먀오족의 4분의3 정도는 먀오어를 모어로 사용하며, 4분의1 정도는 중국어 혹은 勉語, 侗語 등의 소수민족 언어를 모어로 사용한다.
먀오어는 湘西먀오어, 黔東먀오어, 川黔滇먀오어 등 세 가지 방언으로 나뉜다. 방언을 나누는 주요 근거는 고대 먀오어에 존재했던 비관음(鼻冠音)의 마찰음과 파찰음이 현대 각 지방 먀오어에 보존 되었는가 하는 여부이다. 湘西먀오어에서는 양성에만 보존되어 있고, 黔東먀오어에서는 비관음이 소실되고 무성마찰음, 무성 마찰음, 무성 파찰음 혹은 비음으로 변하였으며, 川黔滇먀오어에서는 현대 성모 전체에 잘 보존되어 있다.
본문에서 다루고자 하는 대상은 키다먀오어(矮寨苗語)이다. 湘西먀오어의 지역 사투리 중 하나이다. 湖南성 吉首시의 矮寨镇 외에 杜唐坡鄕,已略鄕,保靖,凤凰,古丈 등 소도시에서도 사용된다. 사용 인구는 약 12만 명이며, 본문에서 사용하는 키다먀오어(矮寨苗語)와 각 지역에서 쓰는 키다먀오어(矮寨苗語)의 발음은 약간 다르나 의사소통은 가능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