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용자 도구

사이트 도구


doc:kyrgyz:2_wordclass:23_verb:23_verb

**문서의 이전 판입니다!**

23_verb : 동사 (verb) 100%

  • 동사는 문장에서 서술어 기능을 담당하여 주어와 일치 관계에 있다.
  • 따라서 주어와 인칭과 수의 일치관계에 따라 활용된다. 동사는 시제, 법, 태, 상의 범주를 나타낸다.
  • 동사의 사전적 기본 형태는 동사의 어근이며 2인칭 명령어 형태이기도 하다. ʤaz ‘써라’, oku ‘읽어라’. 기본형태에 접사가 결합하면서 동사가 활용된다. ʤaz-dɨ ‘썼다’, ʤaz-at ‘쓸 것이다’.
  • 부정 형태는 –o:, -u:, -y: 접사가 결합되어 형성된다. ʤaz-u: ‘to write’, oku: ‘to study’.
단순동사

-단순동사는 형태소 하나로 구성되어 있다. otur ‘앉다’, kel ‘오다’, oku ‘공부하다’, ʤu: ‘닦다’, karma ‘잡다’, ič ‘마시다’ 등은 그 예이다.

파생동사

-파생동사는 형용사와 명사에 동사화 접사가 결합해서 구성된다.

-la, -le, -lo, -lø, -da, -de, -do, -dø, -ta, -te, -to, -tø
신체 의미의 명사 ajak ‘발’ ajak-ta ‘끝나다’, ‘끝내다’
baš ‘머리’ baš-ta ‘시작하다’, ‘선두하다’
kol ‘손’ kol-do ‘협조하다’
til ‘혀’ til-de ‘야단치다’
노동도구 의미의 명사 ara: ‘톱’ ara:-la ‘베다’
bɨčak ‘칼’ bɨčak-ta ‘칼질하다’
balta ‘도끼’ balta-la ‘도끼질하다’
물체 의미의 명사 maj ‘지방’ maj-la ‘(지방, 기름으로) 바르다’
tuz ‘소금’ tuz-da ‘소금을 치다’
čɨk ‘양념’ čɨk-ta ‘양념하다’
-laš, -leš, -loš, -løš, -daš, -deš, -doš, -døš, -taš, -teš, -toš, -tøš
명사 akɨl ‘지혜’ akɨl-daš ‘조언하다’
ʤardam ‘도움’ ʤardam-daš ‘도와주다’
čatak ‘말다툼’ čatak-taš ‘말다툼하다’
dos ‘친구’ dos-toš ‘사귀다’
복합동사
  • 복합동사는 둘 이상의 요소로 구성되어 있다. 이 경우 선.후행 요소의 의미가 융합되어 단일한 개념을 나타내게 된다. til ‘혀’, al ‘갖다’, til al ‘말을 듣다’, kulak ‘귀’, sal ‘넣다’ → kulak sal ‘듣다’.
  • 선행 요소는 명사, 부사 등으로 실현되어 후행 요소는 경동사(light verb)인 구성도 복합동사 구성이다. 이러한 경동사 중에 et, kør, al, bol, sal이 있다.
    et ʤardam ‘도움’ ʤardam et ‘도와 주다’
    ʤark ‘반짝’ ʤark et ‘반짝거리다’
    ta:sir ‘영향’ ta:sir et ‘영향을 끼치다’
    ʤɨlt ‘껌뻑’ ʤɨlt et ‘껌뻑거리다’
    kør ʤakšɨ ‘좋다’ ʤakšɨ kør ‘좋아하다’
    ʤaman ‘나쁘다’ ʤaman kør ‘싫어하다’, ‘미워하다’
    bala ‘아이’ bala kør ‘애 낳다’

