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c:miao:1_phonology:13_supra:13_supra

13_supra : 초분절요소 (suprasegmental)

키다먀오어의 성조분류와 성조값은 다음과 같다.

성조분류 성조값
음평1 53
양평2 31
음상3 44
양상4 44
음거5 35
양거6 22
양입8 22
음입722
음입7 21
  1. 古 먀오어의 4개 성조는 성모 유, 무성의 다름에 따라 음평, 양평, 음상, 양상, 음거, 양거, 음입, 양입의 8개로 나뉜다. 키다먀오어에서는 음상과 양상이 합병되었고, 양입성이 양거성에 합병되었다. 음입성은 남아있다. 음입성의 독음은 짧은 촉성이며, 약간의 후색음을 수반한다.
  2. 음입성에는 21조와 22조의 두 개의 성조값이 있다. 고대 전청성모는 고대 음입성을 보존하고 있다(21조로 읽는다). 고대 차청성모의 음입성은 양거성으로 귀속되어 22조로 읽는다.
doc/miao/1_phonology/13_supra/13_supra.txt · 마지막으로 수정됨: 2021/08/22 15:46 저자 박성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