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용으로 건너뛰기
소수 민족 언어 유형 데이터베이스
사용자 도구
로그인
사이트 도구
검색
도구
원본 보기
이전 판
역링크
최근 바뀜
미디어 관리자
사이트맵
로그인
>
최근 바뀜
미디어 관리자
사이트맵
현재 위치:
안내
»
Documents
»
miao
»
4_ss
»
47_info : 정보구조 (information structure)
추적:
•
15_phonproc : 음운과정 (phonological process)
•
val_caus : 사동 (causative) : 0% :
•
91_borrowing : 차용 (borrowing)
•
15_phonproc : 음운과정 (phonological process) :
•
val_caus : 사동 (causative)
•
tame_mod : 양태-서법 (modality-mood)
•
val_refl : 재귀태 (reflexive voice)
•
47_info : 정보구조 (information structure)
사이드바
Documents
meta
사용자
Guidelines
문서 작성법
Topics
주석 규칙
주석 약호
음성기호
Tags
Languages
Terms
Features
References
doc:miao:4_ss:47_info:47_info
47_info : 정보구조 (information structure)
먀오어는 뚜렷한 화제표지가 없고 구체적인 언어환경에서 휴지와 강세를 통해 화제를 명확히 드러낸다.
먀오어는 화제가 우선인 언어로 화제가 받는 의미제약은 비교적 작으며, 화제 성분을 충당할 수 있는 것들은 많다. 한정적이고 실제적인 의미가 있는 것들은 대부분 화제가 될 수 있다.
먀오어의 화제는 명확하고 강조의 작용이 있기 때문에 화제문은 종종 대비구에 출현한다.
먀오어의 화제는 경우에 따라 문장의 주어, 목적어, 부사어가 될 수 있다. 화제가 문장의 주어가 될 때는 화제와 주어가 동일한 것이다.
먀오어에는 여러 층차의 화제가 존재한다. 하나의 문장에 주화제와 부화제가 모두 있을 수 있다.
west2430
yujinzhi2011
:306
a44
le53
te53te53
ei53
qo53dz`M31
sa35
s`ei53
t`_hu22
one
CL
child
that
Q
every
can
do
그 아이는 어떤 것도 할 수 있다.
위 예문의 주화제는 ‘그 아이’이고 부화제는 ‘무엇’으로 두 개의 화제를 가지고 있다.
doc/miao/4_ss/47_info/47_info.txt
· 마지막으로 수정됨: 2021/08/22 15:59 저자
박성하
문서 도구
원본 보기
이전 판
역링크
맨 위로