시제

현재시제
  • 현재 시제는 ‘–a/j + 인칭접사’에 의해서 실현된다.
  • 어근이 자음으로 끝나는 경우 -a-(변이음 –e, -o, -ø)가 연결하고 모음으로 끝나는 경우 –j-가 연결된다.
  • 문장에 현재시제를 표시하는 부사어구가 사용되지 않는 경우 미래시제로 사용된다.
  • 3인칭 복수는 현재시제 표시 –a/j에 Reciprocal 접사 -(ɨ)š가 선행할 수 있다.
인칭 단수 복수
어근의 마지막 음절 모음
a, u, ɨ e, i o ø, y a, u, ɨ e, i o ø, y
1인칭 a+mɨn e+min o+mun ø+myn a+bɨz e+biz o+buz ø+byz
2인칭 a+sɨn e+sin o+sun ø+syn a+sɨŋar e+siŋer o+suŋar ø+syŋør
2인칭 존대 a+sɨz e+siz o+suz ø+syz a+sɨzdar e+sizder o+suzdar ø+syzdør
3인칭 a+t e+t o+t ø+t a+t e+t o+t ø+t
kirg1245 talapova2018:000
Kanɨšajkijim-diøzytig-ipkij-e-t.
Kanyshajycloth-ACCherselfsew-CONVwear-PRES.3SG
‘카느샤이는 옷을 스스로 바느질해서 입는다.’
kirg1245 talapova2018:000
Alarertetur-upʤumuš-kabar-ɨš-a-t.
Theymostearlystand_up-CONVoffice-DATgo-RECP-PRES.3PL
‘그들은 가장 먼저 일어나서 직장에 간다.’
미래시제
  • 키르기즈어에서 미래시제는 현재시제 –a/j+인칭접사에 의해서 실현된다(현재시제 참조)
  • 키르기즈어 미래미정 시제를 나타내는 형태소 –ar가 있다.
  • 미래미정 시제는 ‘–(a)r+인칭접사’ 구성에 의해서 실현된다(인칭에 대한 활용 패러다임은 현재시제 참조).
  • 동사 어근이 자음으로 끝나는 경우 –a-가 삽입되며 모음인 경우 –r 하나만 실현된다.
  • 미래미정 시제는 추측, 가능성 등의 양태적 의미를 나타낸다.
kirg1245 talapova2018:000
Erteŋkynačɨkbol-or.
tomorrowdayclearbecome-FUT.MOD
‘내일 날씨가 맑아지겠다.’
kirg1245
Emkičoguluš-tasizder-gesøzber-il-er.
Nextmeeting-LOCyou-DATwordgive-PASS-FUT.MOD
‘다음 모임 때 당신에게 이야기할 자리가 (아마도) 주어질 것이다.’
과거시제
  • 키르기즈어 과거는 정과거(Definite Past)와 부정과거(Indefinite Past)가 있다.
  • 정과거는 –dɨ+인칭접사 구성에 의해서 실현된다.
  • dɨ의 변이음은 유무성에 따라 –dɨ/tɨ로 구분되며 어근 모음유형에 따라 -du/tu, -dy/ty, -di/ti 접사로 구분된다.
  • 정과거는 결과를 함의하며 구체적이고 분명한 사건을 묘사한다.
  • 정과거는 발화 시점 기준으로 과거의 동작을 의미하는데 이때 화자는 과거 사건의 참여자이거나 목격자 등 특정한 관계에 있음을 나타낸다. -dɨ는 동사에 결합하여 최근의 과거를 나타내고 대부분의 경우 사건(동작)의 발생 시점을 분명히 표시하는 문맥에서 사용된다.
  • dɨ의 인칭에 따라 활용되는 자세한 패러다임은 명사의 재귀소유 표지 도표 참조.
    인칭 단수 복수
    1인칭 dɨ-m dɨ+k
    2인칭 dɨ-ŋ dɨ+ɨŋar
    2인칭 존대 dɨ-ŋɨz dɨ-ɨŋɨzdar
    3인칭 dɨ+Ø dɨ+Ø
  • 부정과거는 ‘–gan/kan+인칭접사’ 구성에 의해서 실현된다. 이의 변이음은 –gen/ken, -gøn/køn, -gon/kon이다.
  • 부정과거는 사건의 발생 시점에 대한 분명한 언급이 안 된 문맥에서 사용된다.
  • 부정과거는 결과를 함의하는 구체적이고 분명한 사건을 묘사하지 않고 반대로 결과와 상관없는 과거 상황(사건) 나타내며 과거 일에 대한 일반적 사실을 전달하는 의미에서 사용된다. oku-du-m ‘내가 읽었다’(정과거)는 읽은 동작이 일어났으며 그 결과도 존재함을 함의한다. bar-gan-mɨn ‘내가 읽었다’(부정과거)는 반대로 읽은 결과와 상관없이 ‘읽긴 읽었다’, ‘읽은 동작 자체가 있었다’의 의미로 이해된다.
  • gan 부정과거 접사는 추측의 의미를 나타내는 –dɨr(-dir, -dur, -dyr)과 결합해서 실현되는 경우가 많다. 이때 부정의 의미가 더 강화된다. 즉 과거의 동작이 일어날수도 있고 일어나지 않을수도 있음을 표현한다. oku-gan-dɨr ‘아마도 읽었을 것이다’, '읽었을지도 모른다'.
  • gan/kan과 함쎄 실현되는 인칭접사의 활용 패러다임은 위의 현재시제 도표 참조.
    인칭 단수 복수
    1인칭 gan-mɨn gan+bɨz
    2인칭 gan-sɨŋ gan+sɨŋar
    2인칭 존대 gan-sɨz gan-sɨzdar
    3인칭 gan+Ø gan+Ø
kirg1245 talapova2018:000
Alʤaškez-deabdankɨjɨnčɨlɨk-taøs-ty.
Heyoungtime-LOCverydifficulty-LOCgrow_up-PST.DEF
‘그는 젊은 시절에 많이 힘든 상황에서 자랐다.’
kirg1245 talapova2018:000
dyjnø-nynølkø-lør-dynkøb-yn-dosabatsɨzdɨkʤoj-ul-gan.
world-GENcountry-PL-GENmany-REF-LOCilliteracyliquidate-PASS-PST.INDEF
‘세계의 대부분의 나라에서 문맹이 제거되었다.’

