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키다먀오어 첨사는 일반적으로 '조사'라는 이름으로 불리운다.
(2) 단독으로 사용할 수 없다. 단어나 구의 뒤 혹은 앞, 문장의 말미에 부가된다. 어법의미만을 가진다.
(3) 구조조사, 상조사, 어기조사로 구분된다.
(4) 관형어조사 naŋ44의 기능은 한어의 的와 기본적으로 동일하다.
(5) 부사어 조사가 없다.
(6) 동사 중심어와 형용사 중첩보어 사이에 조사 te53를 부가하지만 사용빈도가 得에 미치지 못한다.
(7) 사용빈도가 높은 조사는 대부분 겸류이다: naŋ44는 구조조사와 어기조사 겸류이고, ʐa44는 완료상 조사와 어기조사의 겸류이다.
키다먀오어의 구조조사로 naŋ44과 ma31가 있다.
(1) 구조조사 naŋ44
naŋ44의 기능은 중국어의 구조조사 '的'의 기능과 비슷하다.
먀오어내 黔东방언,川黔滇 방언과 동원관계가 아니며 기원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
naŋ44의 특징은 다음과 같다.
1) 명사, 대명사, 방위구, 수량구, 수식구, 주술구, 동목구, 동보구등이 naŋ44자 구를 형성하여 명사를 수식하는 것이 가능하다.
2) 명사, 대명사, 방위구, 수량구, 주술구, 동목구, 수식구 등의 성분과 naŋ44자 구조를 만들어서 명사 수식어를 대체하는 것이 가능하다. 즉, '명사/대명사+naŋ44+(명사)를 이룬다.
3) 형용사 중첩 뒤에 쓰여 AA+naŋ44 혹은 AA+tɕi53+naŋ44 구조를 구성할 수 있다.
4) 형용사+부사어 구조 뒤에 사용될 수 있다.
5) 4음격식어와 naŋ44자 구조를 만들 수 있다.
(2) 명사화 조사 ma31
유일한 명사화 조사이다.
ma31+형용사는 형용사 속성의 사람이나 사물을 나타낸다.
ma31+동사는 동작과 관련된 사람 혹은 사물을 나타낸다.
ma31+동사+목적어는 동작의 행위자를 나타낸다.
ma31+형용사+목적어는 형용사 속성의 사람, 사물을 나타낸다.
동사나 형용사 뒤에 출현하여 동작이나 상태변화의 완성, 경험 등의 어법의미 표현한다.
(1) 완망상 조사 ʐa44
완망상 조사 ʐa44는 동작이나 상태변화가 완성됨을 표현한다.
문미에만 출현할 수 있고 동사/형용사와 목적어 사이에는 출현이 불가하다.
(2) 경험상 조사 kwa35
경험상 조사 kwa35 : 한어의 경험을 나타내는 (过)를 차용한 것이다.
a44 | do35 | tu35 | n@N31 | m@N31 | p_hu22 | kwa35 |
one | CL | word | this | 2PL | speak | ASP |
어기조사는 문장유형 부분 참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