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키르기즈어 단수는 명사의 어근 자체로 표시된다. - 단수 명사 일부는 (동질적) 다수를 의미하며, 일부는 복수 표지를 결합하는데 제약을 나타낸다. 이러한 명사 중 다음과 같은 것들이 있다.
- 키르기즈어 복수 표지는 –lar이다. 이는 자음동화와 모음조화에 따라 11 개의 이형태를 갖는다.
| 선행자음 | 이형태 | 예시 |
|---|---|---|
| 모음, r, j | -lar, -ler, -lor, - lør | alma-lar ‘사과들’, to:-lor ‘산들’, depter-ler ‘공책들’, yj-lør ‘집들’б koj-lor ‘양들’, tyr-lør ‘종류들’, bo:r-lor ‘간들’ |
| 유성음, 비음 | -dar, -der, -dor, -dør | ajal-dar ‘여자들’, mugalim-der ‘선생님들’, kol-dor ‘손들’, kagaz-dar ‘종이들’, kaz-dar ‘오리들’ |
| 무성음 | -tar, -ter, -tor, -tør | taš-tar ‘돌들’, køpøløk-tør ‘나비들’, mɨšɨk-tar ‘고양이들’, tabak-tar ‘접씨들’, but-tar ‘다리들’, kuš-tar ‘매들’ |
| 격 | 격접사 | 수 |
|---|---|---|
| NOM | Ø | 0 |
| GEN | -nɨn, -nin, -nun, -nyn, -dɨn, -din, -dun, -dyn, -tɨn, -tin, -tun, -tyn | 16 |
| ACC | -nɨ, -ni, -nu, -ny, -dɨ, -di, -du, -dy, -tɨ, -ti, -tu, -ty, -ɨ, -i, -u, -y | 17 |
| DAT | -ga, -ge, -go, -gø, -ka, -ke, -ko, -kø, -a, -e, -o, -ø, -na, -ne, -no | 15 |
| LOC | -da, -de, -do, -dø, -ta, -te, -to, -tø, -nda, -nde, -ndo | 11 |
| ABL | -dan, -den, -don, -døn, -tan, -ten, -ton, -tøn, -an, -en, -on, -øn, -nan, -nen, -non | 15 |
- 어근에 결합하는 성분의 음운론적 성격에 따라 후행하는 격접사의 유형이 규칙적으로 결정되는데 이는 음운론적 환경이 바뀔 때마다 접사의 성분 내용도 바뀌게 된다. - 각기 다른 이형태들이 곧 정해진 자리에 나타난다. - 이는 아래와 같이 šakek ‘반지’에 결합되는 목적격 표지가 선행성분이 바뀔 때마다 각기 다른 이형태가 채택되어서 사용됨을 알 수 있다.
| 어근 | - 복수 - RFL - 목적격접사 | 의미 |
|---|---|---|
| šakek | -ti | 반지-를 |
| šakek | -iŋ - di | 반지-너의-를 |
| šakek | -der - di | 반지-들-을 |
| šakek | -der –i - n | 반지-들-너의-를 |
- 주격은 특정한 형태 없이 실현된다.
| kyz-Ø | kel-di |
| autumn-Ø | come-PST.3SG |
| Ene-m | mugalim, | ata-m | so:daker. |
| mother-RFL | teacher, | father-RFL | merchant |
- 주격은 비한정 목적어를 나타낼 수 있다. 이때 목적어는 화제 속 신정보를 나타내거나 비한정한 대상을 나타낼 때 사용된다.
- bol ‘되다’ 동사와 함께 실현된다.
| -nɨn, -nin, -nun, -nyn, -dɨn, -din, -dun, -dyn, -tɨn, -tin, -tun, -ty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