-키르기즈어에서 평서법, 명령법, 가정법, 기원법 4개의 법이 있다.

명령법

-명령법은 1인칭, 2인칭, 3인칭에 대해서 모두 사용된다.

인칭 어근 단수 복수
1인칭 자음 -ajɨn (-ejɨn, -ojun, -øjyn) -alɨ(k) (-eli(k), -olu(k), -øly(k))
모음 -jɨn (-jin, -jun, -jyn) -jlɨ(k) (-jli(k), -jlu(k), -jly(k))
2인칭 반말 -gɨn (-gin, -gin, -gun –gyn) -gɨla (-gile, -gula, -gulø)
존대 -(ɨ)ŋɨz (-(i)ŋiz, -(u)ŋuz, -(y)ŋyz -(ɨ)ŋɨzdar (-(i)ŋizder, -(u)ŋuzdar, -(y)ŋyzdør
3인칭 -sɨn (-sin, -syn, -sun) -ɨšsɨn (-išsin, -yšsyn, -ušsun)
kirg1245 talapova2018:000
Menʤaŋɨkel-genstudent-ter-geʤardamdaš-ajɨn.
Inewcome-RELstudent-PL-DAThelp-IMP.1SG
‘내가 새로 들어온 학생들을 도와주지.’
kirg1245 talapova2018:000
Kimdoskimkasekeniaʤɨratabil-gile.
whofriendwhoenemywetherseparatelyknow-IMP.3PL
‘누가 친구인지 누가 적인지 변별해서 알거라.’
kirg1245 talapova2018:000
O:kattu:ʤašo:yčynba:rdɨkmymkynčylu-gyŋuz-dør-dyʤumša-ŋɨzdar.
wealthyliffeforallpossibility-REF-PL-ACCuse-IMP
‘부유한 삶을 위해서 모든 가능성을 이용하세요.’
조건법
  • 키르기즈어 조건법은 ‘-sa+인칭접사’ 구성에 의해서 실현된다.
  • sa와 함께 실현되는 인칭접사의 자세한 활용 패러다임은 위의 현재시제 도표 참조.
kirg1245 talapova2018:000
Tokoj-gobar-sa-ŋarkarɨškɨr-dɨkør-yšymymkyn.
Forest-DATgo-COND-REFwolf-ACCsee-NMZpossible
‘숲에 가면 늑대를 보기가 가능하다.’
kirg1245 talapova2018:000
øzybil-be-seøzgø-nyntil-inal-ba-saalkandajadam?
Himselfknow-NEG-CONDother-GENtonguetake-NEG-CONDhewhatman
‘본인도 모르면 다른 사람의 말도 안 들으면 그는 (도대체) 어떤 사람입니까?’
기원법
  • 기원법은 ‘-sa+인칭접사 eken’ 구성에 의해서 실현된다.
kirg1245 talapova2018:000
Bygynsabak-tɨdajarda-ba-jkel-dim.Mugalimsura-ba-sa_eken.
Todayclass-ACCprepare-NEG-CONVcome-PST.1SGteacherquestion-NEG-OPT
‘오늘 수업을 준비하지 않고 왔다. 선생님이 묻지 않았으면 한다.’
kirg1245 talapova2018:000
Kečik-be-jøzynubag-in-dabar-sa_eken.
late-NEG-CONVitselftime-REF-LOCgo-OPT
‘늦지 않고 제시간에 갔으면 좋을텐데.’

