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용자 도구

사이트 도구


doc:lingao:2_wordclass:27_num:27_num

27_num : 수사 (numeral)

  • 린가오어의 수사에는 기수사, 서수사, 약수 등이 있다.

(1) 기수사

  • 많이 쓰이는 기수사는 다음과 같다.
ling1262 liangmin1997:72
  • it33, di33, hə33 : 하나(one)
  • vɔn33, ŋi11, ŋəi11 : 둘(two)
  • tam213, tam55 : 셋(three)
  • ti33, tə33, təi33 : 넷(four)
  • ŋa33, ŋo11, ŋu11 : 다섯(five)
  • sok33, lok55 : 여섯(six)
  • sit33 : 일곱(seven)
  • bet33, bat33 : 여덟(eight)
  • ku33 : 아홉(nine)
  • təp55 : 열(ten)
  • bek33 : 백(hundred)
  • sen213 : 천(thousand)
  • van11 : 만(ten thousand)
  • leŋ55 : 영(zero)
  • 린가오어의 단일 수사가 복합 수사를 만드는 방법이 중국어와 대개 같지만 몇몇 수사가 특정 용법이 있다.

수사 'it³³, di³³, hə³³(하나)'의 용법

  • 수사 it³³은 수를 셀 때와 복합 수사를 만드는 데에 쓰이고 분류사 앞에 결합되어 수식어가 될 수 있다.
  • 반면에 수사 di³³와 hə³³는 수를 셀 때와 복합 수사를 만드는 데에 쓰일 수 없다.
  • di³³는 분류사 앞에만 결합할 수 있고 이때 ‘하나’ 혹은 ‘-마다’의 뜻을 가진다.
  • hə³³(혹은 ə³³)는 분류사 뒤에만 결합할 수 있다.
  • 말을 빠르게 할 때 ə³³는 앞에 있는 분류사의 운미 때문에 성조 변화가 일어난다.
    ling1262 liangmin1997:72
    • it33, vɔn33, tam213, ti33 : 하나, 둘, 셋, 넷
    • it33hiu55 : 한 벌/마리
    • it33 : 하나 + sen213 : 천 + leŋ55 : 영 + it33 : 하나 + təp55 : 십 + it33 : 하나 → it33sen213leŋ55it33təp55it33 : 천 십일
    • hu55hə33 : 한 마리(동물)
    • sik33hə33, sik33kə33 : 한 척
ling1262 liangmin1997:72
di33vən55bɔi213di33fɔi55.
oneCLgooneCL
매일 한 번씩 간다.

수사 'vɔn³³, ŋi¹¹, ŋəi¹¹(둘)'의 용법

  • 수사 vɔn³³, ŋi¹¹는 수를 셀 때 쓰일 수 있지만 ŋəi¹¹는 안 된다.
  • vɔn³³는 분류사 앞에 결합할 수 있다.
  • vɔn³³는 복합 수사를 만들 떼 ‘백, 천, 만’ 앞에 올 수 있지만 ‘십’ 앞에 올 수 없고 수사의 끝자리에 올 수 없다.
  • ŋi¹¹는 ‘십’ 앞에 쓰일 수 있고 말을 빠르게 할 때 ‘십’과 같이 결합음으로 발음된다.
  • ŋəi¹¹는 복합 수사의 끝자리에 올 수 있고 날짜 순서, 월 순서에도 쓰일 수 있다.
  • ŋəi¹¹는 접두사와 결합하어 서수, 사람의 서열 등을 나타냄으로 친족 서열을 표현할 수 있다.
ling1262 liangmin1997:73
  • vɔn33sen213vɔn33bek33ŋi11təp55ŋəi11 : 이천 이백 이십이
  • ŋi11təp55 it33ŋiəp it33ŋip it33 : 이십 일
  • bə33ŋəi11 : 둘째
  • ko213ŋəi11 : 둘째 여동생
  • hai11ŋəi11 : 제 이
  • vɔn33mɔʔ55 : 두 개

수사 'tam²¹³, tam⁵⁵(셋)'의 용법

  • tam²¹³은 모든 자리에 쓰일 수 있다.
  • 사람을 뜻하는 접두사 뒤에 성조 변화로 인해 ‘tam⁵⁵’로 발음된다.
ling1262 liangmin1997:73
  • nə55tam55 : 셋째

수사 ti³³~tə³³~təi³³(넷)의 용법

  • ti³³, tə³³, təi³³는 모두 수를 셀 때 쓰일 수 있다.
  • ti³³는 vɔn³³과 같이 쓰이고 tə³³, təi³³는 ŋi¹¹와 같이 쓰인다.
  • ti³³는 분류사 앞에 결합할 수 있다.
  • 복합 수사를 만들 때 끝자리에 수사 ti³³, tə³³가 올 수 있다.
  • ‘십, 백, 천, 만’ 앞이나 ‘백, 천, 만’ 뒤에는 모두 tə³³가 쓰인다.
  • 양력 4일, 14일에는 ti³³가 쓰이고 음력 14일에는 tə³³가 쓰인다.
  • ti³³, tə³³ 앞에 접두사 ‘hai11’가 결합함으로 서수를 나타낸다.
  • təi³³는 사람을 나타내는 접두사 bə33, nə55와 결합하거나 친족명칭 뒤에 결합함으로 어떤 사람 혹은 친족의 서열을 나타낸다.
ling1262 liangmin1997:73
  • it33, vɔn33, tam213, ti33, ŋa33, sok33 : 하나, 둘, 셋, 넷, 다섯, 여섯
  • it33, ŋi11, tam213, tə33, ŋo33, sok33 : 하나, 둘, 셋, 넷, 다섯, 여섯
  • təp55ti33 : 십사
  • təp55tə33 : 십사
  • ŋo33təp55ti33 : 오십사
  • ŋiəp tə33 : 이십사
  • tə33bek33tə33təp33tə33 : 사백 사십사
  • hai11ti33nɔi213 : 제 사위(4위)
  • təp33ti33hɔu11 : 십사 일(양력)
  • tə33ŋit55təp33tə33 : 사월 십사(음력)
  • sɔ213tə33 : 초나흗날
  • bə33təi33 : 넷째
  • tok33təi33 : 넷째 삼촌

