a만 올 수 있는 것은 예외이다. 이때 뒤 음절 o: 장음일 때만 가능하다.
  • 따라서 u는 원순성에 따른 설근적 조화를 유발하지 않는다.
첫음절 후속음절 예시
비원순·비원순 a a, ɨ ata ‘아버지’, balɨk ‘물고기’, sagɨzgan ‘까치’, tapšɨrma ‘숙제’
ɨ ɨ, a ɨsɨk ‘뜨겁다’, kɨska ‘짧다’, mɨjzam ‘법’, kɨrandɨk ‘용감함’
원순·원순 o o, u bolot ‘쇠’, otur ‘앉다’, dobuš ‘투표’, dostuk ‘우정’
u u, o: suro: ‘질문’, buro: ‘돌기’, kulo: ‘떨어지기’
원순·비원순 u u, a kuruluš ‘건설’, kujruk ‘꼬리’, ʤumurtka ‘계란’, kumurska ‘개미’
kirg1245
tamak-tar-dɨnkal-gan-dar-ɨ
meal-PL-ABLleave-NMZ-PL-RFL
‘음식 중 남은 것들’
kirg1245
ʤɨlaŋajlakbas-kan-ɨʤaɨ
barefootstep-NMZ-RFLgood
‘맨발로 걷기가 좋다’
kirg1245
čoguluš-tuujuš-tur-ganadam-dar
meeting-ACCorganize-PAST-DETman-PL
‘모임을 주최한 사람들’
kirg1245
ša:r-daturuu-lar-gaɨŋgaj-sɨz-dɨk-tɨʤarat-at.
city-LOCresident-PL-DATcomfort-NEG-NMZ-ACCcreate-PRES.3SG
‘도시 시민들에게 불편함을 일으킨다.’
전설모음 조화
  • 키르기즈어에서 수, 격, 재귀 등의 변화에 관여하는 접사의 모음의 유형은 고모음 i, y, ɨ, u 계열과 저모음 e, ø, a, o 계열의 모음 중에 하나가 선택된다.
  • 예를 들어 목적격 접사는 -nɨ는 고모음 계열의 모음이면 이형태들은 -ni, -ny, -nu 고모음만 사용된다. (자음동화에 따른 이형태 제외)
  • 여격 접사 -ga는 저모음 계열의 모음 유형이니 이형태들에 -ge, -gø, -ga, -go에서와 같이 저모음만 사용된다.
첫음절 후속음절 예시
비원순·비원순 e e, i ene ‘어머니’, deŋiz ‘바다’, teri ‘가죽’, teskeri ‘반대로’
i i, e kiši ‘사람’, čie ‘앵두’, tilek ‘소원’, išenič ‘믿음’, išmer ‘달인(명수)’
비원순·원순 e ø
원순·원순 ø ø, y ʤøʤø ‘병아리’, kømyr ‘석탄’
y y, ø kymyš ‘은’, ʤyrøk ‘심장’
kirg1245
mektep-ter-dekitep-terʤetiš-siz
school-PL-LOCbook-PLenough-NEG
‘학교에 책들이 부족하다.’
kirg1245
biz-gebil-giz-dir-be-jøt-ypket-ti
we-DATknow-CAUS-NEG-CONVpass-CONVgo-PAST.3SG
‘우리가 모르게 (우리에게 알리지 않게) 지나갔다.’
kirg1245
kør-bø-gøn-y-byz-gøekikynbol-du.
see-NEG-NMZ-RFL-3PL-DATtwodaybecome-PAST.3SG
‘보지 않은지 이틀이 되었다.’
kirg1245
tyšyn-bø-gøn-dør-yŋør-dysura-gɨla.
understand-NEG-NMZ-PL-RFL-ACCask-IMP
‘이해하지 못했던 것들을 물어보세요.’
doc/kyrgyz/1_phonology/15_phonproc/15_phonproc.1524662350.txt.gz · 마지막으로 수정됨: 2018/04/25 22:19 저자 Asel Talapov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