  • 키르기즈어에서 기본태, 상호태, 재귀태, 수동태, 사동태가 있다. 기본태는 평서법 참조.
상호태
  • 상호태(Mutuality Voice)는 -ɨš 표지에 의해서 실현된다. 이의 변이음은 –iš, -uš, -yš이다.
  • 동사의 어근이 모음으로 끝나는 경우 -š가 연결된다.
  • 상호태는 공동으로 하는 행위 그리고 상호 재귀되는 행위를 의미한다.
kirg1245 talapova2018:000
Bizbirbiribizmenentelefonarkɨlu:bajlan-ɨs-tɨk
weoneanotherwithtelephonethroughcontact-MUT-PST.3PL
‘우리는 서로에게 전화로 연락했다.’
kirg1245 talapova2018:000
ʤumušču-larʤamgɨr-gakara-ba-jište-š-ti.
worker-PLrain-CONsee-NEG-CONVwork-MUT-PST.3PL
‘노동자들이 비가 왔음에도 불구하고 일했다.’
재귀태
  • 재귀태는 -ɨn(-in, -un, -yn)에 의해서 실현된다. 동사의 어근이 모음으로 끝나는 경우 –n 하나만 실현된다.
  • 재귀태는 동작이 행동주에게 재귀되는 의미를 나타낸다.
kirg1245 talapova2018:000
Azɨrelekɨs-ɨn-ɨptur-gankelin-dinkabag-ɨač-ɨl-dɨ.
Nowjustrestrain-REFL-CONVstand-RELdaughter_in_law-GENeyebrowopen-PASS-PST.3SG
‘방금 긴장해서 서고 있던 며느리의 눈썹이 펴졌다(표정이 펴졌다).’
kirg1245 talapova2018:000
Menkyn-y-gøsa:taltɨ-datur-upkij-in-ipʤu-un-am.
Iday-REF-DAThoursix-LOCstand_up-CONVwear-REFL-CONVwash-REFL-PRES.1SG
‘나는 매일 6시에 일어나서 옷을 입고 세수한다.’
수동태
  • 수동태는 -ɨl과 이의 변이음 –il, -ul, -yl 형태에 의해서 실현된다. 동사의 어근이 모음으로 끝나는 경우에 –l 하나만 연결된다.
kirg1245 talapova2018:000
Bulʤer-deʤemišbak-tarøstyr-yl-øt.
thisplace-LOCfruittree-PLcultivate-PASS-PRES.3PL
‘이 곳에서 과수가 재배된다.’
kirg1245
Katu:ʤarɨlu:-nunyn-yug-ul-du.
Strongexplosion-GENsound-REFLlisten-PASS-PST.3SG
‘시끄러운 폭발의 소리가 들렸다.’
사동태
  • 사동태는 –dɨr(-tɨr), -t, -kɨr(kir), -kar(-kør), -kɨz, -ɨr, -ɨz, -søt이다.
kirg1245 talapova2018:000
Menkarɨndaš-ɨm-akitep-tioku-t-tum.
Isister-REFL-DATbook-ACCstudy-CAUS-PST.1SG
‘나는 동생에게 책을 읽게 했다.’
kirg1245 talapova2018:000
Biz-dikyt-tyr-bø-jbatkel.
we-ACCwait-CAUS-NEG-CONVquicklycome.IMP
‘우리를 기다리게 하지 말고 빨리 와라’
doc/kyrgyz/2_wordclass/23_verb/23_verb.1601279420.txt.gz · 마지막으로 수정됨: 2020/09/28 16:50 저자 안대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