수사 ŋa³³~ŋo¹¹(다섯)과 sok³³~lok⁵⁵(여섯)의 용법

  • 다섯, 여섯을 뜻하는 수사들은 모두 수를 셀 때에 쓰일 수 있다.
  • ŋa³³, sok³³은 분류사 앞에 결합할 수도 있고 접미사 ‘hɔu44(-날/일)’ 뒤에 와서 양력의 날짜순을 나타낼 수도 있다.
  • ŋo¹¹, lok⁵⁵은 월 순서를 나타낼 수 있으며 접두사 ‘sɔ213(초-)’와 결합하여 음력 매월 상순의 날짜순을 나타낼 수 있다.
  • ŋo¹¹, lok⁵⁵은 접두사 ‘hai11(제-)’와 결합하여 서수를 나타낸다.
  • 복합 수사를 만들 때 ŋa³³, sok³³은 ‘십’ 뒤에만 올 수 있고 ŋo¹¹, lok⁵⁵은 ‘십, 백, 천, 만’의 앞이나 뒤에 모두 올 수 있다.
  • 사람이나 친족의 서열을 나타낼 때 ŋo¹¹, lok⁵⁵이 쓰인다.
ling1262 liangmin1997:74
  • sok33keu55 : 육 개월
  • təp55ŋa33hɔu44 : 십오 일
  • ŋo11təp55 : 오십
  • lok55bek33lok55təp55lok55 : 육백 육십육
  • hai11ŋo11 : 제 오
  • lok55ŋit55co213lok55 : 유월 초엿샛날
  • nə55ŋo11 : 다섯째
  • beʔ33lok55 : 여섯째 큰아버지

수사 bet³³~bat³³(여덟)의 용법

  • bet³³, bat³³은 수를 셀 때 모두 쓰일 수 있다.
  • bet³³은 분류사 앞에 결합될 수 있으며 접두사 ‘hai11’와 결합하여 서수를 나타낼 수 있다.
  • 복합 수사를 만들 때 bet³³은 ‘십’ 뒤에만 올 수 있지만 bat³³은 ‘십, 백, 천, 만’의 앞이나 ‘백, 천, 만’의 뒤에 올 수 있다.
  • bat³³은 접두사 ‘sɔi213(초-)’와 결합함으로 음력 매월 상순의 날짜순을 나타낼 수 있다.
  • 사람이나 친족 서열을 나타낼 때 bat³³이 쓰인다.
ling1262 liangmin1997:75
  • bet33na33 : 여덟 명/분
  • təp55bet33 : 십팔
  • bat33təp55 : 팔십
  • hai11bet33 : 제 팔
  • ŋi11təp55bet33hɔu11 : 이십팔 일(양력)
  • tok33bat33 : 여덟째 삼촌
  • sɔi213bat33 : 초여드렛날
  • bat33bek33bat33təp55bet33 : 팔백 팔십팔

(2) 서수사

  • 기수사 앞에 접두사 ‘hai11(제-)’를 결합함으로 서수사가 된다.
  • 접두사가 없는 경우 ‘수사+지시사+분류사’의 구조로 서수를 나타낸다.
ling1262 liangmin1997:75
  • hai11 ŋəi11 hu55 nok55 : 두 번째 새
  • nok55 hai11 ŋəi11 hu55 : 두 번째 새
  • lan55 təp55 ŋəi11 nə11 mɔʔ55 : 열두 번째 (그) 방
  • lan55 təp55 ŋəi11 mɔʔ55 : 방 열두 칸

(3) 약수

  • 린가오어의 약수는 ‘ki33(몇), tsɔ11jɔu55(쯤, 약), ji11kən33(이상), leŋ55(영), kən33loŋ55(쯤, 상하)’ 등으로 나타낸다.
ling1262 liangmin1997:76
  • ki33na33 : 몇 분/명
  • bet33dem33tsuŋ213tsɔ11jɔu55 : 여덟 시 쯤
  • vɔn33bek33ji11kən33 : 이백 이상
  • bek33leŋ55mɔʔ55 : 백여 개(물건)
  • tam213təp55tui33kən33loŋ55 : 서른 살 쯤

(4) 수사의 독서음

  • 수사는 독서음(读书音)이 따로 있다.
ling1262 liangmin1997:75
  • it55 : 하나(one)
  • lu55 : 둘(two)
  • sam33 : 셋(three)
  • sə55 : 넷(four)
  • ŋu11 : 다섯(five)
  • suk55 : 여섯(six)
  • sit55 : 일곱(seven)
  • bat55 : 여덟(eight)
  • kiu11 : 아홉(nine)
  • sip55 : 열(ten)
  • leŋ213 : 영(zero)
  • 이런 독서음을 가지는 수사는 보통 연호, 일부 서수사, 서열 등에 쓰인다.
ling1262 liangmin1997:75
  • it88kiu11ŋu11bat55nen213: 천구백오십팔 년(1958년)
  • o33lu55 : 둘째
doc/lingao/2_wordclass/27_num/27_num.txt · 마지막으로 수정됨: 2018/08/17 15:12 저자 최소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