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사는 문장에서 서술어 기능을 담당하여 주어와 일치 관계에 있다. -따라서 시제, 인칭, 수, 법을 나타난다. -동사의 사전적 기본 형태는 동사의 어근이며 2인칭 명령어 형태이기도 하다. ʤaz ‘써라’, oku ‘읽어라’. 기본형태에 접사가 결합하면서 동사가 활용된다. ʤaz-dɨ ‘썼다’, ʤaz-at ‘쓸 것이다’ -부정 형태는 –o:, -u:, -y: 접사가 결합되어 형성된다. ʤaz-u: ‘to write’, oku: ‘to study’.
-단순동사는 형태소 하나로 구성되어 있다. otur ‘앉다’, kel ‘오다’, oku ‘공부하다’, ʤu: ‘닦다’, karma ‘잡다’, ič ‘마시다’ 등은 그 예이다.
-파생동사는 형용사와 명사에 동사화 접사가 결합해서 구성된다.
| 신체 의미의 명사 | ajak ‘발’, ajak-ta ‘끝나다’, ‘끝내다’ |
| baš ‘머리’, baš-ta ‘시작하다’, ‘선두하다’ | |
| kol ‘손’, kol-do ‘협조하다’ | |
| til ‘혀’, til-de ‘야단치다’ | |
| 노동도구 의미의 명사 | ara: ‘톱’, ara:-la ‘베다’ |
| bɨčak ‘칼’, bɨčak-ta ‘칼질하다’ | |
| balta ‘도끼’, balta-la ‘도끼질하다’ | |
| 물체 의미의 명사 | maj ‘지방’, maj-la ‘(지방, 기름으로) 바르다’ |
| tuz ‘소금’, tuz-da ‘소금을 치다’ | |
| čɨk ‘양념’, čɨk-ta ‘양념하다’ | |
| -laš, -leš, -loš, -løš, -daš, -deš, -doš, -døš, -taš, -teš, -toš, -tøš | |
###### 복합동사 -복합동사는 둘 이상의 요소로 구성되어 있다. 이 경우 선.후행 요소의 의미가 융합되어 단일한 개념을 나타내게 된다. til ‘혀’, al ‘갖다’, til al ‘말을 듣다’, kulak ‘귀’, sal ‘넣다’ → kulak sal ‘듣다’. - 선행 요소는 명사, 부사 등으로 실현되어 후행 요소는 경동사(light verb)인 구성도 복합동사 구성이다. 이러한 경동사 중에 et, kør, al, bol, sal이 있다.
| et | ʤardam ‘도움’ | ʤardam et ‘도와 주다’ |
| ʤark ‘반짝’ | ʤark et ‘반짝거리다’ | |
| ta:sir ‘영향’ | ta:sir et ‘영향을 끼치다’ | |
| ʤɨlt ‘껌뻑’ | ʤɨlt et ‘껌뻑거리다’ | |
| kør | ʤakšɨ ‘좋다’ | ʤakšɨ kør ‘좋아하다’ |
| ʤaman ‘나쁘다’ | ʤaman kør ‘싫어하다’, ‘미워하다’ | |
| bala ‘아이’ | bala kør ‘애 낳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