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c:lingao:2_wordclass:28_clf:28_clf

28_clf : 분류사 (classifier)

  • 린가오어의 분류사는 명량사(名量词)와 동량사(动量词)로 나눌 수 있다.

(1) 명량사(名量词)

  • 자주 쓰이는 명량사는 다음과 같다.
ling1262 liangmin1997:70
  • na33 : 분/명(位, 사람을 셀 때 쓰이는 분류사.)
  • hu55 : 마리(只, 사람을 셀 때도 쓰일 수 있다.)
  • hɔu55 : 무리(群, 사람이나 동물의 단체 분류사.)
  • mɔʔ55 : 개, 알(个, 颗, 물건을 셀 때 쓰이는 분류사.)
  • tsu11 : 그루(株, 식물을 셀 때 쓰이는 분류사.)
  • hui11 : 그릇(碗, 일반명사를 겸하는 분류사.)
  • hoŋ33 : 통(桶, 일반명사를 겸하는 분류사.)
  • vəi55 : 년(年, 시간명사를 겸하는 분류사.)
  • vən55 : 날/일(日, 시간명사를 겸하는 분류사.)
  • kup33 : 움큼(捧, 동사 ‘받들다’를 겸하는 분류사.)
  • hap33 : 짐(担, 동사 ‘지다/메다’를 겸하는 분류사.)
  • 명량사가 주로 수사, 지시사와 결합하여 수량사구나 지시량사구를 이룸으로 명사의 수식어 기능을 한다.
  • 동사나 형용사의 보충성분도 될 수 있다.
ling1262 liangmin1997:71
tam213na33leŋ213hun55.
threeCLperson
사람 세 명.
ling1262 liangmin1997:71
leŋ213hun55tam213na33.
personCLthree
사람 세 명.
ling1262 liangmin1997:71
nia55bun33sek33.
thisCLbook
이 책.
ling1262 liangmin1997:71
sek33nia55bun33.
bookthisCL
이 책.

(2) 동량사(动量词)

  • 자주 쓰이는 동량사는 다음과 같다.
ling1262 liangmin1997:70
  • fɔi55 : 번/회(次, 下)
  • don33 : 대(頓, 한 대 맞다)
  • bak33 : 입(口, 한 입 물다)
  • 동량사가 수사와 결합하여 수량사구를 이룸으로 동사의 보충성분이 된다.
ling1262 liangmin1997:71
kap55vɔn33bak33.
bitetwoCL
두 입 물다.

(3) 분류사의 중첩

  • 일부 분류사, 예를 들면 ‘na33(분/명)’, ‘lan55(집)’만이 중첩됨으로 ‘-마다’ 나 ‘전체’의 뜻을 나타낼 수 있다.

(4) 분류사와 수사, 지시사의 결합

1) 접사+명사+분류사+수사

  • 장어(壯語)와 달리 린가오어에서 동물의 성별과 다른 성장기에 있는 동물을 나타내는 접사, 예를 들면 ‘hau11(수컷 가축)’, ‘hɔk55(수컷 동물)’, ‘hɔ11(새끼를 낳은 적이 없는 암컷 동물)’, ‘mai11(암컷 동물)’ 등이 분류사를 겸할 수 없다.
  • 이때 수를 나타내려면 분류사를 결합해야 한다.
ling1262 liangmin1997:70
ŋin55kai213sok33hu55.
male.chicksixCL
수평아리 여섯 마리.

2) 수사/지시사+분류사

  • 분류사가 수사의 수식을 받아 수량사구가 이루어진다.
  • 수사 ‘일/하나’ 이외에 수식어가 분류사 앞에 결합된다.
  • 수사+분류사.
  • 분류사가 지시사의 수식을 받아 지시량사구가 이루어진다.
  • 지시사+분류사.
  • 린가오어 분류사가 동사, 형용사, 명사, 대명사의 직접적인 수식을 받을 수 없다.
  • 이런 품사가 수량사구, 지시량사구를 수식할 수 있다.
ling1262 liangmin1997:71
  • vɔn33 : 둘(two) + na33 : 분/명(CL) → vɔn33na33 : 두 분/두 명
  • nia55 : 이(this) + hu55 : 마리(CL) → nia55hu55 : 이 동물(예: 이 고양이.)
ling1262 liangmin1997:71
lap33lap33nə11hu55hə33.
lieliethatCLone
누워 있는 그 동물(예: 누워 있는 그 고양이).
ling1262 liangmin1997:71
fiak55dau55nə11tam213hiu55.
sidethe.bottomthatthreeCL
아래에 있는 그 세 벌/척/마리(옷/배/물고기).
  • 분류사가 보통 단독적으로 주어나 목적어 기능을 할 수 없다.
  • 압축된 복문에서는 일부 분류사가 단독적으로 주어나 목적어 기능을 할 수 있다.
ling1262 liangmin1997:71
na33bɔi213na33mia55.
CLgoCLcome
한 명이 가고 한 명이 온다.
ling1262 liangmin1997:71
lai33mɔʔ55kɔn213mɔʔ55.
getCLeatCL
하나를 얻으면 하나를 먹는다.
doc/lingao/2_wordclass/28_clf/28_clf.txt · 마지막으로 수정됨: 2018/06/25 08:56 (바깥 편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