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원마리어에는 19개의 자음 음소가 있으며 산지마리어에는 여기에 4개의 음소가 더 있다(f, c, tʲ, x) (Abondolo 1998:220-221). 한편, 초원마리어의 자음 음소를 위의 23개로 보고, 여기에 러시아어에서 새롭게 차용된 단어들에 추가적으로 쓰이는 ть tʲ, рь rʲ 까지 추가적인 음소로 보는 학자도 있다(Kovedjaeva_Nikolaeva 2001:278)
| 조음위치 | 조음방법 | 음소 | ipa |
|---|---|---|---|
| bilabial | plosive | p b(w) | p b |
| bilabial | nasal | m | m |
| dental | plosive | t d | t d |
| dental | sibilant | s z | s z |
| dental | nasal | n | n |
| dental | lateral | l | l |
| dental | trill | r | r |
| palatal | affricate | č | tɕ |
| palatal | sibilant | š ž | ɕ ʑ |
| palatal | nasal | nʲ | ɲ |
| palatal | lateral | lʲ | ʎ |
| palatal | approximant | j | j |
| velar | plosive | k g | k g |
| velar | nasal | ŋ | ŋ |
의 음소는 이전에는 homotopic nasal 뒤에서는 유성 파열음처럼, 나머지 위치에서는 유성 마찰음(β, ð, ɣ)의 음가를 지녔다. 그러나 오늘날에는 파열음의 음가를 지니므로 b/w, d, g와 같이 적되, b/w는 발음에 따라 w 또는 b로 표기하기로 한다(Kangasmaa-Minn 1998:220). 이와 같은 특성은 마리어의 표기법에도 반영되어 있어서, m뒤에서는 키릴문자 б(b)로, 다른 곳에서는 в(w)를 이용하여 적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